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육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육목은 라우라시아테리아에 속하는 포유류 분류군으로, 고기를 먹는다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식육목은 전통적으로 열각아목과 기각아목으로 나뉘었으나, 유전적 연구를 통해 미아키스아목, 개아목, 고양이아목으로 재분류되었다. 식육목은 멸종된 미아키스과를 포함하며, 개과, 고양이과, 곰과, 물개과, 족제비과 등 다양한 과를 포함한다. 식육목은 린네에 의해 Ferae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두개골, 치아, 발 등 해부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식육목은 가축화된 개와 고양이를 포함하여 인간과의 관계가 깊으며, 서식지 감소, 인간의 침입,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인 종이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식육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및 밀도
현존하는 식육목 종의 분포와 밀도
기본 정보
이름식육목
학명Carnivora
명명자Bowdich, 1821
동의어Caniformes (자고로드니우크, 2008)
Carnaria (해켈, 1866)
Carnassidentia (워트먼, 1901)
Carnivoramorphia (칼란다제 & 라우티안, 1992)
Carnivores (퀴비에, 1817)
Carnivori (비크 다지르, 1792)
Carnivorida (피어스, 1936)
Carnivoriformes (킨먼, 1994)
Carnivoripedida (비알로프, 1966)
Cynofeliformia (긴즈부르, 1982)
Cynofeloidea (허프, 1953)
Cynosia (라피네스크, 1815)
Digitigrada (일리거, 1811)
Digitigradae (그레이, 1821)
Eucarnivora (메카예프, 2002)
Ferae (린네, 1758)
Fissipeda (블루멘바흐, 1791)
Neocarnivora (라딘스키, 1977)
Plantigrada (일리거, 1811)
분류
아목개아목
고양이아목
하위 아목미아키스아목
형태 및 특징
형태고양이-과
-과
시간 척도
화석 범위초기 에오세 - 홀로세 (5188만 년 전 - 현재)
기타

2. 하위 분류

전통적으로 식육목은 육상 생활을 하는 열각아목과 해양 생활을 하는 기각아목으로 분류되었다. 열각아목은 다시 개상과와 고양이상과로 나뉘었고, 기각아목은 물개, 물범, 바다코끼리 등을 포함했다.

그러나 유전학적 연구가 발전하면서 분류 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현대 분류학에서는 식육목을 크게 고양이아목개아목으로 나눈다. 과거 기각아목으로 분류되었던 해양 포유류(물개, 물범, 바다코끼리 등)는 이제 개아목 내의 기각류로 포함된다. 이는 유전적으로 기각류가 곰이나 족제비와 더 가깝다는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39][40][41][42][43][44]

분류학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며, 몇 가지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일부 사향고양이과 및 몽구스과 동물들은 공통 조상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이들을 묶어 마다가스카르식육과라는 별도의 과로 분류하자는 주장이 있다.[46][47][48]
  • 과거 사향고양이과, 아메리카너구리과, 족제비과 등은 여러 계통의 동물이 섞여 있는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세부 분류가 조정되었다.
  • 몽구스과는 하이에나과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은 마다가스카르식육과로 분류된다.
  • 아프리카손바닥사향고양이는 다른 고양이아목 동물들과 일찍 분기한 독자적인 아프리카손바닥사향고양이과로 분류된다.[49]
  • 린상은 사향고양이보다는 고양이과에 더 가깝다고 여겨져 린상과로 분리되었다.[50]
  • 판다의 경우, 자이언트판다는 곰과에 속하며,[52][53] 레서판다는 별도의 레서판다과로 분류된다.[54]
  • 스컹크와 악취오소리는 족제비과에서 분리되어 스컹크과를 형성한다.[55][54]


아래는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식육목의 하위 분류와 각 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종의 수를 나타낸 표이다.[56][57]

