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브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코노트의 여왕으로, 여러 남편을 거치며 권력을 잡고 쿨리의 소 쟁탈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의 이름은 "미드 여인" 또는 "취하게 하는 자"를 의미하며, 아일랜드의 여러 지명과 관련되어 있다. 메브는 아름다운 외모와 권력을 지닌 여성으로 묘사되며, 남편과의 재산 균형을 중시하여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켰다. 그녀는 쿠 훌린과의 대립, 아들 푸르바이드에 의한 죽음 등 다양한 사건을 겪었으며, 주권 여신 또는 여성의 힘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나크타 국왕 - 알릴 막 마타
알릴 막 마타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코나크트의 여왕 메브의 남편이자 코나크트의 왕으로, 모계 혈통을 통해 왕위를 주장했으며 메브와의 사이에서 여러 아들을 두었고, 《쿠얼레의 소 도둑》 원정을 주도했지만 페르구스를 질투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후 코날 케르나흐에게 암살당했다. - 코나크타 국왕 - 니얼 노이기얼러흐
니얼 노이기얼러흐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왕위 계승 시험과 경쟁을 거쳐 왕이 되었으며, 에오차이드 막 에나에 의해 살해당했고, "아홉 명의 인질"이라는 별칭과 Y 염색체 분석으로 직계 후손이 확인되었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브리이드
브리이드(Brígid)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시, 대장장이, 치유, 가축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숭배받았으며, 기독교 성녀 브리지다와 혼합되어 킬데어의 성스러운 불과 관련되기도 한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다누 (아일랜드 신화)
다누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다산과 관련된 중요한 여신으로, 투아하 데 다난과 관련되어 "풍요" 또는 "위대함"을 의미하며, 아누 여신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고, 유럽 지명과의 연관성 및 인도 신화의 여신 다누와의 연관성을 통해 켈트족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존재이다. - 아일랜드의 전설 - 타라 언덕
타라 언덕은 아일랜드 신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대 유적지로, 신석기 시대 유적과 철기 시대 유적을 포함하며 아일랜드 최고 왕의 자리로 여겨졌고 다섯 고대 도로가 시작되는 곳으로 전해진다. - 아일랜드의 전설 - 콘코바르 막 네사
콘코바르 막 네사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울라 지방의 왕으로, 네스의 아들이며 데르드러와의 비극, 쿠얼러의 소몰이 전쟁 등에 연루되었고, 케트 막 마가크에 의해 사망했다.
| 메브 | |
|---|---|
| 개요 | |
![]() | |
| 등장 작품 | 울라 대계 |
| 인물 정보 | |
| 이름 | 메브 |
| 원래 이름 | Medb |
| 별칭 | 메이브 매브 메이ヴ 메ヴ |
| 성별 | 여성 |
| 직업 | 여왕 |
| 배우자 | 알릴 막 마타 |
| 국적 | 아일랜드 |
2. 이름과 어원
메브(Medb)라는 이름은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Medbsga로 표기되었으며, '미드 여인' 또는 '취하게 하는 자'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원시 켈트어 ''*medu-'' ("미드") 또는 ''*medua'' ("취하게 하는")에서 유래한 것으로, 메브가 주권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 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에서 미드 음주는 왕의 즉위식에서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신화에서는 땅의 주권을 나타내는 여인이 왕에게 술을 제공하여 주권을 부여했다.[7]
메브의 이름은 영어식으로 '''Maeve''', '''Maev''', '''Mave''' 또는 '''Maiv'''로 표기된다. 메브의 이름과 관련된 아일랜드 지명은 메브가 땅과 풍요의 여신이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2. 1. 이름의 변천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그녀의 이름은 Medbsga이며, 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Meḋḃmga,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eadhbhmga 또는 Meaḋḃmga이며,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éabh''(''a'') 또는 ''Méibh''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시 켈트어 ''*medu-'' ("미드") 또는 ''*medua'' ("취하게 하는")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그녀의 이름의 의미는 "미드 여인" 또는 "취하게 하는 자"로 해석되어 왔다.[6] 이는 그녀가 주권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에서 미드 음주는 왕의 즉위식의 핵심 부분이었다. 신화에서, 그 땅의 주권을 나타내는 초자연적인 여인이 왕에게 알코올 음료를 제공하여 왕을 선택함으로써 그에게 주권을 부여한다.[7] 그러나 이 이름이 원시 켈트어 ''*medwamis'' ("지배자")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6]이 이름은 영어식으로 '''Maeve''', '''Maev''', '''Mave''' 또는 '''Maiv'''로 표기된다. 메브라는 이름이 포함된 몇몇 아일랜드 지명이 있다. 얼스터 지명 협회의 케이 무어에 따르면, 이 지명들 중 일부는 메브가 땅과 풍요의 여신이기도 했음을 시사한다.
