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밀리치 로흐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밀리치 로흐만은 체코 출신의 개혁교회 전통 신학자이다. 1948년 카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체코 형제 복음교회 목사로 서품된 후, 프라하의 코메니우스 학부에서 강사 및 교수로 활동했다. 1968년 바젤 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총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 대학교에서 객원 강연을 하고 명예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세계 교회 협의회 등 에큐메니컬 기구에서 활동하며 조직 신학과 에큐메니컬 신학 분야에 기여했다. 로흐만은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의 대화를 강조하며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1998년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훈장을 수훈했으며,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신학자 - 토마시 할리크
토마시 할리크는 체코의 사회학자, 철학자, 심리학자이자 로마 가톨릭 사제로, 다양한 대학교에서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공산주의 정권 시절 지하 교회 활동을 하고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의 자문단을 역임했으며, 종교 간 대화와 인권 보호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스위스의 신학자 - 페터 오피츠
페터 오피츠는 다양한 저서를 통해 역사적 개인주의, 공산주의 기원, 사회적 시장 경제, 자유주의, 보수주의, 새로운 세계 질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유럽과 독일의 사회, 역사, 노동 운동, 냉전 관련 공동 저술에도 참여한 학자이다. - 스위스의 신학자 - 헤르만 쿠터
헤르만 쿠터는 20세기 초 스위스의 개신교 목사이자 신학자로서, 사회 문제 해결과 신학 쇄신에 헌신하며 사회 민주주의 지지, 노동자 권익 보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회 개혁을 강조한 신학적 선구자이다. - 체코의 망명자 -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교육 개혁가이자 신학자, 작가로서 범지학 사상과 감각적 실학주의에 기반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교육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유네스코는 그의 업적을 기려 코메니우스 메달을 제정했다. - 체코의 망명자 - 이반 렌들
체코슬로바키아 출신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 이반 렌들은 1980년대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하며 8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고, 은퇴 후에는 코치와 골프 선수로도 활동하며 2001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얀 밀리치 로흐만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2년 5월 4일 |
사망 | 2004년 1월 21일 (향년 81세) |
직업 | 신학자 |
국적 |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
종교 | 개혁교회 |
배우자 | 엘즈비에타 로흐만 |
교육 | |
학력 | 프라하 |
박사 | 신학 박사 |
경력 | |
교수 | 바젤 대학교 |
교수 분야 | 조직신학 |
2. 생애와 신학
얀 밀리치 로흐만은 개혁교회 전통을 가진 가정에서 태어나 카렐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체코 형제 복음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은 후, 프라하 코메니우스 학부에서 강의하다가 바젤 대학교 조직신학 정교수로 임명되었으며, 바젤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2]
제2차 세계대전 후 체코는 소련에 의해 해방되었으나, 곧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는 공산당 정부가 들어섰다. 로흐만은 잠시 있던 해방기에 영국으로 유학하여 에밀 브루너를 만났고, 그의 추천으로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의 신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체코로 돌아와 프라하 대학교 신학부 교수가 되었고, 1967년 바젤 대학교 교수로 초빙받았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얀 밀리치 로흐만은 개혁교회 전통을 가진 가정에서 태어났다.[4] 1941년 나호트(Náchod) 고등학교를 졸업했다.[4][2] 1945년 카렐 대학교 코메니우스 개신교 신학부(현재의 카렐 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1948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4][2] 그 후 체코 형제 복음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4][2]2. 2. 학문 및 교수 활동