'''식육목''' (Bowdich, 1821)
고양이아목 (Feliformia)
Nandinioidea (Pocock, 1929)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Nandiniidae (Pocock, 1929)아프리카손바닥사향고양이사하라 이남 아프리카1Nandinia binotata (J. E. Gray, 1830)
아프리카손바닥사향고양이
Fel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Felidae (G. Fischer de Waldheim, 1817)고양이 (집고양이, 호랑이, 표범, 재규어, 사자, 치타, 오셀롯 등)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마다가스카르,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37Felis catus (Linnaeus, 1758)
눈 위의 고양이
Prionodontidae (Horsfield, 1822)아시아린상인도-말레이 생물 지리구2Prionodon linsang (Hardwicke, 1821)
띠린상 박제
Viverroidea (J. E. Gray, 1821)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Viverridae (J. E. Gray, 1821)사향고양이, 제넷, 빈투롱, 오얀 등남부 유럽, 인도-말레이 생물 지리구,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도입됨)34Viverra zibetha (Linnaeus, 1758)
큰인도사향고양이
Herpestoidea (Bonaparte, 1845)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Hyaenidae (J. E. Gray, 1821)하이에나, 아드울프아프리카, 중동, 캅카스, 중앙아시아, 인도 아대륙4Hyaena hyaena (Linnaeus, 1758)
동물원의 하이에나
Herpestidae (Bonaparte, 1845)몽구스, 미어캣, 쿠시만세 등이베리아 반도, 아프리카, 중동, 캅카스, 중앙아시아, 인도-말레이 생물 지리구34Herpestes ichneumon (Linnaeus, 1758)
이집트몽구스
Eupleridae (Chenu, 1850)마다가스카르몽구스, 포사, 팔라누크 등마다가스카르8Eupleres goudotii (Doyère, 1835)
동부팔라누크 박제
개아목 (Caniformia)
Can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Canidae (G. Fischer de Waldheim, 1817) (, 늑대, 여우, 딩고, 자칼, 코요테 등)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마다가스카르,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35Canis familiaris (Linnaeus, 1758)
개 두 마리
Urs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Ursidae (G. Fischer de Waldheim, 1817), 자이언트판다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8Ursus arctos (Linnaeus, 1758)
캄차카불곰
Pinnipedia (Illiger, 1811)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Odobenidae (J. A. Allen, 1880)바다코끼리북극해북반구의 아북극 해역1Odobenus rosmarus (Linnaeus, 1758)
바다코끼리
Otariidae (J. E. Gray, 1825)물개, 바다사자 (귀가 있는 물개류)태평양, 남극해, 남부 인도양, 대서양의 아극지, 온대, 적도 해역15Otaria flavescens (Shaw, 1800)
남아메리카바다사자 무리
Phocidae (J. E. Gray, 1821)물범, 코끼리물범 (귀가 없는 물개류)전 세계 바다 및 바이칼 호18Phoca vitulina (Linnaeus, 1758)
흰색 참물범
Mustel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대표 동물분포현존 종 수모식종이미지
Ailuridae (J. E. Gray, 1843)레서판다동부 히말라야 산맥, 중국 남서부1Ailurus fulgens (F. Cuvier, 1825)
싱갈릴라 국립공원의 레서판다
Mephitidae (Bonaparte, 1845)스컹크, 악취오소리아메리카 대륙, 서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12Mephitis mephitis (Schreber, 1776)
방귀를 뀌려는 스컹크
Procyonidae (J. E. Gray, 1825)라쿤(미국너구리), 올링고, 코아티, 킨카주아메리카 대륙 (유럽, 캅카스, 일본에 도입됨)12Procyon lotor (Linnaeus, 1758)
지붕 위의 라쿤
Mustelidae (G. Fischer de Waldheim, 1817)족제비, 수달, 오소리, 담비, 울버린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57Mustela erminea (Linnaeus, 1758)
흰족제비(겨울털)



다음은 최근 연구[69]에 따른 현존하는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


바다코끼리과 (Odobenidae)
물개과 (Otariidae) - 귀 있는 물개류
물범과 (Phocidae) - 귀 없는 물개류
레서판다과 (Ailuridae)
스컹크과 (Mephitidae)
아메리카너구리과 (Procyonidae)
족제비과 (Mustelidae)

멸종된 주요 분류군으로는 원시 식육목인 미아키스아목(†Miacoidea)과 그 후손들인 암피키온과(†Amphicyonidae), 바르보우로펠리스과(†Barbourofelidae), 님라부스과(†Nimravidae) 등이 있다.

3. 계통 분류

식육목은 포유강 진수하강에 속하며, 더 상위 분류로는 로라시아상목, 음낭야수류, 야수진제류, 광수류(Ferae)에 포함된다. 광수류 내에서 식육목은 천산갑목(Pholidota)과 가장 가까운 현생 자매군을 이룬다.[81][25]

가장 오래된 식육목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식육형류(Carnivoramorpha)는 백악기-팔레오기 대량절멸 사건 이후 약 600만 년 뒤 북아메리카에서 출현했다.[22][31] 이 초기 그룹에는 미아키스과(Miacidae)와 비베라비드과(Viverravidae) 등이 포함된 미아코이드(Miacoidea)가 속한다. 이들은 작고 족제비와 비슷한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9][30] 미아키스과는 현대 식육목에 대해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29][30]

현생 식육목은 약 4200만 년 전 에오세 중기에 처음 등장했으며[32], 분자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단계통군을 형성한다.[33] 식육목은 두개골의 중이를 감싸는 뼈 구조인 청각 팽대부(auditory bulla)의 형태에 따라 크게 두 아목으로 나뉜다.[34]


  • 고양이아목(Feliformia): 청각 팽대부가 격막으로 나뉜 두 개의 방으로 구성된다.[35]
  • 개아목(Caniformia): 청각 팽대부가 하나의 방으로 구성되거나 부분적으로만 나뉘어 있다.[35]


