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조검은담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조검은담비는 홋카이도 중부, 북부, 동부의 삼림지대에 서식하는 동물이다. 몸길이 약 40-50cm, 꼬리 길이 약 10-15cm, 체중 약 1-1.3kg이며, 털색은 개체에 따라 다양한 노란색 계통을 띤다. 잡식성으로, 설치류, 조류, 열매 등을 먹으며, 나무타기에 능하다. 1920년 수렵 금지 이후 개체 수가 유지되고 있으며, 일본 환경성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평가되었다. 구시로시 동물원에서 사육 및 전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비속 - 산달
    산달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담비과의 포유류로, 일본에서는 두 아종이 확인되었으며, 한국에서는 토착 개체군 존재가 불확실하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아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담비속 - 담비 (동물)
    담비는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잡식성 동물로, 숲에 서식하며 나무를 잘 타고 땅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과거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날다람쥐
    날다람쥐는 다람쥐과 포유류로, 앞뒷다리 사이의 비막을 이용하여 활공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숲에 서식하고, 야행성 수목 생활을 하며, 다양한 수목의 잎,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하고, 족제비, 담비, 맹금류 등이 천적이며, 일본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고, 현재는 조수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가 명명한 분류군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가 명명한 분류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에조검은담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조검은담비
에조검은담비 (Martes zibellina brachyura)
홋카이도 신토쿠정 (2008년 1월)
상태NT(도오, 도호쿠, 도토)、EX(도난)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네코목(식육목) Carnivora
이타치과 Mustelidae
아과이타치아과 Mustelinae
텐속 Martes
크로텐 M. zibellina
아종에조크로텐 M. z. brachyura
학명Martes zibellina brachyura , 1844
한국어 이름에조크로텐
아이누어 이름(카스페키라)
향명
일본어(에조크로텐)

2. 분포

홋카이도 중부, 북부, 동부의 삼림지대에 서식한다.[20] 관찰 사례는 도호쿠와 도토 지역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19][3]

메이지 시대까지는 홋카이도 전역에 서식했으나,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1920년(다이쇼 9년)에 수렵이 금지되었고,[19][18][3] 현재도 수렵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21][5][1]

1940년대에 모피 채취를 위한 가축으로 일본담비(황족[6])[7]가 홋카이도에 유입되었는데,[22] 탈출하여 야생화된 일본담비가 도난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도오 지역에서는 에조검은담비와 야생화된 일본담비가 혼재하며, 교잡 가능성으로 인해 순수종 에조검은담비의 개체수 감소가 우려된다.[19][3]

3. 특징

에조검은담비


성체의 크기는 몸길이 약 40 - 50 cm, 꼬리 길이 약 10 - 15 cm, 귀 길이 약 3 - 3.5 cm, 체중 약 1 - 1.3 kg이다.[23][8]

털색은 옅은 흰색을 띤 노란색, 짙은 갈색, 또는 그 중간 농도의 색 등, 개체에 따라 다양한 농담의 노란색 계통을 띤다. 앞다리와 뒷다리의 손발 부분은 검은색이며, 꼬리 색깔은 짙은 갈색이다.[24][9] 겨울털은 여름털보다 옅은 색이며, 유라시아 대륙에 서식하는 검은담비에 비해 더 옅은 색을 띤다.[25][10]

음경골 길이는 3 cm, 지름 1.5 mm, 끝이 Y자형으로 되어 있다.[26][11]

이빨은 앞니가 위아래 각 6개, 송곳니가 위아래 각 2개, 작은 앞 어금니가 위아래 각 8개, 뒷 어금니가 위 2개 아래 4개로 총 38개다. 유두는 가슴 부위에는 없고 배 부위에 1쌍, 샅 부위에 2쌍 해서 총 6개이다. 발가락은 앞발 5개, 뒷발 5개 해서 합계 20개다.[27][12]

4. 생태

동면 하지 않고 1년 내내 활동하며, 활동 시간대는 특별히 정해진 것 없이 밤낮 모두 활동한다. 번식기 이외에는 단독행동한다. 신체 유연성이 매우 높다.[28] 또한 경계심이 강해서[19] 뒷다리만으로 서서 몸을 들고 주위를 둘러보는 행동을 자주 한다. 이 행동을 메카게/目蔭일본어라고 한다.

에조검은담비의 메카게(홋카이도 신토쿠정, 2007년 12월)


나무타기에 능하며, 굵은 나무는 발톱을 세우고 오른다. 지름 2 cm 정도의 가는 나무에도 오를 수 있으며, 이 때는 발가락 끝으로 나무를 잡듯이 올라간다. 활동장소는 물가 부근이 많다.[28]

보금자리로는 땅굴이나 나무구멍, 인간 거주지의 툇마루 밑이나 다락 등을 사용한다.[28]

4. 1. 식성

에조검은담비는 잡식성이다. 동물질은 각종 설치류와 조류, 양서류를 먹는데,[20] 덩치가 큰 에조눈토끼도 잡아먹는다. 나무 위에서는 에조청설모를 쫓아가 잡아먹기도 한다.[18] 식물질은 산뽕나무, 벚나무, 머루, 마타타비, 다래 등의 열매를 먹는다.[20] 동물을 포식할 경우 머리를 먹지 않고 남기는 습성이 있는데, 두개골의 경도가 높아 먹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된다.[20]

4. 2. 울음소리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는데, 위협할 때는 “갸-우-규규”, “게-오우-” 등의 소리를 내고, 배회할 때는 조용히 “피야-피야-”하고 운다.[28]

5. 보존 상태

일본 환경성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NT) 종으로 평가되었다.

6. 사육 전시 시설

일본에서는 구시로시 동물원에서만 에조검은담비를 사육 및 전시하고 있다(2010년1월 1일 기준).[29][16]

참조

[1] 서적 日本の哺乳類 改訂2版 2008
[2] 서적 日本動物誌 2001
[3] 간행물 エゾクロテンとは? 釧路市動物園 2010-01-08
[4]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5] 서적 広辞苑
[6] 뉴스 エゾクロテン 苫小牧民報社 2009
[7] 서적 日本動物誌 2001
[8]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9]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10] 간행물 クロテン 北海道大学 2008
[11]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12]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13]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14]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15] 간행물 ヤマグワ 宮城教育大学 2003
[16] 간행물 かわいすぎるエゾクロテン 釧路市動物園 2010-01-01
[17] 서적 日本動物誌 2001
[18] 서적 日本の哺乳類 改訂2版 2008
[19] 간행물 エゾクロテンとは? 釧路市動物園 2010-01-08
[20]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1] 서적 広辞苑
[22] 뉴스 エゾクロテン 苫小牧民報社 2009
[23]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4]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5] 간행물 クロテン 北海道大学 2008
[26]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7]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8]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29] 간행물 かわいすぎるエゾクロテン 釧路市動物園 201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