1945년 카렐 대학교 체코어 부문이 재개된 후, 코메니우스 개신교 신학부(현재의 카렐 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1948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 후 체코 형제 복음교회 목사로 서품을 받았다.[2] 잠시 설교자로 활동한 후, 프라하의 코메니우스 학부로 돌아와 강사로 활동하며 자격을 얻었다. 1960년부터 철학과 조직 신학 교수로 가르쳤다.[2] 컬럼비아 대학교 유니온 신학 대학원 (뉴욕 시)에서 1년간 연구를 한 후, 1968년 바젤 대학교 조직신학 정교수로 임명되었다.[3] 1981년과 1982년에는 바젤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90년부터는 체코와 슬로바키아 대학교에서 객원 강연도 할 수 있었다. 1992년부터 명예교수로 활동했다.로흐만의 신학에 의하면 ‘철저한 유산’을 공동으로 물려받은 사람들은 기독교와 사회주의 사이에서 ‘그리스도냐 프로메테우스(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냐?’를 선택해야 한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프로메테우스적인 유사(類似) 메시아적 구원론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인류 사회에서 혁명의 폭력성을 정당화하는 마르크스주의를 거부해야 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화는 계속해야 한다고 말한다.[4]
2. 3. 신학적 특징과 에큐메니컬 활동
얀 밀리치 로흐만은 칼 바르트(Karl Barth)와 에밀 브루너(Emil Brunner)의 영향을 받은 신학자였다. 그는 수십 년 동안 세계 교회 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를 비롯한 에큐메니컬 기구에서 활동했다. 1968년부터 1975년까지 WCC 중앙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위원이었으며, 1975년부터 1991년까지 WCC 신앙 및 교회 질서 위원회 위원이었다. 개혁 교회 세계 연맹(World Alliance of Reformed Churches)에서 활동했으며, 1970년부터 1982년까지 신학부 의장을 맡았다. 그의 기본적인 작업은 조직 신학과 에큐메니컬 신학 분야에 있었다.[4]로흐만은 기독교 평화 회의(Christian Peace Conference)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1960년 제3차 회의에서 그는 1961년 프라하에서 열린 제1차 전 기독교 평화 회의 준비 작업에 참여했다. 그곳에서 그는 독일의 볼프강 슈바이처와 헝가리의 M. 팔피와 함께 "냉전" 실무 그룹을 이끌었다.[4]
2. 4. 한국과의 관계
로흐만은 바젤 대학교 교수로 초빙받아 총장까지 역임했으며, 그동안 한국에도 몇 차례 방문해 설교와 강의를 했다.[4] 그의 신학은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 과정에서, 특히 진보적 기독교인들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3.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의 대화
로흐만은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 간의 대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프로메테우스적인 유사(類似) 메시아적 구원론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인류 사회에서 혁명의 폭력성을 정당화하는 마르크스주의를 거부해야 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화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
로흐만은 세계 교회 협의회(WCC)를 비롯한 에큐메니컬 기구에서 수십 년 동안 활동했다. 1968년부터 1975년까지 WCC 중앙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위원이었으며, 1975년부터 1991년까지 WCC 신앙 및 교회 질서 위원회 위원이었다. 그는 또한 개혁 교회 세계 연맹에서 활동했는데, 1970년부터 1982년까지 신학부 의장을 맡았다.
얀 밀리치 로흐만은 기독교 평화 회의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1960년 제3차 회의에서 그는 1961년 프라하에서 열린 제1차 전 기독교 평화 회의 준비 작업에 참여했다. 그곳에서 그는 독일의 볼프강 슈바이처와 헝가리의 M. 팔피와 함께 "냉전" 실무 그룹을 이끌었다. 그는 냉전 시기, 동유럽과 서방 세계 사이의 신학적, 이념적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4. 수상
연도 | 내용 |
---|---|
1973년 | 애버딘 대학교 명예박사 |
1987년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관련 공로상 |
1989년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명예박사 |
1991년 | Nové Město nad Metují 명예시민 |
1992년 | 프라하 카를 대학교 명예박사 |
1998년 |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훈장 3등급 |
참조
[1]
웹사이트
Theologe der Mehrstimmigkeit: Zum Tod von Jan Milic Lochman
https://www.nzz.ch/a[...]
NZZ Online
2004-01-24
[2]
웹사이트
Jan Milíč Lochman
http://www.phil.muni[...]
2012-03-06
[3]
웹사이트
Rektoren der Universität Basel
http://www.unigeschi[...]
University of Basel
2012-03-06
[4]
뉴스
크리스찬타임스
https://www.kctusa.o[...]
2023-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