=== 분류의 역사 ===

1758년 칼 폰 린네는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10판에서 당시 알려진 식육류 포유류들을 '페라이(Ferae)' 목 아래 6개의 속(''개속'', ''물범속'', ''고양이속'', ''사향고양이속'', ''족제비속'', ''곰속'')으로 분류했다.[36] 현재 사용되는 '식육목(Carnivora)'이라는 이름은 1821년 토마스 에드워드 보디치(Thomas Edward Bowdich)가 처음 사용했다.[37]

과거에는 식육목을 주로 육상 생활을 하는 열각아목(Fissipedia)과 해양 생활에 적응한 기각아목(Pinnipedia)으로 나누는 분류법이 널리 쓰였다.[38] 1945년 조지 게일로드 심슨은 열각아목을 다시 개상과(Canoidea)와 고양이상과(Feloidea)로 나누는 체계를 제시하기도 했다.[38]

그러나 20세기 후반 유전학 및 분자계통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기존 분류 체계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특히 기각류(Pinnipedia)는 독립된 아목이 아니라 개아목 내에서 곰과나 족제비과와 더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다.[40][41][42][43][44] 이로 인해 열각아목과 기각아목으로 나누는 전통적인 이분법은 더 이상 계통 관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과거에 단일 과로 분류되었던 일부 그룹들이 실제로는 다계통군임이 밝혀지면서 여러 개의 과로 재분류되었다.

=== 현대 분류 체계 ===

다음은 현존하는 식육목의 분류 체계이다 (Burgin et al., 2020 기준[69]). 한국어 명칭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川田ら (2018)을 따른다.[64]

  • '''고양이아목 (Feliformia)'''
  • 아프리카손바닥사향고양이과 (Nandiniidae) - 1속 1종
  • 고양이상과 (Feloidea)
  • 고양이과 (Felidae) - 14속 41종 (현존하는 종 수 출처는 아래 표 참고[56][57])
  • 린상과 (Prionodontidae) - 1속 2종
  • 사향고양이하목 (Viverroidea)
  • 사향고양이과 (Viverridae) - 15속 35종
  • 몽구스상과 (Herpestoidea)
  • 하이에나과 (Hyaenidae) - 4속 4종
  • 몽구스과 (Herpestidae) - 15속 34종
  • 마다가스카르식육과 (Eupleridae) - 7속 8종

  • '''개아목 (Caniformia)'''
  • 개과 (Canidae) - 13속 36종 (현존하는 종 수 출처는 아래 표 참고[56][57])
  • 곰하목 (Arctoidea)
  • 곰상과 (Ursoidea)
  • 곰과 (Ursidae) - 5속 8종
  • 기각류 (Pinnipedia) - 물개상과(Pinnipedimorpha)라고도 함.
  • 바다코끼리과 (Odobenidae) - 1속 1종
  • 바다사자과 (Otariidae) - 7속 15종 (귀 있는 물개: 바다사자, 물개 등)
  • 물범과 (Phocidae) - 13속 19종 (귀 없는 물개: 물범 등)
  • 족제비상과 (Musteloidea)
  • 레서판다과 (Ailuridae) - 1속 1종
  • 스컹크과 (Mephitidae) - 4속 12종
  • 아메리카너구리과 (Procyonidae) - 6속 14종
  • 족제비과 (Mustelidae) - 22속 57종


=== 멸종된 주요 그룹 ===

식육목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그룹들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주요 멸종 그룹은 다음과 같다.

  • †미아키스아목 (Miacoidea): 현생 식육목의 조상 그룹을 포함하는 초기 식육형류.
  • †미아키스과 (Miacidae)
  • †비베라비드과 (Viverravidae)
  • 님라부스과 (Nimravidae): 고양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졌던 그룹.
  • †암피키온과 (Amphicyonidae): '곰개(bear-dog)'라고도 불림.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Barbourofelidae): 님라부스과와 유사했던 그룹.
  • †헤미키온과 (Hemicyonidae): 곰과 가까운 관계였던 그룹.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Enaliarctidae): 초기 기각류.
  • †로포키온과 (Lophocyonidae)
  • †페르크로쿠타과 (Percrocutidae): 하이에나와 유사했던 그룹.


=== 현존하는 식육목 과 목록 ===

다음은 ''세계의 포유류 편람''(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제1권(2009[56])과 제4권(2014[57])에 따른 현존하는 식육목 과와 종의 수, 분포 등을 정리한 표이다.