| 지명 | 의미 | 위치 | 비고 |
|---|---|---|---|
| 앤트림주의 Ballypitmave (Baile Phite Méabha) | "메브의 음부의 타운랜드" | 북부 얼스터 | |
| 타이론주의 소웰 피트메이브 (Samhail Phite Méabha) | "메브의 음부를 닮은" | 북부 얼스터 | |
| 슬라이고주의 Maeve's Cairn | |||
| 라우스주의 Barnavave (Bearna Mhéabha) | "메브의 틈새" | [8] | |
| 런던데리주의 Boveva (Boith Mhéabha) | "메브의 오두막" | [9] | |
| 골웨이주의 Knockmaa (Cnoc Meá) | "메브의 언덕" | ||
| 도네갈주의 Meskanmave (Meascán Mhéabha) | "메브의 덩어리" | [10] | |
| 로스커먼주의 라스크로건에 있는 Milleen Meva (Millín Mhéabha) | "메브의 작은 언덕" | [11] | |
| 미스주의 타라에 있는 라 메이브 |
2. 2. 어원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그녀의 이름은 Medbsga이며, 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Meḋḃ|아일랜드어 철자법#발음 구별 기호mga ,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eadhbhmga 또는 Meaḋḃmga,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éabh''(''a'') 또는 ''Méibh''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시 켈트어 ''*medu-'' (미드) 또는 ''*medua'' ("취하게 하는")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그녀의 이름의 의미는 "미드 여인" 또는 "취하게 하는 자"로 해석되어 왔다.[6] 이는 그녀가 주권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에서 미드 음주는 왕의 즉위식의 핵심 부분이었다. 신화에서, 그 땅의 주권을 나타내는 초자연적인 여인이 왕에게 알코올 음료를 제공하여 왕을 선택함으로써 그에게 주권을 부여한다.[7] 그러나 이 이름이 원시 켈트어 ''*medwamis'' ("지배자")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6]이 이름은 영어식으로 '''Maeve''', '''Maev''', '''Mave''' 또는 '''Maiv'''로 표기된다. 메브라는 이름이 포함된 몇몇 아일랜드 지명이 있다. 얼스터 지명 협회의 케이 무어에 따르면, 이 지명들 중 일부는 메브가 땅과 풍요의 여신이기도 했음을 시사한다.
| 지명 | 의미 | 위치 | 비고 |
|---|---|---|---|
| 앤트림주의 Ballypitmave (Baile Phite Méabha) | "메브의 음부의 타운랜드" | 북부 얼스터 | |
| 타이론주의 소웰 피트메이브 (Samhail Phite Méabha) | "메브의 음부를 닮은" | 북부 얼스터 | |
| 슬라이고주의 Maeve's Cairn | |||
| 라우스주의 Barnavave (Bearna Mhéabha) | "메브의 틈새" | [8] | |
| 런던데리주의 Boveva (Boith Mhéabha) | "메브의 오두막" | [9] | |
| 골웨이주의 Knockmaa (Cnoc Meá) | "메브의 언덕" | ||
| 도네갈주의 Meskanmave (Meascán Mhéabha) | "메브의 덩어리" | [10] | |
| 로스커먼주의 라스크로건에 있는 Milleen Meva (Millín Mhéabha) | "메브의 작은 언덕" | [11] | |
| 미스주의 타라에 있는 라 메이브 |
2. 3. 지명과의 연관성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메브의 이름은 Medbsga이며, 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Meḋḃmga,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eadhbhmga 또는 Meaḋḃmga이며,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éabh''(''a'') 또는 ''Méibh''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시 켈트어 ''*medu-'' ("미드") 또는 ''*medua'' ("취하게 하는")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미드 여인" 또는 "취하게 하는 자"로 해석되어 왔다.[6] 이는 그녀가 주권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에서 미드 음주는 왕의 즉위식의 핵심 부분이었다. 신화에서, 그 땅의 주권을 나타내는 초자연적인 여인이 왕에게 알코올 음료를 제공하여 왕을 선택함으로써 그에게 주권을 부여한다.[7] 그러나 이 이름이 원시 켈트어 ''*medwamis'' ("지배자")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6]메브는 영어식으로 '''Maeve''', '''Maev''', '''Mave''' 또는 '''Maiv'''로 표기된다. 얼스터 지명 협회의 케이 무어에 따르면, 메브라는 이름이 포함된 몇몇 아일랜드 지명은 메브가 땅과 풍요의 여신이기도 했음을 시사한다.
