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2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2리그는 1999년 출범한 일본의 프로 축구 2부 리그이다. J1리그로의 승격을 목표로 하며, 2024년부터는 20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위 팀들은 J1리그로 승격하거나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여할 기회를 얻는다. J2리그는 일본 축구 리그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며, 다양한 클럽들이 경쟁하며 팬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축구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일본의 축구 리그 - J3리그
    J3리그는 J리그의 전국적인 확대와 저변 확대를 목표로 2014년 출범한 일본 프로 축구 3부 리그로, J2리그보다 완화된 라이선스 기준을 적용하며 젊은 선수 육성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 일본의 축구단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안드레스 이니에스타는 FC 바르셀로나와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을 차지하고 "마법사"로 불린 스페인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로, 2010년 월드컵 결승골과 2012년 유로 MVP를 수상했으며 2024년 은퇴했다.
  • 일본의 축구단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챔피언스리그는 유럽 축구 연맹 주관으로 유럽 최상위 리그의 우수 클럽들이 참가하여 유럽 최강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유러피언컵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으며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9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TT 프로 리그
    TT 프로 리그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프로 축구 발전을 목표로 1999년에 출범한 카리브해 지역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로, 자국 선수 육성과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진출을 위한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참가 등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 199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리갓 하알
    리갓 하알은 이스라엘 축구 협회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99년 창설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4개 클럽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우승팀을 가리고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는다.
J2리그
기본 정보
2019 J2 리그 로고
로고
주최J.리그
국가일본
연맹AFC
창립1999년
참가 팀 수20
승격J1리그
강등J3리그
리그 단계2
국내 컵 대회천황배
리그 컵 대회J.리그 컵
최근 우승팀시미즈 에스펄스 (1회 우승)
시즌2024
최다 우승팀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3회 우승)
중계 방송사DAZN
웹사이트jleague.jp
현재 시즌2025 J2리그
메이지 야스다 J2 리그 로고
메이지 야스다 J2 리그 로고
첫 시즌1999년
현재 시즌2024년 J2리그
관련 정보

2. 역사

J리그가 1, 2부로 나뉘어 본격적으로 승강제가 시작된 것은 1999년부터이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일본에는 전국 규모의 2부 리그가 존재했다.

1972년, 일본축구리그(JSL)는 2부 리그를 창설했다. 토요타 자동차(초대 우승팀), 요미우리, 후지쓰, 교토 시코 클럽, 고후 클럽 등 훗날 J리그에서 활동하게 된 5개 클럽을 포함하여 10개 클럽이 창립 멤버였다. 초기에는 우승팀과 준우승팀 모두 1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했으나, 1980년에 우승팀, 1984년에 준우승팀에 대한 승강 플레이오프가 폐지되었다.

1977년 이전에는 전일본실업축구선수권대회 결승 진출 후 2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2부 리그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지역축구리그가 리그 진출을 희망하는 클럽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1985년에는 2부 리그가 12개 클럽, 1986년에는 16개 클럽으로 늘어났다. 1989년까지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동부와 서부 그룹으로 나뉘었으나, 이후 1992년까지 통합되었다.

1992년 J리그 출범에 따라 JSL 2부 리그는 일본축구리그(구 일본축구리그)로 이름이 바뀌었다. 리그는 각각 10개 클럽으로 구성된 두 개의 디비전으로 나뉘었다가 1994년에 다시 단일 리그로 통합되었다. J리그가 확장되면서, 쇼난 벨마레, 가시와 레이솔, 세레소 오사카, 주빌로 이와타와 같이 JSL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창설 시즌 J리그에 선발되지 못한 클럽들을 중심으로 승강제를 갖춘 2부 리그의 필요성이 커졌다.

J2 클럽이 되는 기준은 1부 리그보다 엄격하지 않아, 중소 도시들도 J1 클럽들만큼 투자하지 않고도 클럽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미토 홀리호크와 같은 클럽은 경기당 평균 3,000명의 팬만 유치하고 스폰서십도 거의 없지만, J2에서 경쟁력 있는 팀을 운영하고 있다.