식육목 Bowdich, 1821
고양이아목 Kretzoi, 1945
Nandinioidea Pocock, 1929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Nandiniidae Pocock, 1929African palm civet사하라 이남 아프리카1Nandinia binotata (J. E. Gray, 1830)
고양이상과 (Fel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고양이과 G. Fischer de Waldheim, 1817Cats (집고양이, 호랑이, 표범, 재규어, 사자, 치타, 오셀롯 등 포함)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마다가스카르,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37Felis catus Linnaeus, 1758
Prionodontidae Horsfield, 1822Asiatic linsangs인도-말레시아 생물지리구2Prionodon linsang (Hardwicke, 1821)
사향고양이하목 (Viverroidea) J. E. Gray, 1821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Viverridae J. E. Gray, 1821Civets, genets, and oyans남부 유럽, 인도-말레시아 생물지리구,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도입됨)34Viverra zibetha Linnaeus, 1758
몽구스상과 (Herpestoidea) Bonaparte, 1845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Hyaenidae J. E. Gray, 1821Hyenas and aardwolf아프리카, 중동, 캅카스, 중앙아시아, 인도 아대륙4Hyaena hyaena (Linnaeus, 1758)
Herpestidae Bonaparte, 1845Mongooses이베리아 반도, 아프리카, 중동, 캅카스, 중앙아시아, 인도-말레시아 생물지리구34Herpestes ichneumon (Linnaeus, 1758)
Eupleridae Chenu, 1850Malagasy carnivorans (Malagasy mongooses and fossa)마다가스카르8Eupleres goudotii Doyère, 1835
개아목 Kretzoi, 1945
개상과 (Can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개과 G. Fischer de Waldheim, 1817Dogs (, 늑대, 여우, 딩고, 자칼, 코요테 등 포함)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마다가스카르,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35Canis familiaris Linnaeus, 1758
곰상과 (Urs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곰과 G. Fischer de Waldheim, 1817Bears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8Ursus arctos Linnaeus, 1758
기각류 (Pinnipedia) Illiger, 1811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Odobenidae J. A. Allen, 1880Walrus북극해북극권북반구의 아북극 해역1Odobenus rosmarus (Linnaeus, 1758)
Otariidae J. E. Gray, 1825Eared seals (sea lions and fur seals)태평양남극해 전역의 아극지, 온대 및 적도 해역과 남부 인도양대서양15Otaria flavescens (Shaw, 1800)
Phocidae J. E. Gray, 1821Earless seals (true seals)대부분의 바다와 바이칼 호18Phoca vitulina Linnaeus, 1758
족제비상과 (Musteloidea) G. Fischer de Waldheim, 1817
영어 일반명분포현존 종 수모식종대표 이미지
Mephitidae Bonaparte, 1845Skunks and stink badgers아메리카 대륙, 서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12Mephitis mephitis (Schreber, 1776)
Ailuridae J. E. Gray, 1843Red panda동부 히말라야 산맥, 중국 남서부1Ailurus fulgens F. Cuvier, 1825
Procyonidae J. E. Gray, 1825Raccoons, olingos, ringtails, coatis, cacomistles, and kinkajou아메리카 대륙 (유럽, 캅카스, 일본에 도입됨)12Procyon lotor (Linnaeus, 1758)
Mustelidae G. Fischer de Waldheim, 1817Weasels, otters, wolverines, polecats, badgers, martens, and grisons아메리카 대륙, 아프리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및 여러 섬에 도입됨)57Mustela erminea Linnaeus, 1758


4. 어원

식육목(Carnivorala)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carōla(어근 carn-la) '고기'와 vorārela '먹어치우다'에서 유래했다.

5. 진화

식육목(Carnivora)은 박쥐우제류 등이 속한 포유류 상목인 라우라시아테리아(Laurasiatheria)에 속한다.[23][24] 이 그룹 내에서 식육목은 페라에(Ferae)라는 분기군에 포함되는데, 여기에는 식육목과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인 천산갑, 그리고 여러 멸종된 그룹들(주로 팔레오세의 육식성 태반 포유류)이 속한다. 대표적인 멸종 그룹으로는 크레오돈트(Creodonta), 아르크토키온과(Arctocyonidae), 메소니키아(Mesonychia) 등이 있다.[25] 과거 크레오돈트는 육치(carnassial teeth)를 가졌다는 점에서 식육목의 자매 그룹이나 조상으로 여겨졌지만,[26] 두 그룹의 육치 특징은 다르다. 식육목의 육치는 어금니 열 앞쪽에 위치하는 반면, 크레오돈트의 육치는 뒤쪽에 위치한다.[27] 이는 두 그룹이 독자적인 진화 경로를 거쳤음을 시사하며 목(目) 수준의 구분을 뒷받침한다.[28] 최근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크레오돈트는 천산갑과 더 가깝고, 메소니키아는 식육목과 그 조상 그룹의 자매 그룹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5]

식육목의 가장 가까운 조상 그룹은 미아코이드(Miacoidea)이다. 미아코이드는 비베라비드과(Viverravidae)와 미아키스과(Miacidae)를 포함하며, 식육목과 미아코이드를 합쳐 식육형류(Carnivoramorpha)라는 기저 분기군을 형성한다. 미아코이드는 족제비와 비슷하게 생긴 작은 식육형류로, 육상 및 수상 서식지 등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다. 최근 연구들은 비베라비드과는 단계통적인 기저 그룹이지만, 미아키스과는 식육목에 대해 다계통적임을 시사하며, 미아코이드가 식육형류 진화의 한 단계였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한다.[29][30]

