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사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사대는 고려 시대에 시정을 논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맡았던 관청이다. 995년에 어사대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금오대, 감찰사, 사헌부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어사대의 관원은 대간으로 불리며 간쟁, 봉박, 서경의 권한을 행사했다. 조선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어사대라는 명칭은 없었으나 사헌부를 별칭으로 불렀다. 어사대는 전원, 대원, 찰원 세 부서로 나뉘어 각각 조정의 신하, 황제, 지방 관리를 감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태학 학생들이, 응우옌 왕조 시대에는 정부 위원회의 일원이 어사대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행정기관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 공민왕 때 명칭이 정해져 조선 시대에 관리 감찰, 규찰, 정치 참여 등을 수행했으며, 홍문관, 사간원과 함께 대간 또는 삼사로 불리며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한림원
    한림원은 중국 역사 속 저명한 인사들이 모여 학문 연구, 인재 양성, 과거 시험 관리, 외국어 번역 및 외교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 황실 학술 기관이었으나, 의화단 운동으로 자료가 소실되고 신해혁명으로 폐지되었다.
어사대
개요
유형감찰 기관
존속 기간수나라 - 청나라
관할중국
명칭
중국어 간체都察院
중국어 정체都察院
병음Dūchá Yuàn
웨이드-자일스Tu¹-ch'a² Yüan⁴
한국어도찰원
베트남어Đô sát viện
역할 및 기능
주요 임무관리 감시 및 조사
전신어사대 (御史臺)
비고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사용됨
역사적 변천
수나라감찰 기관으로 시작
명나라와 청나라도찰원으로 개편
주요 기능 변화관리 감찰 및 기강 확립
조직 및 구조
구성원감찰 어사
주요 직책도어사(都御史)
하위 기관각 도(道)의 감찰 기관
관련 용어
어사대전신 기관
도어사주요 직책
감찰 어사구성원
참고 문헌
연구 자료Xue, Deshu, and Xiuqian Qi. "Research on Supervision System in Ancient China and Its Contemporary Reference." Advances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319 (2019): 414-417.
서적Hucker, Charles O. "The Traditional Chinese State in Ming Times (1368-1644)." Tucs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61.

2. 고려의 어사대

고려 시대에 시정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리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맡았던 관청이다.

처음에는 사헌대(司憲臺)라고 불렸으나, 995년(성종 14년)에 어사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1014년(현종 5년) 금오대(金吾臺), 1275년(충렬왕 원년) 감찰사, 1298년(충렬왕 24년) 사헌부(司憲部) 등으로 고려 말까지 여러 차례 명칭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관직명도 복잡하게 변경되었다.

어사대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낭사(郞舍)와 함께 대간(臺諫)으로 불리며 간쟁(諫爭), 봉박(封駁), 서경(署經)의 권한을 가졌다.[4]

3. 조선의 어사대

조선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어사대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사헌부를 별칭으로 어사대라 불렀다.[4]

4. 어사대의 내부 구조

어사대는 전원(殿院), 대원(台院), 찰원(察院)의 세 부서로 나뉘어 있었다. 전원은 신하들의 조정 행위를, 대원은 황제의 행위를, 찰원은 지방 관리들의 행위를 감찰하였다. 각 부서에는 전중시어사, 시어사, 감찰어사가 배치되었다.

4. 1. 전원(殿院)

조정에서 신하들의 행위를 감찰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전중시어사들이 이 부서에 배치되었다.

4. 2. 대원(台院)

대원은 황제의 행위를 감찰하여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하고 그의 의무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시어사들이 이 부서에 배치되었다.[1]

4. 3. 찰원(察院)

감찰어사(監察御史)들은 순찰을 통해 지방 정부가 제 기능을 다하고 지방 관리들이 직무를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감독하였다.[1]

5. 기타

응우옌 왕조 시대에 어사대 대표는 1 mạch 현 주화의 비문을 제작하기 위해 구성된 정부 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3] 송나라 시대 태학(太學) 학생들은 기개를 매우 중시하고 국정에 관심을 가져 정부 정책을 비판했는데, 이 때문에 “무관어사대(無官御史台)”(관직은 없으나 어사대와 같다는 의미)라고 불렸다.[4]

참조

[1] 논문 Research on Supervision System in Ancient China and Its Contemporary Reference https://www.atlantis[...]
[2] 서적 1958
[3] 웹사이트 The Confucian Message on Vietnamese Coins, A closer look at the Nguyễn dynasty's large coins with moral maxims », Numismatic Chronicle, 2011, pp. 367-406.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1-08-22
[4] 서적 鶴林玉露 中華書局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