J2 클럽들은 J1 승격을 위해 유소년 시스템, 홈구장, 재정 상태, 고향과의 관계를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데 시간을 들였다. 오이타 트리니타, 알비렉스 니가타, 가와사키 프론탈레, 벤트포레트 고후와 같은 클럽들이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여, 비교적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각각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에 J1 승격을 이루었다.

2. 1. J2리그의 탄생 (1999년)

1999년, J리그는 1부 리그(J1)와 2부 리그(J2)로 나뉘어 본격적으로 승강제를 시작했다. J2리그는 J1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J1 승격에 실패한 2개 클럽과 제7회 재팬 풋볼 리그(1998년) 참가 클럽 중 J리그 가입을 희망했던 8개 클럽, 총 10개 클럽으로 구성되어 경쟁을 펼쳤다.[12][13]

초대 J2리그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2. 2. 리그 확장과 변화 (2000년 ~ 2023년)

2000년부터 J2리그는 클럽 수를 점진적으로 늘려 2012년에 FC 마치다 젤비아마쓰모토 야마가 FC일본 풋볼 리그에서 승격하면서 22개 클럽을 채웠다.[12] 2012년부터 2023년까지 22개 클럽 체제가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2012년부터 잉글랜드의 풋볼 리그 챔피언십과 유사한 4강 승격 플레이오프 방식이 도입되어, 상위 2팀은 자동 승격하고 3~6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팀을 결정했다.

2012년부터 J2와 일본 풋볼 리그(JFL) 간의 승강제가 도입되었으며, 2014년부터는 J3리그와의 승강제로 변경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강등 없이 승격만 이루어졌다. 2021년에는 승격 2팀, 강등 4팀으로 조정되어 J2리그 팀 수를 유지했다.

리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럽식 경기 방식을 따르기 시작했다. 처음 3시즌(1999~2001년)에는 정규 시간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치렀으나, 2002년에 연장전이 폐지되고 3-1-0 승점제가 도입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2010년 FIFA 월드컵 기간에는 리그 경기가 중단되었지만, 2006년 FIFA 월드컵2014년 FIFA 월드컵 기간에는 경기가 진행되었다. 하계 올림픽 기간에는 중단되지 않았으나, 2020년 도쿄 올림픽 기간에는 리그가 중단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은 11월에 개막하여 J1 승격 플레이오프 일정을 확보하기 위해 리그 개막이 1주일, 폐막이 1달 반 앞당겨졌다.[13]

2. 3. 20개 클럽 체제로 전환 (2024년 ~ 현재)

2024년부터 J2리그는 20개 클럽으로 운영된다. J1리그 하위 3팀이 J2로 강등되고, J2리그 상위 2팀은 자동 승격되며, 3~6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팀을 결정한다.

3. 리그 체계

1999년 J2리그가 창설된 후, J1리그와 J2리그 간에는 상위 2개 팀이 자동 승격/강등되는 유럽형 승강 제도가 운영되었다.[3]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J1리그 16위 팀과 J2리그 3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가 시행되기도 했으나,[4] [5] 2009년부터 폐지되고 자동 승격/강등 팀 수가 3팀으로 확대되었다.[6]

2012년부터는 풋볼 리그 챔피언십과 유사한 J1 승격 플레이오프가 도입되어 J2리그 3위부터 6위 팀이 J1리그 승격 티켓을 놓고 경쟁하게 되었다.

J2리그는 최대 22개 클럽으로 구성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2012년에 FC 마치다 젤비아마쓰모토 야마가 FC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승격하면서 22개 클럽을 채우게 되었다.

2008년 7월, J리그는 이사회에서 다음과 같은 J2리그 운영 방안을 승인하였다.[17]


  • J2 참가 클럽 수는 최대 22개로 한다('''(2012년 달성)''').
  • J2 참가 클럽 수가 19개에 도달한 시즌 이후, JFL에서 가입할 수 있는 클럽 수는 22개에서 역산하여 정해진다. 단, 이 경우에도 "JFL 4위 이내" 등 일정한 성적 조건이 설정된다('''(2010년도부터 적용)''').
  • J2 참가 클럽 수가 22개에 도달한 시즌 이후에는 J2와 JFL 간 승강 제도를 도입한다('''(2012년도 포스트시즌부터 실시)''').[18]
  • J2 참가 클럽 수가 18개에 도달한 시즌 이후에는 J1·J2 승강 플레이오프를 폐지하고, 리그전 성적을 승강 요건으로 한다(자동 승격·강등만 채용)('''(2009년도부터 적용)''').



