야나기시타 마사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1979년 FIFA U-20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야마하 발동기(현 주빌로 이와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천황배 우승 1회, 일본 리그 우승 1회를 경험했다. 은퇴 후에는 주빌로 이와타, 콘사도레 삿포로, 알비렉스 니가타, 츠바이겐 가나자와 등에서 감독을 역임하며, 주빌로 이와타에서 천황배 우승과 J리그컵 우승을 달성했다. 2024년에는 도치기 SC의 헤드 코치로 부임했으나, 같은 해 계약 해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츠바이겐 가나자와의 축구 감독 - 오가와 마사키
오가와 마사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가시마 앤틀러스, 교토 퍼플 상가, 세레소 오사카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츠바이겐 가나자와 선수 겸 감독, FC 오사카 코치 겸 선수, INAC 고베 레오네사 코치 및 U-18 감독, 스페란차 FC 오사카 다카츠키 코치, 스페란차 FC 라가차 감독 등을 지냈다. - 츠바이겐 가나자와의 축구 감독 - 모리시타 히토시 (1967년)
모리시타 히토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요코하마 마리노스 등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아비스파 후쿠오카, 츠바이겐 가나자와 등 여러 팀을 지도하여 리그 우승과 승격을 이끌었고, FC 바레인 시모노세키와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U-18팀 감독도 역임했다. - 알비렉스 니가타의 축구 감독 - 소리마치 야스하루
소리마치 야스하루는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천황배와 아시아컵 위너스컵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 여러 팀에서 감독을 맡아 J1리그 승격과 J2리그 우승을 이끌며 J리그 어워즈 J2리그 우승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적인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는 시미즈 에스펄스 제너럴 매니저 축구사업본부장으로 활동 중이다. - 알비렉스 니가타의 축구 감독 - 나가이 요시카즈
나가이 요시카즈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선수 시절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에서 활약하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 활동하다 2012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축구 감독 - 이시이 하지메
이시이 하지메는 1959년생 일본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J리그 여러 클럽에서 감독, 코치, 테크니컬 디렉터 등을 역임했고 현재 노르데아 홋카이도의 GM 겸 총감독을 맡고 있다.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축구 감독 - 장외룡
장외룡은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왼쪽 풀백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K리그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야나기시타 마사아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야나기시타 마사아키 |
원어 이름 | 柳下 正明 |
로마자 표기 | Yanagishita Masaaki |
출생일 | 1960년 1월 1일 |
출생지 |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
신장 | 176cm |
포지션 | 수비수 |
유소년 클럽 | |
1975-1977 | 하마나 고등학교 |
1978-1981 | 도쿄 농업대학 |
선수 경력 | |
1982-1992 | 야마하 발동기 |
출장 및 득점 | 135경기 0골 |
국가대표 경력 | |
1979 | 일본 U-20 |
출장 및 득점 | 3경기 0골 |
감독 경력 | |
2003 | 주빌로 이와타 |
2004-2006 | 콘사돌레 삿포로 |
2009-2011 | 주빌로 이와타 |
2012-2015 | 알비렉스 니가타 |
2017-2023 | 츠바이겐 가나자와 |
2024 | 도치기 SC (코치) |
수상 내역 (선수) | |
일본 사커 리그 | 1987/88 우승 |
JSL컵 | 1989 준우승 |
천황배 | 1982 우승 |
천황배 | 1989 준우승 |
2. 선수 경력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1960년 1월 1일 하마마쓰시에서 태어났다. 시즈오카 현립 하마나 고등학교 3학년 때 제56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으나, 우승 후보였음에도 불구하고 1회전에서 기타요 고등학교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도쿄 농업 대학을 졸업하고 야마하 발동기(현 주빌로 이와타)에서 수비수로 활약했다. 1982년 천황배 우승, 1987년 일본 리그 우승 등에 기여했다.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전 | 득점 |
---|---|---|---|---|
1982 | 야마하 발동기 | JSL 2부 | 0 | |
1983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18 | 0 |
1984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12 | 0 |
1985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3 | 0 |
1986-87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19 | 0 |
1987-88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22 | 0 |
1988-89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22 | 0 |
1989-90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19 | 0 |
1990-91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18 | 0 |
1991-92 | 야마하 발동기 | JSL 1부 | 2 | 0 |
2. 1. 클럽 경력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야마하 발동기(현 주빌로 이와타)에서 센터백으로 활약했다. JSL 1부 리그 통산 135경기에 출전했다.[4] 1982년 천황배 우승, 1987-1988 시즌 일본 사커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89년 천황배 결승전에서는 자신의 실수로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2. 2. 국가대표 경력
1979년, 야나기시타는 일본에서 열린 1979년 FIFA U-20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를 위해 일본 U-20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이 대회에서 그는 3경기에 출전했다.[1]3. 지도자 경력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은퇴 후 1993년부터 주빌로 이와타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주로 수석 코치를 맡았으며, 2003년에는 감독으로 승격하여 J1리그 2위,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다. 2004년에는 콘사돌레 삿포로로 이적하여 3년간 팀을 지휘했다. 2007년 주빌로 이와타로 돌아와 수석 코치를 맡았고, 2009년 다시 감독으로 승격하여 J리그컵 우승을 달성했다. 2012년에는 알비렉스 니가타 감독으로 부임하여 J1리그 잔류를 이끌었고,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츠바이겐 가나자와 감독을 맡았다. 2024년에는 도치기 SC의 헤드 코치로 취임했으나, 5월에 계약이 해지되었다.
