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사커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사커 리그(JSL)는 1965년부터 1991/92 시즌까지 일본에서 운영된 실업 축구 리그이다. 기업을 대표하는 팀들이 승강제를 통해 경쟁했으며, 처음에는 단일 디비전으로 시작하여 1972년 2부 리그가 추가되었다. JSL은 일본 축구의 수준 향상을 목표로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했지만, 1980년대 들어 프로화를 모색했고, 1993년 J리그 출범으로 해체되었다. 주요 참가 팀으로는 히타치, 후루카와 전기, 미쓰비시 중공업, 닛산 등이 있었으며, 개인 수상과 다양한 공식전을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NRFL 챔피언십
    NRFL 챔피언십은 뉴질랜드 북부 지역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2부 리그로, 우승팀은 최상위 리그인 내셔널 리그로 승격할 기회를 얻으며 센트럴 유나이티드 등이 최다 우승팀이고 2024년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 196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노던 리그 (뉴질랜드)
    노던 리그는 뉴질랜드 북부 지역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서,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의 예선 리그 역할을 하며 오클랜드 시티 FC를 포함한 다양한 클럽들이 참가한다.
  • 일본의 축구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일본의 축구 - 축국
    축국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군사 훈련, 오락 등으로 발전했으며, 한나라 시대에 황실에서 인기를 얻고 송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명나라 시대에 쇠퇴하여 사라진 공을 차는 스포츠이다.
일본 사커 리그
기본 정보
일본 사커 리그 로고
일본 사커 리그 로고
국가일본
연맹AFC
창립1965년
해체1992년
후신J리그
리그 단계1부 (1965–1971)
참가 팀 수12
강등지역 리그
리그 시스템1부 (1965–1971)
국내 컵천황배
JSL컵
대륙 컵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컵 위너스컵
최근 우승팀요미우리 (1991–92 시즌)
최다 우승팀마쓰다 (5회)
요미우리 (5회)
일본어 명칭
일본어日本サッカーリーグ (Nihon Sakkā Rīgu)
역대 우승팀
1부 리그 최다 우승팀동양 공업, 요미우리 클럽 (각 5회)
2부 리그 최다 우승팀요미우리 클럽, 혼다기연 공업, 일본 강관, 스미토모 금속, 도시바 (각 2회)

2. 역사

각 JSL 팀은 일본 프로 야구 팀과 마찬가지로 기업을 대표했으며, 팀을 소유한 회사의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야구와 달리 승강제가 시행되었다. 선수들은 공식적으로 아마추어였고 모회사 직원이었지만, 특히 후기에는 최고 선수들이 축구 선수로 활동하기 위해 급여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1972년에는 2부 리그가 추가되었다. 클럽들은 전일본 선수권 축구 대회 컵 대회에서 우승한 후 JSL 최하위 팀과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SL에 참여할 수 있었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2부 리그 챔피언과 준우승팀 모두 1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1984년까지는 준우승팀만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JSL의 주요 팀으로는 히타치, 후루카와 전기, 미쓰비시 중공업, 닛산, 도요 공업(마쓰다) 및 요미우리 신문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현재 각각 가시와 레이솔,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산프레체 히로시마도쿄 베르디이다. 후루카와/제프 유나이티드는 2부 리그로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었으며, 2009년까지 이 기록을 유지했다.

JSL은 1991/92 시즌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고, 1993년에 J리그가 출범했다. JSL 상위 9개 클럽(독립 구단 시미즈 S-펄스)은 J리그의 창립 멤버가 되었고, 요미우리 클럽과 합병한 요미우리 주니어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새로 창설된 재팬 풋볼 리그에 참가했다.

2. 1. 창설 배경 (1960년대)

데트마르 크라머 당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가 일본 축구의 발전을 위해 리그전 도입을 제안했다.[2] 니시무라 쇼이치, 시게마츠 요시노리를 중심으로 설립위원회가 구성되었고, 나가누마 켄, 오카노 슌이치로, 히라키 류조 등이 합류했다.

나가누마 켄은 JSL 발족의 목적을 다음 세 가지로 설명했다.

# 회사원으로서 직업을 유지하면서 높은 수준의 축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축구 보급에 기여하는 것

# 선수들에게 일상적인 훈련 목표를 부여하고, 격렬한 경기 경험을 쌓게 하여 국제 경기에 대비하는 것

1965년에 발족한 JSL의 초창기 참가 팀은 다음과 같다.

  • 도요 공업
  • 야하타 제철
  • 후루카와 전공
  • 미쓰비시 중공
  • 히타치
  • 얀마
  • 도요타 직기
  • 나고야 상호 은행


사회인뿐만 아니라 대학에도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 리그 명칭에 '실업단'을 넣지 않고 '일본 축구 리그'로 정했다. 후루카와, 미쓰비시 중공, 히타치 3개 클럽은 도쿄 마루노우치에 본사를 두고 있어 '마루노우치 3인방'으로 불리며 리그 운영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3]

2. 2. 1970년대: 침체와 변화의 시기

1968년 멕시코 올림픽에서 일본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축구 붐이 일었지만, 이후 대표팀의 성적 부진으로 1970년대 중반 이후 관객 동원이 저조해졌다.[5] 1974년 JSL은 창설 10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는데, 수입은 6873.492400000001만이었지만 지출이 7393.211700000001만으로 519.7193000000001만의 적자였다. 이익금으로 축구 전용 경기장 건설 자금을 충당하려던 계획도 중단되었다.