  • '''굵은 글씨'''는 그 다음 해 J1로 승격한 팀을, 3위 팀 중 ※표시된 팀은 J1의 16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른 팀을 의미한다.

3. 1. 경기 방식

20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이 다른 모든 팀과 두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홈 앤드 어웨이)으로 총 38경기를 치러 순위를 결정한다.[17]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양 팀 모두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 최종적으로 획득한 승점이 많은 팀이 우승한다.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한다.[17]

# 골득실차

# 총 득점

# 상대 전적

# 반칙 포인트

# 결정전 (필요한 경우) 또는 추첨

결정전은 주최 측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실시하며,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추첨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1위가 동률일 경우 두 클럽 모두 우승으로 처리한다.

원칙적으로 상위 팀은 J1리그로 승격하여 다음 해에는 J1리그에 소속된다. 2012년부터는 상위 2팀이 자동 승격하고, 나머지 1팀은 J1 승격 플레이오프, J1 참가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된다.[17]

2012 시즌부터 하위 팀과 일본 풋볼 리그(JFL) 간의 승강이 실시되었다. 2014 시즌부터는 승강 대상이 같은 해에 신설된 J3리그로 변경되었다.[18]

3. 2. 승강 제도

1999년 J2리그 창설 이후, J1리그와 J2리그 간에는 상위 2개 팀이 자동 승격/강등되는 유럽형 승강 제도가 운영되었다.[3]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J1리그 16위 팀과 J2리그 3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가 시행되기도 했으나,[4] [5] 2009년부터 폐지되고 자동 승격/강등 팀 수가 3팀으로 확대되었다.[6]

2012년부터는 풋볼 리그 챔피언십과 유사한 J1 승격 플레이오프가 도입되어 J2리그 3위부터 6위 팀이 J1리그 승격 티켓을 놓고 경쟁하게 되었다. 단, J1 라이선스를 보유한 클럽만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수 있다.

2012년부터 J2리그와 일본 풋볼 리그(JFL) 간의 승강제가 시행되었고, 2014년부터는 J3리그 출범으로 J2-J3 간 승강제로 변경되었다. 2023 시즌부터 J1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팀은 J1리그 팀과 별도 경기 없이 바로 승격하며, 2024 시즌부터는 J2리그 하위 3개 팀이 J3리그로 자동 강등된다.[6] J2 클럽이 J3리그로 강등되기 위해서는 J2 라이선스를 보유해야 하며, 라이선스 유무에 따라 강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4. 클럽

J2리그는 2012년부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2경기씩 총 42라운드를 치러 우승 팀을 결정한다. 상위 3팀(1위, 2위, 그리고 3위부터 6위까지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1팀 추가 선발)은 J1리그로 승격된다.[4]

2025시즌 J2리그 참가팀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4. 1. 2025 시즌 참가 클럽

wikitext

구단연고지경기장수용 인원
베갈타 센다이미야기현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20680
블라우블리츠 아키타아키타현소유 스타디움19526
몬테디오 야마가타야마가타현ND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21292
이와키 FC후쿠시마현 이와키시하와이안즈 스타디움 이와키5600
미토 홀리호크이바라키현 미토시케이스덴키 스타디움 미토10152
도치기 SC도치기현칸세키 스타디움 도치기25244
자스파쿠사쓰 군마군마현쇼다쇼유 스타디움 군마15190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지바현 이치하라시, 지바시후쿠다 전자 아레나19470
요코하마 FC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닛파쓰 미쓰자와 구기장15440
반포레 고후야마나시현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15853
시미즈 에스펄스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19496
후지에다 MYFC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후지에다 종합운동공원 축구장13000
파지아노 오카야마오카야마현시티라이트 스타디움15479
레노파 야마구치 FC야마구치현이신 미라이후 스타디움15115
도쿠시마 보르티스도쿠시마현나루토·오츠카 스포츠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17924
에히메 FC에히메현닌지니아 스타디움20919
V·파렌 나가사키나가사키현피스 스타디움 커넥티드 바이 소프트뱅크20027
로아소 구마모토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에가오 건강 스타디움30449
오이타 트리니타오이타현레조낙 돔 오이타31997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가고시마현시라나미 스타디움12606
colspan="4" height="6" |
경기장 사진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소유 스타디움
ND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
하와이안즈 스타디움 이와키
케이스덴키 스타디움 미토
칸세키 스타디움 도치기
쇼다쇼유 스타디움 군마
후쿠다 전자 아레나
닛파쓰 미쓰자와 구기장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
후지에다 종합운동공원 축구장
시티라이트 스타디움
이신 미라이후 스타디움
나루토·오츠카 스포츠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
--
피스 스타디움 커넥티드 바이 소프트뱅크
에가오 건강 스타디움
레조낙 돔 오이타
--