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전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J리그컵 | 천황배 | |||
2003 | 이와타 | J1 | 2위 | 57 | 30 | 16 | 9 | 5 | 4강 | 우승 |
2009 | 이와타 | J1 | 11위 | 41 | 34 | 11 | 8 | 15 | 예선 리그 탈락 | 4회전 탈락 |
2010 | 11위 | 44 | 34 | 11 | 11 | 12 | 우승 | 4회전 탈락 | ||
2011 | 8위 | 47 | 34 | 13 | 8 | 13 | 8강 | 3회전 탈락 | ||
2012 | 니가타 | 15위 | 31 | 21 | 8 | 7 | 6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3 | 7위 | 55 | 34 | 17 | 4 | 13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4 | 12위 | 44 | 34 | 12 | 8 | 14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5 | 15위 | 34 | 34 | 8 | 10 | 16 | 4강 | 3회전 탈락 | ||
J1 통산 | 255 | 96 | 67 | 92 | - | - |
- 2012년은 제14절부터 지휘.
3. 1. 주빌로 이와타 (1기)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은퇴 후 1993년 야마하 모터스(이후 ''주빌로 이와타'')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유소년팀, 새틀라이트팀을 거쳐 1군 코치를 역임했다.[4] 2000년 9월, 스즈키 마사카즈 감독 체제에서 헤드 코치로 승격했다. 스즈키 감독을 보좌하여 2001년 J리그 1st 스테이지, 2002년 J리그 1st 및 2nd 스테이지 우승에 기여했다.2003년 1월, 스즈키 감독의 사임으로 감독으로 승격했다. 전력 저하가 우려되는 가운데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J1리그 2위, 천황배 우승을 달성했다. 시즌 종료 후, 프런트와의 강화 방침 차이 등을 이유로 퇴임을 선언했고, 선수들의 유임 요청에도 불구하고 팀을 떠났다.[4]
3. 2. 콘사도레 삿포로
2004년, 재정난을 겪던 J2리그의 콘사돌레 삿포로 감독으로 취임하여 유소년 육성을 통한 팀 재건을 목표로 했다. 2004 시즌에는 J2리그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천황배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2] 2005 시즌에는 시즌 막판까지 승격 경쟁을 펼치는 등 팀을 발전시켰다. 당초 계약 기간은 2004년 2월 1일부터 2006년 1월 31일까지 2년 계약이었지만, 2007년 1월 31일까지 연장되었다. 그러나 2006 시즌에도 승격에 실패하였고, 11월 22일 콘사돌레 삿포로는 본인의 요청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2006년 시즌을 끝으로 퇴임했다.[2] 하지만, 그 해 천황배에서 지바, 니가타, 고후 등 J1 팀들을 연파하고 4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2]
3. 3. 주빌로 이와타 (2기)
야나기시타 마사아키일본어는 2007년 시즈오카 산업 대학 축구부 코치를 거쳐 주빌로 이와타 코치로 복귀했다. 2008년에는 1군 코치와 새틀라이트 팀 감독을 겸임했고, 우치야마 아쓰시 감독 해임 후에는 감독 대행으로 1경기를 지휘했다. 2009년, 오프트 감독의 후임으로 두 번째 주빌로 이와타 감독에 취임했다.[2] 2010년에는 J리그컵에서 우승했으나,[2] 리그 성적 부진과 ACL 진출 실패로 2011년 계약이 만료되어 퇴임했다.3. 4. 알비렉스 니가타
2012년 6월,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J2 강등 위기에 놓여있던 알비렉스 니가타의 감독으로 시즌 도중 취임했다.[5] 그는 견고한 수비를 구축하고, 선수들이 쉽게 공을 뺏기지 않도록 지도하여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했다.[7] 이러한 전략을 통해 니가타는 최종전에서 J1리그 잔류에 성공했다.[7]2013년에도 니가타 감독을 맡은[8] 야나기시타는 후반기에 5연승을 기록하는 등 리그 1위의 승점을 획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승점을 기록하는데 기여했다. 그는 2015년까지 니가타의 감독을 역임했다.