당시 고액 상금으로 화제를 모았던 테니스 대회 '브리지스톤 복식'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축구 인기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본 축구 선수들은 프로가 아닌 각 기업의 정사원 신분으로, 회사원과 같은 급여를 받으며 경기에 참가했다.

관중 동원도 부진하여, 1977년 시즌 평균 관객 수는 1,733명에 불과했다. 이는 부풀려진 숫자였으며, 팀 관계자를 제외하면 관객 수가 10명인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가누마 겐은 1976년 일본 축구 협회 전무 이사로 취임하여, 축구 저변 확대와 일본 대표팀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축구의 피라미드 구조가 일본에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부진이 발생했다고 생각하고, 저변 확대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했다.

2. 3. 1980년대 ~ 1992년: 프로화 모색과 JSL 해체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요미우리 클럽, 닛산 자동차와 같이 프로화를 염두에 둔 클럽들이 성장했다.[1] 1986년에는 스페셜 라이선스 플레이어 제도가 도입되어 사실상 프로 선수 등록을 인정했다.[2] 이후 이 두 클럽이 타이틀을 거의 독점했고, 두 팀의 대결은 축구 팬들의 인기를 끌었다. 1991-92 시즌 마지막 경기인 1992년 3월 22일 국립 카스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는 6만 명의 관중이 모였다.

모리 다카지 감독이 이끄는 일본 대표팀은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프로화를 먼저 시작한 한국에 패배했다.[3] 이를 계기로 일본 축구계에서도 프로화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4] 1988년 모리 겐지 일본 리그 총무 주임은 "활성화 위원회"를 설치했고,[5] 1989년 "프로 리그 검토 위원회",[6] 1991년 "프로 리그 설립 준비실"을 거쳐,[7] 1991년 11월에 사단법인 일본 프로 축구 리그가 정식 발족했다.[8] 이에 따라 JSL은 1992년 3월 29일 최종전을 끝으로 폐지되었으며,[9]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와 하부 조직인 재팬 풋볼 리그(JFL)로 재편되었다.

3. 구조

각 JSL 팀은 일본 프로 야구 팀과 마찬가지로 모기업의 이름을 사용했지만, 승강제가 시행되었다는 점이 달랐다. 선수들은 공식적으로 아마추어 신분으로 모기업의 직원이었다. 그러나 후기에는 최고 선수들이 축구 선수로 활동하기 위해 급여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원래 JSL은 단일 디비전으로 구성되었지만, 1972년에 2부 리그가 추가되었다. 클럽들은 전일본 선수권 축구 대회 컵 대회에서 우승한 후 JSL 최하위 팀과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SL에 참여할 수 있었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2부 리그 챔피언과 준우승팀 모두 1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이후 1984년까지는 준우승팀만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JSL의 주요 팀으로는 히타치 (현 가시와 레이솔), 후루카와 전기 (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미쓰비시 중공업 (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닛산 (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도요 공업/마쓰다 (현 산프레체 히로시마), 요미우리 신문 (현 도쿄 베르디) 등이 있었다.[4] 후루카와 전기/제프 유나이티드 지바는 2부 리그로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었으며, 이 기록은 2009년까지 유지되었다.

JSL은 1991/92 시즌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고, 1993년에 J리그가 시작되었다. JSL 상위 9개 클럽(독립 구단 시미즈 S-펄스 포함)은 J리그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요미우리 클럽과 합병한 요미우리 주니어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새로 창설된 재팬 풋볼 리그에 참가했다.

3. 1. 1부 리그

일본 사커 리그(JSL)는 1972년에 2부 리그를 추가하여 운영되었다. 1972년 이전에는 단일 리그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JSL 1부 리그의 주요 팀으로는 히타치 (현 가시와 레이솔), 후루카와 전기 (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미쓰비시 중공업 (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닛산 (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도요 공업/마쓰다 (현 산프레체 히로시마), 요미우리 신문 (현 도쿄 베르디) 등이 있었다.[4] 이 중 후루카와 전기/제프 유나이티드 지바는 2009년까지 2부 리그로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었다.