식육형류 전체는 약 6000만 년 전 북아메리카의 팔레오세에 처음 나타났다.[31] 가장 오래된 식육목 포유류(Carnivoramorpha)는 백악기-팔레오기 대량절멸 사건 이후 약 600만 년 뒤 북아메리카에서 출현했다.[22][31] 현생 식육목(Carnivora)은 약 4200만 년 전 에오세 중기에 처음 등장했으며,[32] 분자 계통 발생 연구는 이들이 식육형류 내에서 단계통군이자 관군(crown group)임을 보여준다.[33]

초기 식육목 조상들은 작은 족제비나 유럽 제넷과 비슷한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대형 육식 동물의 생태적 지위는 메소니키아나 후대의 크레오돈트 같은 다른 포유류 그룹이 차지하고 있었기에, 이들은 주로 밤에 숲 바닥이나 나무 위에서 활동했을 것이다. 그러나 에오세 말기에 메소니키아와 옥시아에나과(Oxyaenidae) 크레오돈트가 멸종하면서 식육목은 빠르게 이들의 빈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올리고세 동안에는 멸종한 님라부스과(Nimravidae)와 같은 식육목 그룹이 하이아이노돈과(Hyaenodontidae) 크레오돈트와 함께 최상위 포식자 자리를 놓고 경쟁했다. 마이오세가 시작될 무렵에는 대부분의 주요 식육목 과(科)들이 나타나 다양화되었고,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우세한 대형 육상 포식자 그룹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식육목 계통들이 대형 육식 동물의 생태적 지위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현생 식육목은 두개골에서 중이(middle ear)를 감싸는 뼈 구조인 청각 팽대부(auditory bulla)의 구성에 따라 크게 두 개의 분기군으로 나뉜다: 고양이와 유사한 고양이아목(Feliformia)과 개와 유사한 개아목(Caniformia)이다.[34] 고양이아목의 청각 팽대부는 두 개의 뼈로 이루어진 이중 방 구조이며, 중간 격막(septum)으로 나뉘어 있다. 반면 개아목은 하나의 뼈로 이루어진 단일 방 구조이거나 부분적으로만 나뉜 청각 팽대부를 가진다.[35]

전통적으로 식육목은 주로 육상 생활을 하는 열각아목(Fissipedia)과 해양 생활에 적응한 기각류(Pinnipedia, 기각아목)로 나뉘었다. 열각아목은 다시 개상과와 고양이상과로 분류되었고, 기각아목은 물개, 바다표범, 바다코끼리 등을 포함했다. 그러나 최근 유전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각류는 개아목 내에서 곰과와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기각류를 열각류와 동등한 아목 수준으로 분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게 되었다. 현대 분류 체계에서는 식육목을 고양이아목과 개아목으로 나누며, 기각류는 개아목 내의 곰하목(Arctoidea)에 포함된다. 고양이아목에는 고양이과, 하이에나과, 몽구스과, 사향고양이과 등이 속하며, 개아목에는 개과, 곰과, 족제비과, 물개과, 바다코끼리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사향고양이과 동물들과 몽구스과 동물들이 공통 조상을 가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들을 하나의 과인 마다가스카르식육과(Eupleridae)로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6. 해부학적 특징

식육목 동물의 해부학적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먹이를 자르고 찢는 데 특화된 카르나시알(육치, 裂齒)의 존재이다. 이는 위턱의 네 번째 앞어금니와 아래턱의 첫 번째 어금니가 만나 가위처럼 작동하는 구조를 말한다.[67] 그러나 일부 종에서는 식성에 따라 이 육치가 변형되거나 없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주로 물고기를 먹는 기각류는 먹이를 잡기 쉽게 모든 이빨이 비슷한 모양(동형치성, 同形齒性)으로 변했으며 육치는 사라졌다.[58] 또한, 이나 너구리처럼 잡식성인 동물이나, 얼룩하이에나처럼 곤충을 주로 먹는 동물에서는 육치가 이차적으로 축소되었다.[58] 자이언트판다나 레서판다는 거의 완전한 초식성으로 적응했다.

일반적으로 식육목의 송곳니는 크고 원뿔 모양이며 두껍고 강하다. 대부분 앞니(절치)는 각 턱의 양쪽에 세 개씩 가지고 있지만, 바다수달은 아래턱에 두 개만 가진 예외적인 경우이다.[59] 세 번째 어금니는 없다.