3. 5. 츠바이겐 가나자와
2016년 12월 6일, 츠바이겐 가나자와의 감독으로 취임하여[9] 2017년부터 팀을 지휘했다.2023년 11월 5일, 계약 만료에 따른 감독 퇴임이 발표되었다.[10] 같은 날, 가나자와는 J3리그 강등이 확정되었다.
3. 6. 도치기 SC
2024년, 도치기 SC의 헤드 코치로 취임했다.[11] 그러나 같은 해 5월 14일, 감독 다나카 마코토와 함께 계약이 해지되었다.[12]4. 감독 통계
팀 | 시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주빌로 이와타 | 2003 | 30 | 16 | 9 | 5 |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2004-2006 | 136 | 42 | 39 | 55 | |
주빌로 이와타 | 2009-2011 | 102 | 35 | 27 | 40 | |
알비렉스 니가타 | 2012-2015 | 123 | 45 | 29 | 49 | |
츠바이겐 가나자와 | 2017-2023[2] | 294 | 86 | 84 | 124 | |
합계[3] | 685 | 224 | 188 | 273 |
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전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J리그컵 | 천황배 | |||
2003 | 이와타 | J1 | 2위 | 57 | 30 | 16 | 9 | 5 | 4강 | 우승 |
2004 | 삿포로 | J2 | 12위 | 30 | 44 | 5 | 15 | 24 | - | 8강 |
2005 | 6위 | 63 | 44 | 17 | 12 | 15 | - | 3회전 탈락 | ||
2006 | 6위 | 72 | 48 | 20 | 12 | 16 | - | 4강 | ||
2009 | 이와타 | J1 | 11위 | 41 | 34 | 11 | 8 | 15 | 예선 리그 탈락 | 4회전 탈락 |
2010 | 11위 | 44 | 34 | 11 | 11 | 12 | 우승 | 4회전 탈락 | ||
2011 | 8위 | 47 | 34 | 13 | 8 | 13 | 8강 | 3회전 탈락 | ||
2012 | 니가타 | 15위 | 31 | 21 | 8 | 7 | 6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3 | 7위 | 55 | 34 | 17 | 4 | 13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4 | 12위 | 44 | 34 | 12 | 8 | 14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5 | 15위 | 34 | 34 | 8 | 10 | 16 | 4강 | 3회전 탈락 | ||
2017 | 가나자와 | J2 | 17위 | 49 | 42 | 13 | 10 | 19 | - | 3회전 탈락 |
2018 | 13위 | 55 | 42 | 14 | 13 | 15 | - | 3회전 탈락 | ||
2019 | 11위 | 61 | 42 | 15 | 16 | 11 | - | 3회전 탈락 | ||
2020 | 18위 | 49 | 42 | 12 | 13 | 17 | - | - | ||
2021 | 17위 | 41 | 42 | 10 | 11 | 21 | - | 2회전 탈락 | ||
2022 | 14위 | 52 | 42 | 13 | 13 | 16 | - | 3회전 탈락 | ||
2023 | 22위 | 35 | 42 | 9 | 8 | 25 | - | 2회전 탈락 |
5. 수상 내역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2003년 주빌로 이와타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 해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고, 2010년에는 J리그컵 우승을 달성했다.