1991-92 시즌을 끝으로 JSL은 해체되었고, 상위 9개 클럽과 독립 구단 시미즈 S-펄스는 1993년에 출범한 J리그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다음은 JSL 1부 리그에 참가했던 클럽들의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이다. (1991-92 시즌 당시 클럽명 기준, ''기울임꼴''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 클럽)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요미우리 FC531983, 1984, 1986–87, 1990–91, 1991–921979, 1981, 1989–90
마쓰다 SC511965, 1966, 1967, 1968, 19701969
미쓰비시 자동차461969, 1973, 1978, 19821970, 1971, 1974, 1975, 1976, 1977
얀마 디젤441971, 1974, 1975, 19801968, 1972, 1978, 1982
후지타 SC311977, 1979, 19811980
닛산 자동차241988–89, 1989–901983, 1984, 1990–91, 1991–92
JR 동일본 후루카와211976, 19851967
히타치1119721973
야마하 자동차101987–88
NKK SC03style="border-top-width: 2px;"|1985, 1986–87, 1987–88
신일본제철 야와타021965, 1966
전일본공수 SC011988–89


3. 2. 2부 리그

1972년, 일본 사커 리그(JSL)에 2부 리그가 신설되었다. 2부 리그는 1부 리그로 승격하기 위한 경쟁의 장이었다. 초기에는 전일본 선수권 축구 대회 우승팀과 JSL 최하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2부 리그에 참여할 수 있었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2부 리그 챔피언과 준우승팀 모두 1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1984년까지는 준우승팀만 플레이오프에 참여했다.

JSL 2부 리그에는 다양한 클럽들이 참가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현재 J리그 클럽으로 성장했다. 예를 들어 히타치(현 가시와 레이솔), 미쓰비시 중공업(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등이 JSL 2부 리그를 거쳐 J리그에 합류했다.

다음은 1991-92 시즌까지 JSL 2부 리그 우승 및 준우승 클럽 목록이다.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요미우리 FC221974, 19771975, 1976
스미토모 금속221984, 19861983, 1991–92
도시바 SC211979, 1988–891982
혼다 모터스201978, 1980
NKK SC201981, 1983
토요타 자동차1219721986, 1989–90
후지쯔1219761974, 1980
타나베 제약1119751972
야마하 모터1119821979
마쓰시타 전기1119851987
전일본공수 SC1119871984
히타치111990–911988–89
에이다이 공업101973
미쓰비시 자동차101989–90
후지타 SC101991–92
닛산 자동차031977, 1978, 1981
마쓰다 SC021985, 1990–91
고후 SC011973


4. JSL에 참가했던 클럽

JSL에 참가했던 클럽들은 기업을 대표했으며, 일본 프로 야구 팀과 마찬가지로 모기업의 이름을 사용했다. 선수들은 공식적으로 아마추어 신분으로 모기업의 직원이었다. 그러나, 특히 후기에는 최고 선수들은 축구 선수로 활동하기 위해 급여를 받았다.[1]

1972년에는 2부 리그가 추가되었다. 클럽들은 전일본 선수권 축구 대회에서 우승한 후 JSL 최하위 팀과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SL에 참여할 수 있었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2부 리그 챔피언과 준우승팀 모두 1부 리그 최하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1984년까지는 준우승팀만 플레이오프를 치렀다.[1]

JSL의 주요 팀으로는 가시와 레이솔(히타치),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후루카와 전기),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미쓰비시 중공업), 요코하마 F. 마리노스(닛산), 산프레체 히로시마(도요 공업, 마쓰다), 도쿄 베르디(요미우리 신문) 등이 있었다. 이 중 후루카와/제프 유나이티드는 2부 리그로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었다.[1]

JSL은 1991/92 시즌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고, 1993년에 J리그가 출범했다. JSL 상위 9개 클럽은 독립 구단 시미즈 S-펄스와 함께 J리그 창립 멤버가 되었다. 요미우리 축구 클럽과 합병한 요미우리 주니어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새로 창설된 재팬 풋볼 리그에 참가했다.[1]

1991-92 시즌에 사용하던 이름을 기준으로, JSL에 참가했던 클럽들의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요미우리 FC221974, 19771975, 1976
스미토모 금속221984, 19861983, 1991–92
도시바 SC211979, 1988–891982
혼다 모터스201978, 1980
NKK SC201981, 1983
토요타 자동차1219721986, 1989–90
후지쯔1219761974, 1980
타나베 제약1119751972
야마하 모터1119821979
마쓰시타 전기1119851987
전일본공수 SC1119871984
히타치111990–911988–89
에이다이 공업101973
미쓰비시 자동차101989–90
후지타 SC101991–92
닛산 자동차031977, 1978, 1981
마쓰다 SC021985, 1990–91
고후 SC011973



초창기에는 도요 공업(마쓰다)이 1965년부터 4연패를 달성하는 등 훈련 시설을 확보한 클럽이 적지 않았다. 다른 클럽들도 훈련 시설을 확충했으며, 수도권 클럽들도 자체 연습장, 클럽 하우스, 야간 조명 등을 확보했다. J리그 클럽 중에는 이러한 시설을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1]

4. 1. 창설 당시 8개 클럽 (오리지널 8)