5. 역대 우승 및 승격

연도우승2위3위 / 플레이오프 승자클럽 수
1999년가와사키 프론탈레FC도쿄오이타 트리니타10
2000년콘사도레 삿포로우라와 레즈오이타 트리니타11
2001년교토 퍼플 상가베갈타 센다이몬테디오 야마가타12
2002년오이타 트리니타세레소 오사카알비렉스 니가타
2003년알비렉스 니가타산프레체 히로시마가와사키 프론탈레
2004년가와사키 프론탈레오미야 아르디자아비스파 후쿠오카
2005년교토 퍼플 상가아비스파 후쿠오카반포레 고후
2006년요코하마 FC가시와 레이솔비스셀 고베13
2007년콘사도레 삿포로도쿄 베르디교토 상가
2008년산프레체 히로시마몬테디오 야마가타베갈타 센다이15
2009년베갈타 센다이세레소 오사카쇼난 벨마레18
2010년가시와 레이솔반포레 고후아비스파 후쿠오카19
2011년FC도쿄사간 도스콘사도레 삿포로20
연도우승2위플레이오프 승자클럽 수
2012년반포레 고후쇼난 벨마레6위오이타 트리니타22
2013년감바 오사카비스셀 고베4위도쿠시마 벌티스
2014년쇼난 벨마레마쓰모토 야마가 FC6위몬테디오 야마가타
2015년오미야 아르디자주빌로 이와타3위아비스파 후쿠오카
2016년콘사도레 삿포로시미즈 에스펄스4위세레소 오사카
2017년쇼난 벨마레V·파렌 나가사키3위나고야 그램퍼스
연도우승2위결정전 진출팀클럽 수
2018년마쓰모토 야마가 FC오이타 트리니타6위도쿄 베르디22
2019년가시와 레이솔요코하마 FC4위도쿠시마 벌티스
연도우승2위3위클럽 수
2020년도쿠시마 벌티스아비스파 후쿠오카V·파렌 나가사키22
2021년주빌로 이와타교토 상가반포레 고후
연도우승2위결정전 진출팀클럽 수
2022년알비렉스 니가타요코하마 FC4위로아쏘 구마모토22
연도우승2위플레이오프 승자클럽 수
2023년FC마치다 젤비아주빌로 이와타3위도쿄 베르디22
2024년시미즈 에스펄스요코하마 FC5위파지아노 오카야마20
2025년


  • '''굵은 글씨'''는 J1에 승격한 클럽이다.

  • J1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의 순위는 정규 시즌 종료 시점이다.
  • J2리그를 거쳐 J1에 승격한 이후, 한 번도 J2로 강등된 경험이 없는 클럽은 마치다 한 클럽뿐이다.[1]


1999년부터 2003년까지는 준우승 팀까지만 J1으로 승격할 수 있었다.[1]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3위 팀은 J1의 16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승리해야 승격할 수 있었다.[1]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상위 3개 팀이 자동 승격을 하는 방식이었고,[1] 2012년 시즌부터는 우승 팀과 준우승 팀이 자동 승격을 하고 3위~6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그중 한 팀이 추가로 승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1]

6. 강등

2012년 시즌부터 J2-JFL 간 승강제가 시행되었고, 2014년 J3리그 출범 후 J2-J3 간 승강제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은 코로나19 대책으로 2020년에 강등이 없었기 때문에 4팀이 강등되었다.[24][25]