두개골은 튼튼하며, 턱 근육이 붙는 관골궁이 강하게 발달해 있다. 머리 위쪽에는 시상능선이라는 뼈 능선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특히 바다사자처럼 성별 간 외형 차이가 큰 종에서 두드러진다.[58] 를 담는 공간(뇌함)은 크며, 눈은 대부분 얼굴 앞쪽을 향하고 있어 입체적인 시각을 가능하게 한다. 개형류(개, 곰, 족제비 등)는 일반적으로 주둥이(로스트럼)가 길고 이빨 수가 많은 반면, 고양이형류(고양이, 하이에나, 몽구스 등)는 주둥이가 짧고 이빨 수가 적다. 고양이형류의 카르나시알은 개형류보다 더 날카롭게 분화된 경향이 있다.

식육목 동물은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코 안의 복잡하고 넓은 비갑개 구조 덕분이다. 이 구조는 후각 세포가 분포할 넓은 표면적을 제공한다.[58] 포식 생활에 필요한 눈, 귀, 코, 수염(촉수) 등의 감각 기관과 지능, 운동 능력도 잘 발달되어 있다.[67]

치아와 두개골 외에는 식육목 전체를 묶는 뚜렷한 공통 해부학적 특징은 많지 않다.[59] 모두 네발동물이며, 대부분 앞발에 다섯 개, 뒷발에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육상 식육목 동물의 발바닥에는 부드러운 패드가 있다.

동물원에서 자는 호랑이
호랑이처럼 식육목 동물은 발바닥에 부드러운 패드가 있다.
발을 딛는 방식은 발가락 끝으로 걷는 지행성(고양이, 하이에나, 개 등)이거나 발바닥 전체로 걷는 평행성(곰, 스컹크, 너구리, 족제비, 사향고양이, 몽구스 등)이다. 기각류의 다리는 수중 생활에 적합하게 지느러미 형태로 변형되었다. 기각류는 고래류나 듀공류와 달리 꼬리 대신 지느러미를 이용해 헤엄치는데, 귀 없는 물범은 뒷지느러미, 바다사자와 물개는 앞지느러미, 바다코끼리는 네 다리를 모두 사용한다. 이 때문에 기각류의 꼬리는 다른 식육목 동물에 비해 매우 짧다.

기각류를 제외하면, 개, 곰, 하이에나, 고양이는 각기 독특하고 알아보기 쉬운 외모를 지닌다. 개는 주로 달리기에 적합한 날씬한 몸매를, 곰은 큰 덩치와 힘을, 고양이는 먹이를 잡는 데 사용하는 발톱을 숨길 수 있는 유연하고 강한 앞다리를 특징으로 한다. 하이에나는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길어 등이 경사진 독특한 체형을 가진다. 너구리과와 레서판다는 작고 곰과 비슷하지만 긴 꼬리를 가졌다. 난디니과, 린상과, 사향고양이과, 몽구스과, 유플레리과, 스컹크과, 족제비과 등 다른 작은 과들은 수렴 진화를 통해 비교적 원시적인 외형을 유지하고 있지만, 오소리울버린처럼 땅딸막하고 강인한 체격을 가진 경우도 있다.[59]

대부분의 식육목 동물은 정해진 번식기를 가진다.[60] 수컷은 대부분 음경골을 가지고 있으나, 하이에나빈투롱에는 없다.[61]

의 길이와 밀도는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하다. 따뜻한 기후에 사는 종은 털이 짧고 가벼우며, 추운 기후의 종은 털이 빽빽하거나 길고, 때로는 보온을 돕는 기름기 있는 물질을 분비하기도 한다. 털 색깔은 검은색, 흰색, 주황색, 노란색, 붉은색, 다양한 회색과 갈색 등 매우 다채로우며, 줄무늬, 반점 등 복잡한 무늬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무늬는 서식 환경과 관련이 있어, 예를 들어 숲이 우거진 곳에 사는 종은 위장을 위해 얼룩이나 줄무늬를 띠는 경향이 있다.[59] 회색늑대처럼 같은 종 내에서도 털 색깔이 다른 다형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북극여우나 흰족제비처럼 계절에 따라 털 색깔과 밀도가 변하는 종도 있다. 기각류와 북극곰은 두꺼운 지방층이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성적이형

식육목 내 많은 종들은 성적 이형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크기에서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 수컷이 암컷보다 크지만, 그 정도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1] 기각류에서는 극단적인 성적 이형이 관찰되는데, 예를 들어 남방코끼리물범 수컷은 암컷보다 5~10배 더 무거울 수 있다.[2] 이는 일부다처제 번식 시스템과 관련이 깊으며, 수컷은 하렘을 차지하기 위해 격렬하게 싸운다. 곰 역시 대부분 수컷이 암컷보다 10~20% 정도 더 크다.[3] 반면, 족제비과의 일부 종이나 몽구스과 동물들은 성적 이형이 거의 없거나 암컷이 약간 더 큰 경우도 있다.[4] 점박이하이에나는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사회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독특한 사례이다.[5] 형태적 이형으로는 사자 수컷의 갈기가 대표적이다.