  • 후루카와 전기 (1991년부터 동일본 JR 후루카와 축구 클럽)
  • 히타치 제작소 본사 축구부 (1971년부터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
  • 미쓰비시 중공업 축구부 (1990년부터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 축구부)
  • 도요타 자동 직기 축구부
  • 나고야 상호 은행 축구부
  • 얀마 디젤 축구부
  • 도요 공업 킥볼부 (1970년부터 도요 공업 축구부, 1981년부터 마쓰다 스포츠 클럽 도요 공업 축구부, 1984년부터 마쓰다 스포츠 클럽 축구부, 1986년부터 마쓰다 축구 클럽)
  • 야하타 제철 축구부 (1970년부터 신일본제철 축구부) (현재 해산)

4. 2. 승격을 통해 JSL 1부에 소속된 클럽

4. 3. JSL 2부에만 소속된 클럽


  • 고후 클럽
  • 교토 시코 클럽
  • 일본경금속 축구부 (1973년부터 하고로모 클럽, 현재는 해산)
  • 미쓰비시 전선 공업 축구부 (현재는 해산)
  • NTT 서일본 교토 축구부 (1985년부터 NTT 간사이 축구부, 현재는 해산)
  • 테이진 마쓰야마 축구부 (1978년부터 테이진 축구부, 현재는 해산)
  • 히타치 제작소 이바라키 히타치 축구부 (이바라키 히타치)
  • 얀마 클럽 (현재는 해산)
  • 후루카와 전기공업 지바 사업소 축구부 (후에 VONDS 이치하라)
  • 코스모 석유 요카이치 FC (1986년부터 코스모 석유 축구부)
  • 나고야 축구 클럽
  • 사이타마 축구 클럽 (사이타마현 교원 축구 클럽)
  • 도호 티타늄 축구부
  • 세이노 운수 축구부 (현재는 해산)
  • 교토부 경찰본부 축구부
  • TDK 축구부 (후에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오사카 가스 축구부
  • 가와사키 제철 미즈시마 축구부 (1988년부터 가와사키 제철 축구부, 후에 빗셀 고베)
  • 덴덴공사 간토 축구부 (1985년부터 NTT 간토 축구부, 후에 오미야 아르디자)
  • 마쓰다 오토 히로시마 축구부 (현재는 해산)
  • 후지에다 시청 축구부
  • 요미우리 축구 클럽 주니오르 (현재는 해산)
  • 오츠카 제약 축구부 (후에 도쿠시마 보르티스)
  • 도쿄 가스 축구부 (후에 FC 도쿄)
  • 중앙 방범 축구부 (후에 아비스파 후쿠오카)

5. 역대 JSL 1부 리그 기록

일본 사커 리그(JSL) 1부 역대 기록은 다음과 같다.

1974년, JSL은 창설 10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수입은 68734924JPY이었지만, 지출이 73932117JPY로, 5197193JPY의 적자를 기록했다.[4]

1977년, JSL의 한 경기 평균 관객 수는 1,733명이었다. 이는 부풀려진 숫자였으며, 경기 후 선수들은 텅 빈 경기장을 향해 머리를 숙였다.[6]

=== 클럽별 우승 횟수 ===

클럽명횟수우승 시즌
도요 공업 / 산프레체 히로시마51965, 1966, 1967, 1968, 1970
요미우리 클럽 / 도쿄 베르디1983, 1984, 1986/87, 1990/91, 1991/92
미쓰비시 중공업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41969, 1973, 1978, 1982
얀마 / 세레소 오사카1971, 1974, 1975, 1980
후지타 공업 / 쇼난 벨마레31977, 1979, 1981
후루카와 전공 /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21976, 1985
닛산 자동차 / 요코하마 F. 마리노스1988/89, 1989/90
히타치 제작소 / 가시와 레이솔11972
야마하 발동기 / 주빌로 이와타1987/88

[1]

=== 클럽별 통산 성적 ===

순위클럽명창설첫 출장최종 출장재적 시즌 수승점경기 수승리 수PK 승리 수무승부 수PK 패배 수패배 수득점 수실점 수득실차우승 횟수최고 순위최저 순위클럽명 변천후계 J리그 클럽
1미쓰비시 중공업1950년19651991/92267504602111010251326825071754회1위12위미쓰비시 중공업→
미쓰비시 자동차
우라와 레즈
2고가와 전공1946년19651991/9227731482203811131577055961092회1위10위고가와 전공→
JR고가와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3얀마1957년19651990/9126703460195510851476795701094회1위11위align=left |세레소 오사카
4히타치 제작소1940년19651991/922454341615110764175581608-271회1위12위히타치 본사→
히타치 제작소
가시와 레이솔
4도요 공업1938년19651991/922254337614998071315264241025회1위11위도요 공업→
마쓰다
산프레체 히로시마
6후지타 공업1968년19721989/901852034014457491084953721233회1위11위후지와 부동산→
후지타
쇼난 벨마레
7요미우리 클럽1969년19781991/92145032801441655654812861955회1위9위align=left |도쿄 베르디
8일본 강관1932년19671990/9121396378984908178404601-197-2위12위일본 강관→
NKK
align=left |
9신일본제철1950년1965198117385274110640910943340627-2위9위야하타 제철→
신일본제철
align=left |
10닛산 자동차1972년19791991/9212384244109254178315284312회1위10위align=left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1야마하 발동기1972년19801991/92113222268606407625524961회1위10위align=left |주빌로 이와타
12혼다 기연 공업1971년19811991/921128922672073081251267-16-3위10위align=left |align=left |
13전일본공수 클럽1964년19851991/92513911038025047131145-14-2위12위전일본공수 요코하마→
전일본공수 클럽
요코하마 플뤼겔스
14마쓰시타 전기1980년1986/871991/92512811031035044122152-30-5위11위align=left |감바 오사카
15도요타 자동차1939년19731991/92810515624033099128363-235-5위12위도요타 자공→
도요타 자동차
나고야 그램퍼스
16도세이1935년1989/901991/9238266190250227276-4-4위9위도세이 호리카와초→
도세이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17에이 다이산교1972년1974197636954190120236783-16-5위9위에이 다이산교→
에이 다이
align=left |
18스미토모 금속1947년19851988/89360661501503650101-51-10위11위align=left |가시마 앤틀러스
19나고야 상호 은행불명1965197163884901106476210-134-6위8위align=left |align=left |
20후지쓰1955년19771978228366307203267-35-9위9위align=left |가와사키 프론탈레
21도요타 자동 직기1946년196519673204240803038112-74-6위8위align=left |align=left |
22다나베 제약1927년197319731418101016751-44-10위10위align=left |align=left |