2012년 이후 J2리그 최하위 팀 기록
연도JFL로 강등(2012년만) / J3리그로 강등(2013년부터)
2012마치다
2013도리토리
2014도야마
2015도치기, 오이타
2016키타큐슈
2017군마
2018구마모토, 사누키
2019가고시마, 기후
2020없음[24]
2021사가미하라, 아이치, 키타큐슈, 마쓰모토
2022류큐, 이와테
2023오미야, 가나자와
2024도치기, 가고시마, 군마


7. 기타

J2리그 우승팀에게는 2000만, 준우승팀에게는 1000만, 3위팀에게는 500만의 상금이 주어진다.[28] 우승팀에게는 J리그컵(우승 은쟁반)과 메이지 야스다 생명컵 "구궤도"가 상품으로 주어지며,[29] 준우승 팀에게는 J리그컵(준우승 은쟁반)이 주어진다.[28]

순위상금상품
1위2000만J리그컵(우승 은쟁반), 메이지 야스다 생명컵 "구궤도"[29]
2위1000만J리그컵(준우승 은쟁반)
3위500만-



J리그 어워즈에서는 J2 페어플레이상, J2 최고 흥미로운 선수상(J2 Most Exciting Player), J2 베스트 골상이 시상된다. 2022년부터는 최우수 선수상(MVP), 베스트 일레븐, 득점왕, 최고 골상도 신설되었다.[30]

7. 1. 최다 득점자

연도선수명당시 소속 클럽득점
1999가미노 타쿠야|가미노 다쿠야일본어오이타 트리니타19
2000에메르송|마르시우 파수스 지 아우부케르키pt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31
2001마르코스|마르쿠스 파울루 소자 리베이루pt베갈타 센다이34
2002마르쿠스|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pt알비렉스 니가타19
200332
2004주니뉴|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카르발류 두스 안주스 주니오르pt가와사키 프론탈레37
2005파울리뉴|파울루 안토니우 지 올리베이라pt교토 퍼플 상가22
2006보르제스|움베를리투 보르지스 테이셰이라pt베갈타 센다이26
2007후쿠|지바니우두 비에이라 지 소자pt도쿄 베르디37
2008사토 토시토|사토 도시토일본어산프레체 히로시마28
2009카가와 신지|가가와 신지일본어세레소 오사카27
2010하프너 마이크|하프너 마이크일본어반포레 고후20
2011토요다 요헤이|도요다 요헤이일본어사간 도스23
2012다비|다비 조제 시우바 두 나시멘투pt반포레 고후32
2013켄페스|에베르통 켐페스 두스 산투스 곤사우베스pt제프 유나이티드 지바22
2014오오구로 마사시|오구로 마사시일본어교토 퍼플 상가26
2015제이|제이 보스로이드영어주빌로 이와타20
2016정대세|정대세한국어시미즈 에스펄스26
2017이바|이바 라야브no요코하마 FC25
2018오마에 겐키|오마에 겐키일본어오미야 아르디자24
2019레오나르도|레오나르두 나시멘투 로페스 지 소자pt알비렉스 니가타28
2020피터 우타카|피터 우타카영어교토 퍼플 상가22
2021루키안|루키앙 아라우주 지 아우메이다pt주빌로 이와타22
2022년 이후는 J리그 어워즈 참조


  • J2 득점왕을 2회 이상 수상한 선수는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데 모라이스(2회) 뿐이다. 2년 연속 J2 득점왕 역시 이 선수가 유일하다.
  • 에메르송, 주니뉴, 사토 토시토 3명은 J2 득점왕을 수상한 후 J1 득점왕도 수상했다.
  • 반대로 피터 우타카는 J1 득점왕을 수상한 후 J2 득점왕도 수상했다.
  • 레오나르도는 J3 득점왕을 수상한 후 J2 득점왕을 수상했다.[32]

7. 2. 통산 기록

순위선수명소속(J2 최종 소속)경기 수
1혼마 고우지(本間幸司)미토 홀리호크575
2나카지마 유키(中島裕希)FC 마치다 젤비아517
3코이케 준키(小池純輝)도쿄 베르디480
4카미자토 카즈마사(上里一将)FC 류큐476
5마츠시타 유키자스파 구사쓰 군마441
6쿠라누키 카즈타케(倉貫一毅)교토 상가 FC435
7사카모토 코우지(坂本紘司)쇼난 벨마레426
8타카치 케이지(高地系治)FC 기후414
9타카다 야스노리(高田保則)자스파 구사쓰 군마407
10미나미 유타(南雄太)오미야 아르디자397