8. 인간과의 관계

식육목은 인간에게 가장 큰 관심을 끄는 포유류 그룹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는 최초로 가축화된 식육목 동물일 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을 통틀어 최초로 가축화된 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동안 인간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개를 선택적으로 사육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400종이 넘는 품종이 존재한다. 고양이 역시 가축화된 식육목 동물로,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와 애완동물로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적인 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다른 많은 식육목 동물들도 인기가 높으며, 종종 카리스마 넘치는 거대 동물로 인식된다. 여러 문명에서는 식육목 동물을 문화에 통합했는데, 예를 들어 사자는 많은 사회에서 권력과 왕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늑대나 대형 고양잇과 동물과 같은 많은 종들은 인간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냥당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절멸에 이르렀다.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 영역의 확장, 그리고 기후 변화는 많은 식육목 동물의 개체 수가 감소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1600년대 이후로 최소 4종의 식육목 동물이 멸종했다.[22]

1600년대 이후 멸종된 식육목 동물
종명학명멸종 연도
포클랜드 제도 늑대Dusicyon australis1876년
바다밍크Neogale macrodon1894년
일본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1951년
카리브해 수도승물범Neomonachus tropicalis1952년



한편, 붉은여우 (''Vulpes vulpes'')나 흰족제비 (''Mustela erminea'')와 같은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오스트랄라시아 등 새로운 지역에 도입되어, 그곳의 많은 토착종을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거나 실제로 멸종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62]

9. 보존

식육목은 인간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포유류 무리이다. 는 최초로 가축화된 식육목 동물일 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 분류군 중에서도 최초로 가축화된 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동안 인간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개를 선택적으로 사육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400종이 넘는 품종이 존재한다. 고양이 역시 가축화된 식육목 동물로,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와 애완동물로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적인 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다른 많은 식육목 동물들도 인기가 높으며, 종종 카리스마 넘치는 거대 동물로 여겨진다. 여러 문명에서는 식육목 동물을 문화에 통합했는데, 예를 들어 사자는 많은 사회에서 권력과 왕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늑대나 대형 고양잇과 동물과 같은 많은 종들은 인간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냥당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사라지기도 했다.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 영역의 확장, 그리고 기후 변화는 많은 식육목 동물의 개체 수가 줄어드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1600년대 이후로 다음과 같은 4종의 식육목 동물이 멸종했다.

1600년대 이후 멸종된 식육목 동물[22]
종명학명멸종 연도
포클랜드 제도 늑대Dusicyon australis1876년
바다밍크Neogale macrodon1894년
일본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1951년
카리브해 수도승물범Neomonachus tropicalis1952년



한편, 붉은여우 (''Vulpes vulpes'')나 흰족제비 (''Mustela erminea'')와 같은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에 도입되어, 그곳의 많은 토착종을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거나 실제로 멸종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62]