=== 개인 수상 ===

일본 사커 리그(日本サッカーリーグ일본어)의 개인 수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내용비고
득점왕[2] (골든볼 상)닛칸 스포츠 신문사 제공, 제26회를 제외하고 1명만 수상, 다른 득점왕은 별도 표창
도움왕[2] (실버볼 상)닛칸 스포츠 신문사 제공, 제26회를 제외하고 1명만 수상, 다른 도움왕은 별도 표창, 제2회부터 시상
스타볼 상[2]제2회부터 제8회까지 시상
투혼상[2]제3회부터 제8회까지 시상
신인왕[2]도쿄 신문, 주니치 신문사, 도쿄 츄니치 스포츠 제공, 제9회부터 시상
베스트 골키퍼상[2]울 스포츠/리버먼 해외 제공, 제23회부터 시상
최우수 선수상[2]스포츠 닛폰 신문사 제공, 제24회부터 시상
베스트 11[2] (호치・연간 우수 11인상)호치 신문사 제공, 제2회부터 시상
클린&익사이팅 상[2]최우수상 1명 포함 우수상 각 클럽 1명, 칼비 제공, 제25회부터 시상
100(200)경기 출장 선수[2]100경기마다, 272경기 출장의 나가이 요시카즈 이하 17명이 200경기 출장
100(200)득점[2]100득점마다, 100득점 이상의 조건을 충족한 것은 가마모토 구니시게뿐, 200득점 표창도 수상
우수 심판원상[2]제27회부터 시상
주심 30(60)경기 출장[2]30경기마다, 85경기 출장의 사노 토시카즈 이하 12명이 60경기 출장



=== 개인 기록 ===

일본 사커 리그 역대 경기 관객 수 순위
순위관객 수대전 카드개최일경기장
160,000닛산 - 요미우리 클럽1992년 3월 22일국립 가스미가오카
241,000야마하 - 닛산1989년 2월 26일
340,000미쓰비시 - 얀마1968년 11월 17일
고가 - 요미우리 클럽1989년 2월 26일
536,000요미우리 클럽 - 스미킨1988년 5월 1일
635,000미쓰비시 - 얀마1969년 4월 6일
미쓰비시 - 얀마1975년 12월 14일
요미우리 클럽 - 미쓰비시1989년 2월 26일
930,000요미우리 클럽 - 얀마1983년 11월 3일
요미우리 클럽 - 닛산1984년 9월 22일
1130,000히타치 - 요미우리 클럽1992년 3월 15일지바 종합


5. 1. 시즌별 기록

다나베 제약281,5001779197310미쓰비시 중공업히타치 제작소다나베 제약에이다이 산업260,800264101974얀마미쓰비시 중공업--299,600262111975얀마미쓰비시 중공업--268,200268121976고가 전공미쓰비시 중공업에이다이 산업(탈퇴)후지쯔232,400238131977후지타 공업미쓰비시 중공업도요타 자동차 공업요미우리 클럽159,650315141978미쓰비시 중공업얀마후지쯔닛산 자동차191,900245151979후지타 공업요미우리 클럽일본 강관야마하 발동기200,630248161980얀마후지타 공업닛산 자동차혼다 기술연구소196,630263171981후지타 공업요미우리 클럽신일본 제철
야마하 발동기일본 강관
닛산 자동차163,080214181982미쓰비시 중공업얀마일본 강관야마하 발동기194,150214191983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마쓰다일본 강관248,870193201984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스미토모 금속
전일본공수 요코하마327,70025221198512고가 전공일본 강관스미토모 금속
전일본공수 요코하마마쓰시타 전기
마쓰다481,450323221986/87요미우리 클럽일본 강관마쓰시타 전기
히타치 제작소스미토모 금속
도요타 자동차731,950278231987/88야마하 발동기일본 강관마쓰다
도요타 자동차전일본공수 요코하마
마쓰시타 전기640,300238241988/89닛산 자동차전일본공수 클럽스미토모 금속
미쓰비시 중공업도시바
히타치 제작소664,800292251989/90닛산 자동차요미우리 클럽후지타 공업
히타치 제작소미쓰비시 중공업
도요타 자동차540,000305261990/91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얀마
NKK히타치 제작소
마쓰다754,300287271991/92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885,400318