순위선수명소속(J2 최종 소속)득점 수
1오오구로 마사시(大黒将志)토치기 SC108
2나카지마 유키(中島裕希)FC 마치다 젤비아103
3후나야마 타카유키(船山貴之)제프 유나이티드 지바96
4오오쿠보 테츠야(大久保哲哉)요코하마 FC94
5사토 코이치(佐藤洸一)반포레 고후93
6우치무라 케이코(内村圭宏)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85
7토쿠라 켄(都倉賢)V·파렌 나가사키84
8이바 라야브(イバ・ラーヤブ)오미야 아르디자82
9타카다 야스노리(高田保則)자스파 구사쓰 군마76
10코이케 준키(小池純輝)도쿄 베르디75



구단명class="unsortable" |재적 연수경기 수class="unsortable" |승리 수무승부 수패전 수class="unsortable" |득점 수실점 수득실차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14597257150190789644+145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14297263580-45
베갈타 센다이12519233118168757643+114
블라우블리츠 아키타4164534962153178-25
몬테디오 야마가타2293436823633012001081+119
이와키 FC28027203398110-12
미토 홀리호크25106532128246211441422-278
토치기 SC14583167175241583719-136
자스파クサ츠 군마187651981923757341117-383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4028398240+42
오미야 아르디자13546236117193720645+75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15616252153211845724+121
가시와 레이솔3126752724240117+123
FC 도쿄27444111911857+61
도쿄 베르디17725289193243985875+110
FC 마치다 젤비아9378138111129473442+31
가와사키 프론탈레52121263353401232+169
요코하마 FC2085131423130610471079-32
쇼난 벨마레14613253143217828745+83
SC 사가미하라142814203354-21
반포레 고후187572891942741001972+29
마쓰모토 야마가 FC83361429797422366+56
알비렉스 니가타1041820088130642475+167
카타레 도야마62515960132234374-140
츠바이겐 가나자와9378106117155434530-96
시미즈 에스펄스3122712724231109+122
후지에다 MYFC28028143899129-30
주빌로 이와타52101066044346231+115
나고야 그램퍼스142236138565+20
FC 기후12503127117259509815-306
교토 상가 FC15638290163185904713+191
감바 오사카142251259946+53
세레소 오사카62691425968465307+158
비셀 고베29050192115694+62
가이나레 도리토리3122242870107212-105
파지아노 오카야마16667225219223722746-24
산프레체 히로시마28656181216470+94
레노파 야마구치 FC937411189174431556-125
카마타마레 사누키52104464102176299-123
도쿠시마 워티스18765267210288911927-16
에히메 FC17721199193329744984-240
아비스파 후쿠오카16689288169232917835+82
기라반츠 기타큐슈936811991158414507-93
사간 도스13559190123246667767-100
V·파렌 나가사키11458197124137619500+119
로아쏘 구마모토14583178156249638811-173
오이타 트리니타14570252138180800662+138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28018164676132-56
FC 류큐4168534273213253-40


  • 2024년 시즌 종료 시점[26]

7. 3. 상금 및 시상

J2리그 우승 팀에게는 2000만, 준우승 팀에게는 1000만, 3위 팀에게는 500만의 상금이 주어진다.[28] 우승 팀에게는 J리그컵(우승 은쟁반)과 메이지 야스다 생명컵 "구궤도"가 상품으로 주어진다.[29] 준우승 팀에게는 J리그컵(준우승 은쟁반)이 주어진다.[28]