참조

[1] 논문 A genomic timescale for placental mammal evolution
[2] 서적 An analysis of the natural classifications of Mammalia for the use of students and travelers J. Smith
[3] 간행물 Scientific names of mammal orders: from descriptive to uniform https://www.academia[...]
[4] 간행물 Changes In Taxonomic Diversity Of Ukrainian Mammals For The Last Three Centuries: Extinct, Phantom And Alien Species http://terioshkola.o[...]
[5] 서적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https://www.biodiver[...] Georg Reimer
[6] 논문 Studies of Eocene Mammalia in the Marsh Collection, Peabody Museum https://www.biodiver[...]
[7] 서적 Systema mlekopitayushchikh i istorygeskaya zoogeographei [The system of mammals and historical zoogeography]
[8] 서적 Le Règne Animal Distribué d'après son Organisation, pour Servir de Base à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et d'Introduction à l'Anatomie Comparée https://archive.org/[...] Déterville libraire, Imprimerie de A. Belin
[9]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Vol. 2: Système Anatomique, Quadrupèdes https://books.google[...] Panckoucke
[10] 서적 Zoological names. A list of phyla, classes, and orders, prepared for section F,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https://archive.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1] 논문 For and Against Uniform Endings in Zoological Nomenclature https://www.jstor.or[...]
[12] 서적 The Kinman System: Toward a Stable Cladisto-Eclectic Classification of Organisms: Living and Extinct, 48 Phyla, 269 Classes, 1,719 Orders
[13] 서적 Sledy Zhiznedeyatel'nosti Organizmov i ikh Paleontologicheskoye Znacheniye [Traces of Vital Activity of Organisms and their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Naukova Dumka
[14] 논문 Auditory region in North American fossil Felidae: Its significance in phylogeny https://pubs.usgs.go[...]
[15] 논문 Analyse de la Nature ou tableau de l'univers et des corps organisés https://www.biodiver[...] Palermo, Aux dépens de l'auteur
[16] 서적 Prodromus Systematis Mammalium et Avium https://www.biodiver[...] Sumptibus C. Salfeld
[17] 논문 On the natural arrangement of vertebrose animals https://archive.org/[...]
[18] 서적 The fauna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mammals Petrov’s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19] 서적 Handbuch der Naturgeschichte. Vierte auflage https://www.deutsche[...] Johann Christian Dieterich
[20] 논문 Brains of early carnivores https://www.cambridg[...]
[21] 웹사이트 Higher Taxonomy https://www.mammaldi[...] American Society of Mammalogy 2024-08-22
[22] 서적 Field Guide to Carnivores of the World Bloomsbury Wildlife
[23] 논문 Towards Resolving the Interordinal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24]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elucidate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bats
[25] 논문 Resolving the relationships of Paleocene placental mammals http://discovery.ucl[...]
[26] 서적 Phylogeny of the Primates Plenum
[27] 서적 Mammalogy: Adaptation, Diversity, Ecology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 서적 Evolving Eden: An Illustrated Guide to the Evolution of the African Large-Mammal Fauna Columbia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Carnivoran Mammals https://web.archive.[...]
[30] 서적 Carnivoran evolution. New views on phylogeny, form and fun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논문 Earliest known carnivoran auditory bulla and support for a recent origin of crown-clade carnivora (Eutheria, Mammalia)
[32] 논문 Earliest Eocene Miacidae (Mammalia: Carnivora) from northwestern Wyoming
[33]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34] 서적 Dogs: Their Fossil Relatives and Evolutionary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Carnivor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6] 서적 Si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imis locis. Tomus I Impensis direct. Laurentii Salvii, Holmia
[37] 서적 An analysis of the natural classifications of Mammalia for the use of students and travelers J. Smith
[38] 논문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39] 논문 Mitogenomic analyses of caniform relationships
[40] 논문 Use of spectral analysis to test hypotheses on the origin of pinnipeds
[41] 논문 Basicranial evidence for ursid affinity of the oldest pinnipeds https://archive.org/[...]
[42] 논문 Phylogeny and divergence of the pinnipeds (Carnivora: Mammalia) assessed using a multigene dataset
[43] 논문 Evidence from nuclear DNA sequences sheds light on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innipedia: Single origin with affinity to Musteloidea
[4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45] 논문 Exhaustive sample set among Viverridae reveals the sister-group of felids: the linsangs as a case of extreme morphological convergence within Feliformia
[46] 웹사이트 Origin of Malagasy Carnivora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Single origin of Malagasy Carnivora from an African ancestor – Letters to Nature https://web.archive.[...]
[48] 문서 Mosaics of Convergences and Noise in Morphological Phylogenies: What's in a Viverrid-Like Carnivoran?
[49]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2010
[50]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1 Lynx Ediciones
[51] 논문 Evidence of a false thumb in a fossil carnivore clarifies the evolution of pandas
[52] 논문 Analysis of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increases phylogenetic resolution of bears (Ursidae), a mammalian family that experienced rapid speciation 2007
[53] 논문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
[54]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
[55]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56]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1 Lynx Ediciones
[57]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4 Lynx Ediciones
[58] 서적 Mamma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59] 서적 Walker's Carnivor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0] 서적 Knobil and Neill's Physiology of Reproduction https://books.google[...]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06
[61] 논문 The Baculum was Gained and Lost Multiple Tim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2016-06-01
[62]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Species http://www.issg.or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63]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4]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65] 간행물 哺乳類の日本語分類群名,特に目名の取扱いについて 文部省の“目安”にどう対応するか 日本哺乳類学会
[66] 뉴스 なぜイヌはネコ目なのでしょう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67] 웹사이트 食肉(しょくにく)目 動物を分類しよう IN 東山動物園 https://apec.aichi-c[...] 愛知総合教育センター 2024-04-21
[68]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69] 서적 Introduction Lynx Edicions
[70] 간행물 哺乳類の高次分類群および分類階級の日本語名称の提案について 日本哺乳類学会
[71] 논문 レッサーパンダ(''Ailurus fulgens'')の進化的由来 日本哺乳類学会
[72] 논문 哺乳類分類における高次群の和名について
[73]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74]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2005-04-00
[75] 저널 A new lophocyonid, ''Izmirictis cani'' gen. et sp. nov. (Carnivora: Mammalia), from the lower Miocene of Turkey
[76] 저널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feliform Carnivora
[77] 논문 哺乳類の化石記録と白亜紀/古第三紀境界前後における初期進化 日本哺乳類学会
[78] 서적 新版 絶滅哺乳類図鑑 丸善出版 2011-01-30
[79] 서적 An analysis of the natural classifications of Mammalia for the use of students and travelers J. Smith
[80] 웹사이트 MSW3 Carnivora
[81] 저널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82] 저널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