5.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명횟수우승 시즌
도요 공업 / 산프레체 히로시마51965, 1966, 1967, 1968, 1970
요미우리 클럽 / 도쿄 베르디1983, 1984, 1986/87, 1990/91, 1991/92
미쓰비시 중공업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41969, 1973, 1978, 1982
얀마 / 세레소 오사카1971, 1974, 1975, 1980
후지타 공업 / 쇼난 벨마레31977, 1979, 1981
후루카와 전공 /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21976, 1985
닛산 자동차 / 요코하마 F. 마리노스1988/89, 1989/90
히타치 제작소 / 가시와 레이솔11972
야마하 발동기 / 주빌로 이와타1987/88

[1]

5. 3. 클럽별 통산 성적

미쓰비시 자동차우라와 레즈2고가와 전공1946년19651991/9227731482203811131577055961092회1위10위고가와 전공→
JR고가와제프 유나이티드 지바3얀마1957년19651990/9126703460195510851476795701094회1위11위align=left |세레소 오사카4히타치 제작소1940년19651991/922454341615110764175581608-271회1위12위히타치 본사→
히타치 제작소가시와 레이솔4도요 공업1938년19651991/922254337614998071315264241025회1위11위도요 공업→
마쓰다산프레체 히로시마6후지타 공업1968년19721989/901852034014457491084953721233회1위11위후지와 부동산→
후지타쇼난 벨마레7요미우리 클럽1969년19781991/92145032801441655654812861955회1위9위align=left |도쿄 베르디8일본 강관1932년19671990/9121396378984908178404601-197-2위12위일본 강관→
NKKalign=left |9신일본제철1950년1965198117385274110640910943340627-2위9위야하타 제철→
신일본제철align=left |10닛산 자동차1972년19791991/9212384244109254178315284312회1위10위align=left |요코하마 F. 마리노스11야마하 발동기1972년19801991/92113222268606407625524961회1위10위align=left |주빌로 이와타12혼다 기연 공업1971년19811991/921128922672073081251267-16-3위10위align=left |align=left |13전일본공수 클럽1964년19851991/92513911038025047131145-14-2위12위전일본공수 요코하마→
전일본공수 클럽요코하마 플뤼겔스14마쓰시타 전기1980년1986/871991/92512811031035044122152-30-5위11위align=left |감바 오사카15도요타 자동차1939년19731991/92810515624033099128363-235-5위12위도요타 자공→
도요타 자동차나고야 그램퍼스16도세이1935년1989/901991/9238266190250227276-4-4위9위도세이 호리카와초→
도세이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17에이 다이산교1972년1974197636954190120236783-16-5위9위에이 다이산교→
에이 다이align=left |18스미토모 금속1947년19851988/89360661501503650101-51-10위11위align=left |가시마 앤틀러스19나고야 상호 은행불명1965197163884901106476210-134-6위8위align=left |align=left |20후지쓰1955년19771978228366307203267-35-9위9위align=left |가와사키 프론탈레21도요타 자동 직기1946년196519673204240803038112-74-6위8위align=left |align=left |22다나베 제약1927년197319731418101016751-44-10위10위align=left |align=left |


5. 4. 개인 수상

日本サッカーリーグ일본어의 개인 수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내용비고
득점왕[2] (골든볼 상)닛칸 스포츠 신문사 제공, 제26회를 제외하고 1명만 수상, 다른 득점왕은 별도 표창
도움왕[2] (실버볼 상)닛칸 스포츠 신문사 제공, 제26회를 제외하고 1명만 수상, 다른 도움왕은 별도 표창, 제2회부터 시상
스타볼 상[2]제2회부터 제8회까지 시상
투혼상[2]제3회부터 제8회까지 시상
신인왕[2]도쿄 신문, 주니치 신문사, 도쿄 츄니치 스포츠 제공, 제9회부터 시상
베스트 골키퍼상[2]울 스포츠/리버먼 해외 제공, 제23회부터 시상
최우수 선수상[2]스포츠 닛폰 신문사 제공, 제24회부터 시상
베스트 11[2] (호치・연간 우수 11인상)호치 신문사 제공, 제2회부터 시상
클린&익사이팅 상[2]최우수상 1명 포함 우수상 각 클럽 1명, 칼비 제공, 제25회부터 시상
100(200)경기 출장 선수[2]100경기마다, 272경기 출장의 나가이 요시카즈 이하 17명이 200경기 출장
100(200)득점[2]100득점마다, 100득점 이상의 조건을 충족한 것은 가마모토 구니시게뿐, 200득점 표창도 수상
우수 심판원상[2]제27회부터 시상
주심 30(60)경기 출장[2]30경기마다, 85경기 출장의 사노 토시카즈 이하 12명이 60경기 출장