순위상금상품
1위2000만J리그컵(우승 은쟁반), 메이지 야스다 생명컵 "구궤도"[29]
2위1000만J리그컵(준우승 은쟁반)
3위500만-



J리그 어워즈에서는 J2 페어플레이상, J2 최고 흥미로운 선수상(J2 Most Exciting Player), J2 베스트 골상이 시상된다. 2022년부터는 최우수 선수상(MVP), 베스트 일레븐, 득점왕, 최고 골상이 신설되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glossary http://www.jfa.jp/do[...]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19-02-24
[2] 문서 The logo used in Japan is labeled 「'''明治安田 J2 LEAGUE'''」.
[3] 뉴스 2017 Meiji Yasuda Life J3 League: About the tournament and game method http://www.jleague.j[...] 2016-12-13
[4] 웹사이트 2018年以降のJ1・J2昇降格決定方法について https://www.jleague.[...] J.League 2017-06-27
[5] 뉴스 なぜ今J1参入プレーオフ導入? リーグはJ3、JFL入れ替えも議論 https://web.gekisaka[...] 2017-06-27
[6] 보도자료 Regarding the league structure and competition method after the 2024 season; unified the number of clubs in each category to 20; changed the League Cup match to a knockout format in which all J1 · J2 · J3 clubs participate https://aboutj.jleag[...] J.League 2022-12-20
[7] 뉴스 J. League board approves August start to season from 2026 https://www.japantim[...] 2023-12-20
[8] 뉴스 Japan's J-League officially admits Matsumoto Yamaga and Machida Zelvia into 2012 season http://www.goal.com/[...] Goal 2011-12-13
[9] 웹사이트 Official Stadium Capacity https://ehime-spa.jp[...] 2023-03-14
[10] 웹사이트 J.League to skip relegation as schedule threatened by coronavirus https://www.japantim[...] 2020-03-19
[11] 보도자료 Number of clubs promoted and relegated at the end of the 2021 season https://www.jleague.[...] J.League 2020-11-18
[12] 보도자료 リーグ戦大会名称・タイトルマーク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12-16
[13] 보도자료 明治安田生命とのタイトルパートナー契約更新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12-20
[14] 보도자료 明治安田生命保険相互会社とJリーグタイトルパートナー契約を締結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12-16
[15] 보도자료 サッカー「Jリーグ」との「Jリーグタイトルパートナー契約」を更新 ~地域社会の活性化へのさらなる貢献に向け、Jリーグと「新しい価値」を共創~ https://www.meijiyas[...] 明治安田生命保険 2018-12-14
[16] 웹사이트 2024Jリーグ 大会方式等の変更点について https://www.jleague.[...] 2023-12-19
[17] 웹사이트 J2リーグの将来像を決定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8-07-22
[18] 보도자료 2012シーズンよりJ2・JFL入れ替え制度導入および「J2・JFL入れ替え戦(仮称)」大会方式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2-01-17
[19] 뉴스 「J1 3年連続赤字で降格へ 13年から」 読売新聞 2011-01-01
[20] 뉴스 町田は条件付き…松本山雅とJ2入り https://www.nikkansp[...] 2011-12-12
[21] 문서 ただし、Jリーグ・アンダー22選抜(2014年・2015年)およびJリーグクラブのU-23チーム(2016年-2020年)は除く。同チームが2位以内に入った場合、これを除いたJ3リーグの上位2クラブが自動昇格、または入れ替え戦出場の可能性を持つ。
[22] 보도자료 2024シーズン以降のリーグ構造・大会方式について 各カテゴリーのクラブ数を20に統一 リーグカップ戦をJ1・J2・J3全クラブ参加のノックアウト方式に変更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12-20
[23] 문서 J1のエクスパンションによりJ2降格なし
[24] 문서 COVID-19のパンデミックにより、J2への降格なし
[25] 문서 COVID-19のパンデミックにより、J3への降格なし
[26]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 通算勝敗表 https://data.j-leagu[...]
[27] 웹사이트 対戦データ https://data.j-leagu[...]
[28] 문서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規約・規程集 https://www.jleague.[...]
[29] 보도자료 明治安田生命J1リーグチャンピオンに授与される 明治安田生命杯「球軌道」が完成 http://www.jleague.j[...] J.LEAGUE.jp 2015-11-27
[30] 웹사이트 Jリーグアウォーズの大改革が決定!! J2・J3にもMVP、ベスト11、最優秀ゴールを新設へ https://web.gekisaka[...]
[31] 웹사이트 通算出場試合数ランキング https://data.j-leagu[...] 2022-11-20
[32] 웹사이트 通算得点ランキング https://data.j-lea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