5. 1. 선수
대회 | 횟수 | 연도 |
---|---|---|
천황배 JFA 전일본 선수권 대회 | 1회 | 1982년 |
일본 사커 리그 | 1회 | 1987-1988 |
5. 2. 감독
야나기시타 마사아키는 2003년 주빌로 이와타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 해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감독을 역임했다. 2009년 주빌로 이와타 감독으로 복귀, 2010년 J리그컵 우승을 달성했다. 2012년 6월부터 2015년까지 알비렉스 니가타 감독,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츠바이겐 가나자와 감독을 맡았다.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전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J리그컵 | 천황배 | |||
2003 | 이와타 | J1 | 2위 | 57 | 30 | 16 | 9 | 5 | 4강 | 우승 |
2004 | 삿포로 | J2 | 12위 | 30 | 44 | 5 | 15 | 24 | - | 8강 |
2005 | 6위 | 63 | 44 | 17 | 12 | 15 | - | 3회전 탈락 | ||
2006 | 6위 | 72 | 48 | 20 | 12 | 16 | - | 4강 | ||
2009 | 이와타 | J1 | 11위 | 41 | 34 | 11 | 8 | 15 | 예선 리그 탈락 | 4회전 탈락 |
2010 | 11위 | 44 | 34 | 11 | 11 | 12 | 우승 | 4회전 탈락 | ||
2011 | 8위 | 47 | 34 | 13 | 8 | 13 | 8강 | 3회전 탈락 | ||
2012 | 니가타 | 15위 | 31 | 21 | 8 | 7 | 6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3 | 7위 | 55 | 34 | 17 | 4 | 13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4 | 12위 | 44 | 34 | 12 | 8 | 14 | 예선 리그 탈락 | 3회전 탈락 | ||
2015 | 15위 | 34 | 34 | 8 | 10 | 16 | 4강 | 3회전 탈락 | ||
2017 | 가나자와 | J2 | 17위 | 49 | 42 | 13 | 10 | 19 | - | 3회전 탈락 |
2018 | 13위 | 55 | 42 | 14 | 13 | 15 | - | 3회전 탈락 | ||
2019 | 11위 | 61 | 42 | 15 | 16 | 11 | - | 3회전 탈락 | ||
2020 | 18위 | 49 | 42 | 12 | 13 | 17 | - | - | ||
2021 | 17위 | 41 | 42 | 10 | 11 | 21 | - | 2회전 탈락 | ||
2022 | 14위 | 52 | 42 | 13 | 13 | 16 | - | 3회전 탈락 | ||
2023 | 22위 | 35 | 42 | 9 | 8 | 25 | - | 2회전 탈락 |
6. 기타
2012년 J1 최종전에서 알비렉스 니가타의 잔류를 위해 친정팀 콘사돌레 삿포로와 맞붙었는데, 이전 경기에서 심판 판정에 항의하여 퇴장당해 직접 지휘하지 못했다.[13] 이는 주전 공격수 브루노 로페스의 퇴장 징계를 막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이었다는 분석이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FIFA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Zweigen Kanazawa
http://www.zweigen-k[...]
[3]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4]
인터뷰
2006年の[[スポーツナビ]]でのインタビュー
[5]
뉴스
柳下正明監督 就任のお知らせ
http://www.albirex.c[...]
アルビレックス新潟公式サイト
2012-06-11
[6]
뉴스
柳下正明監督就任記者会見リポート
http://www.albirex.c[...]
2012-06-12
[7]
웹사이트
アルビレックス新潟モバイルサイト シーズンオフ特別企画 [2013シーズン アクションを起こす!] 柳下正明監督インタビューより
[8]
뉴스
柳下 正明監督 続投のお知らせ
http://www.albirex.c[...]
アルビレックス新潟公式サイト
2012-12-02
[9]
뉴스
柳下 正明氏 来季監督に就任決定のお知らせ
http://www.zweigen-k[...]
ツエーゲン金沢公式サイト
2016-12-06
[10]
웹사이트
柳下正明監督 契約満了のお知らせ|ツエーゲン金沢 公式サイト
https://www.zweigen-[...]
2023-11-05
[11]
웹사이트
柳下正明氏 ヘッド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tochigis[...]
2023-12-05
[12]
웹사이트
田中誠監督ならびに柳下正明ヘッドコーチ 契約解除のお知らせ
https://www.tochigis[...]
2024-05-14
[13]
뉴스
2012Jリーグ J1リーグ戦 第33節 退席に伴う柳下 正明監督(新潟)のベン치入り停止処分について
http://www.j-league.[...]
Jリーグ公式サイト
[14]
웹사이트
新潟ロペス“身代わり”退席の監督へ恩返し残留弾誓う!― スポニチ Sponichi Annex サッカー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12-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