5. 5. 개인 기록

일본 사커 리그 역대 경기 관객 수 순위
순위관객 수대전 카드개최일경기장
160,000닛산 - 요미우리 클럽1992년 3월 22일국립 가스미가오카
241,000야마하 - 닛산1989년 2월 26일
340,000미쓰비시 - 얀마1968년 11월 17일
고가 - 요미우리 클럽1989년 2월 26일
536,000요미우리 클럽 - 스미킨1988년 5월 1일
635,000미쓰비시 - 얀마1969년 4월 6일
미쓰비시 - 얀마1975년 12월 14일
요미우리 클럽 - 미쓰비시1989년 2월 26일
930,000요미우리 클럽 - 얀마1983년 11월 3일
요미우리 클럽 - 닛산1984년 9월 22일
1130,000히타치 - 요미우리 클럽1992년 3월 15일지바 종합


5. 6. 시즌별 기록

테이진 마츠야마21973에이다이 산업고후 클럽토요타 자동 직기
하고로모 클럽스미토모 금속
이바라키 히타치31974요미우리 클럽후지쯔이바라키 히타치혼다 기술 연구소41975타나베 제약요미우리 클럽전전 긴키
다이니혼 전선얀마 클럽
후루카와 전기 지바51976후지쯔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61977요미우리 클럽닛산 자동차후루카와 전기 지바도시키바 호리카와초71978혼다 기술 연구소닛산 자동차교토 시코 클럽야마하 발동기81979도시키바 호리카와초야마하 발동기얀마 클럽 (해산)다이쿄 석유91980혼다 기술 연구소후지쯔다이쿄 석유나고야 클럽101981일본 강관닛산 자동차나고야 클럽사이타마 교원111982야마하 발동기도시키바테이진도호 티타늄121983일본 강관스미토모 금속도호 티타늄
사이타마 교원요코하마 트라이스타 (전일본공수 요코하마)
마쓰시타 전기131984스미토모 금속전일본공수 요코하마-세이노 운수
교토부 경찰
TDK
오사카 가스14198512마쓰시타 전기마쓰다-코스모 다이쿄 (코스모 석유)
가와사키 제철 미즈시마
도호 티타늄
NTT 간사이15198616스미토모 금속토요타 자동차교토부 경찰
TDKNTT 간토
마쓰다 오토 히로시마161987전일본공수 클럽마쓰시타 전기세이노 운수
마쓰다 오토 히로시마테이진
후지에다 시청171988/89도시키바히타치 제작소NTT 간사이
후지에다 시청마쓰다 오토 히로시마
교토 시코 클럽181989/90미쓰비시 중공업토요타 자동차테이진
마쓰다 오토 히로시마요미우리 주니어
오츠카 제약191990/91히타치 제작소마쓰다오사카 가스
신일본제철도쿄 가스
중앙 방범201991/92후지타스미토모 금속--

5. 7.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명횟수우승 시즌
요미우리 클럽21974, 1977
혼다 기켄1978, 1980
도시바1979, 1988/89
니폰 강관1981, 1983
스미토모 금속1984, 1986
도요타 자공11972
에이다이 산업1973
타나베 제약1975
후지쯔1976
야마하 발동기1982
마쓰시타 전기1985
전일본공수 요코하마1987
미쓰비시 중공1989/90
히타치 제작소1990/91
후지타1991/92


5. 8. 클럽별 통산 성적

도시바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6도요타 자동차1939년19721989/9012390250113445286425341841회1위9위도요타 자공→
도요타 자동차나고야 그램퍼스7교토 시코 클럽1922년19721991/921024921665544597278366-88-3위14위교토 상가 FC8마쓰다1938년19841990/9152471267302802522992137-2위6위도요 공업→
마쓰다산프레체 히로시마9데이진1960년19731989/9012246230666348116287450-163-5위16위데이진 마쓰야마→
데이진10신일본제철1950년19821990/91921818863029096227323-96-4위16위야하타 제철→
신일본제철11NTT 간토1969년19871991/9252081465604005018317013-5위9위오미야 아르디자12가와사키 제철1966년19861991/92620315855038065188197-9-7위12위가와사키 제철 미즈시마→
가와사키 제철빗셀 고베13요미우리 클럽1969년197219776201108611161292481351132회1위7위도쿄 베르디14혼다 기연 공업1971년19751980619710857513825196121752회1위7위14코스모 석유불명19801991/92719718453038093199279-80-7위11위다이쿄 석유→
코스모 석유16히타치 제작소1940년19871990/9131798654017015166581081회1위4위히타치 본사→
히타치 제작소가시와 레이솔17일본 강관1932년19801991/924167844902001515575802회1위4위일본 강관→
NKK18도호 티타늄1955년19831991/92714916837038093147293-146-9위14위19후지타1968년1990/911991/92214460450906139321071회1위3위후지와 부동산→
후지타쇼난 벨마레20마쓰시타 전기1980년19841987314066410170813747901회1위3위감바 오사카21NTT 간사이불명19721988/89713213236024072167255-88-4위15위전전 긴키→
NTT 간사이21오사카 가스1946년19851990/91613215034030086122282-160-6위15위23전일본공수 요코하마1964년198419873127663701601311666501회1위11위전일본공수 요코하마→
전일본공수 클럽요코하마 플뤼겔스24닛산 자동차1972년197719813102542964510845034-2위2위요코하마 F. 마리노스25얀마1972년197619794987228950301141086-4위6위26오츠카 제약1955년1990/911991/9228560260702777761-6위10위도쿠시마 보르티스27야마하 발동기1972년19791982276362225346830381회1위2위주빌로 이와타27다이니혼 전선불명197219754767220016036117140-23-6위10위29세이노 운수1974년1985198737362200130295487-33-4위15위30미쓰비시 중공업1950년1989/901989/90170302204048925641회1위1위미쓰비시 중공업→
미쓰비시 자동차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31얀마1957년1991/921991/9216530200505561739-3위3위세레소 오사카32요미우리 주니어1979년1990/911991/9225960160110335793-36-8위16위33도쿄 가스1935년1991/921991/9214630120100830282-7위7위FC 도쿄34에이다이 산업1972년19731973137181104035124271회1위1위에이다이 산업→
에이다이35일본 경금속1948년197219732353610050215681-25-6위10위일본 경금속→
하고로모 클럽36고가 전공 지바1967년19761977232368224203679-43-9위10위VONDS 이치하라37사이타마 교원1953년19821983228368040242866-38-9위10위38마쓰다 오토 히로시마불명19871989/902275070603746127-81-15위16위38주오 보한1982년1991/921991/92127307060173352-19-12위12위아비스파 후쿠오카40교토부 경찰불명19851986225347040232789-62-10위16위40도요타 자동 직기1946년19721973225366070233470-36-9위10위42후지에다 시청1959년1988/891988/89110202040141138-27-16위16위43나고야 클럽1950년1981198117182010151672-56-10위10위43이바라키 히타치1923년1974197417181040131043-33-10위10위45TDK1965년19851986243400403025113-88-12위15위블라우블리츠 아키타

6. JSL 주최 기타 공식전

7. 홍보

하쿠호도가 일본 리그 20주년을 기념하여 그동안의 감사와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기 위해 제작하였다. 이후, 그 해의 축구를 상징하거나 축구계에 대한 메시지가 담긴 포스터가 발표되었다.

회차연도포스터 제목모델
제20회1984격투기 선언.가마모토 구니시게
제21회1985보여줘, 슛!아카시야 산마
제22회1986/87샐러리맨 축구 시대는 끝났다.오쿠데라 야스히코
제23회1987/88올해는 우시와카 축구입니다.다케다 노부히로
제24회1988/89부처의 얼굴도, 23번까지다.가마모토 구니시게
제25회1989/90클린 & 익사이팅없음
제26회1990/91페레스트라이커데이비드 로이드 오스틴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닮은꼴)
제27회1991/92힘내라페레스트라이커아치 케슬 (조지 H. W. 부시의 닮은꼴)


8. 방송

주로 일본 교육 텔레비전의 "빅 스포츠", 도쿄 12 채널의 "선데이 스포츠 아워"에서 주목할 만한 경기를 중계했다.

1974년에는 후지 텔레비전에서도 10경기를 중계했는데, 해설은 스기야마 류이치가, 실황은 이와사 토루가 맡았다. 국립 경기장 중계에는 펠레가 특별 출연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러나 펠레의 이야기가 너무 길어져서 이와사는 펠레의 이야기를 BGM처럼 취급하며 실황을 해야 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Jリーグの基礎である日本サッカーリーグ27年間 http://ramos.jp/info[...] 2013-05-16
[2] 간행물 『朝日新聞』(朝刊)-70年代から80年代へ話題を追って- 第13回(12月24日) ブーム裏に『企業の論理』 宣伝会議
[3] 웹사이트 松木安太郎が真面目にぶっちゃけた日本サッカー界「5つの派閥が牛耳る」タブー https://www.asagei.c[...] 徳間書店 2024-10-18
[4] 뉴스 広島のサッカー1 サンフレ 蹴球熱の結晶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4-10-18
[5]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代表監督からワールドカップ招致まで 40年間を日本協会とともに 長沼健(下) http://library.footb[...] 賀川サッカーライブラリー 2024-10-18
[6] 웹사이트 サッカー中継・小史~岩佐徹的アナウンス論70~12/09/02 https://toruiwa0514.[...]
[7] 뉴스 한국에는 박지성이 일본에는 우라와가 있다 https://sports.news.[...] 프레시안 2024-01-07
[8] 뉴스 崔(최)순호, 트레이드 시장에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1-08
[9] 뉴스 崔淳鎬 3년만에 친정 포철복귀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4-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