| 지명 | 의미 또는 어원 | 위치 |
|---|---|---|
| 앤트림주의 Ballypitmave | Baile Phite Méabha, "메브의 음부의 타운랜드" | 북부 얼스터 |
| 타이론주의 소웰 피트메이브 | Samhail Phite Méabha, "메브의 음부를 닮은" | 북부 얼스터 |
| 슬라이고주의 Maeve's Cairn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라우스주의 Barnavave | Bearna Mhéabha, "메브의 틈새"[8] | 해당사항 없음 |
| 런던데리주의 Boveva | Boith Mhéabha, "메브의 오두막"[9] | 해당사항 없음 |
| 골웨이주의 Knockmaa | Cnoc Meá, "메브의 언덕" | 해당사항 없음 |
| 도네갈주의 Meskanmave | Meascán Mhéabha, "메브의 덩어리"[10] | 해당사항 없음 |
| 로스커먼주의 라스크로건에 있는 Milleen Meva | Millín Mhéabha, "메브의 작은 언덕"[11] | 해당사항 없음 |
| 미스주의 타라에 있는 라 메이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메브는 금발의 늑대 여왕으로 묘사되며, 매우 아름다워 그녀를 본 남자는 용맹함의 3분의 2를 빼앗길 정도였다고 한다.[12]
메브가 코노트에서 권력을 잡고 아릴 막 마타와 결혼하게 된 경위는 "카 보인데"("보인 전투") 또는 "페르추이트레드 메드바"("메브의 남편 지분") 이야기에 전해진다.[13]
3. 외모
4. 권력 장악과 결혼
메브의 아버지인 아호 에이드레이크(아일랜드의 최고 왕)는 코노트의 왕이었던 티니 막 콘리를 폐위시키고 메브를 그 자리에 앉혔다. 메브는 남편에게 두려움, 비열함, 질투심이 없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요구했는데, 많은 연인을 둔 그녀에게는 질투심 없음이 특히 중요했다. 아호 달라와의 결혼 중 그녀는 경호대장인 아릴 막 마타를 연인으로 삼았다. 아호는 결투에서 패배했고, 아릴은 메브와 결혼하여 코노트의 왕이 되었다.
메브의 아버지 Eochu Feidlech영어는 상왕 Óengus Tuirmech Temrach영어의 후손인 아일랜드 상왕이었다. 에오후에게는 데르브리우, 에스네, 에이레, 크로툴, 무긴 등 6명의 딸이 있었으며, findemna영어이라고 불리는 세쌍둥이와 코날 앙글론다흐는 메브의 형제이다.
세쌍둥이는 아버지 에오후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죽었다. 크로툴은 세쌍둥이의 혈통이 끊어지는 것을 불쌍히 여겨 전쟁 전날 밤 그들과 순서대로 관계를 맺었고, 이 근친상간으로 생긴 아이는 후일 아일랜드 상왕이 된다. 크로툴은 Rathcroghan영어의 지배권을 에오후에게 받았지만 메브에게 살해당했고, 크루아한은 메브가 지배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메브의 죽음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
4. 1. 첫 번째 결혼: 콘코바르 막 네사
메브가 코노트에서 권력을 잡고 아릴 막 마타와 결혼하게 된 경위는 "카 보인데"("보인 전투")라고도 알려진 "페르추이트레드 메드바"("메브의 남편 지분") 이야기에 전해진다.[13] 그녀의 아버지인 아호 에이드레이크(아일랜드의 최고 왕)은 울스터의 왕인 콘코바르 막 네사와 그녀를 결혼시켰는데, 이는 그가 전투에서 콘코바르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전 최고 왕인 파흐트나 파타흐를 죽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아들 글라스네를 낳았지만, 결혼 생활은 좋지 않았고 그녀는 그를 떠났다. 아호는 콘코바르에게 그의 또 다른 딸인 에이네(또는 클로트루)[14]를 주었지만, 메브는 그녀가 임신했을 때 살해했다. 그녀의 아들 푸르바이드는 사후 제왕 절개로 태어났다.
4. 2. 두 번째 결혼: 티니 막 콘리
티니 막 콘리는 코노트의 왕이었으나, 메브의 아버지이자 아일랜드의 최고 왕인 아호 에이드레이크에 의해 폐위되고 메브가 그 자리에 앉았다. 그러나 티니는 나중에 메브와 연인이 되면서 왕좌의 일부를 되찾았다.[13] 콘코바르 막 네사가 타라에서 회의 후 메브를 강간했고, 최고 왕과 울스터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티니는 콘코바르에게 일대일 결투를 신청했지만 졌다.[13]
4. 3. 세 번째 결혼: 아호 달라
메브가 코노트에서 권력을 잡고 아릴 막 마타와 결혼하게 된 경위는 "카 보인데"("보인 전투") 또는 "페르추이트레드 메드바"("메브의 남편 지분")라는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13] 메브는 남편에게 두려움, 비열함, 질투심이 없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많은 연인을 둔 메브에게 질투심 없음은 특히 중요한 조건이었다. 아호 달라와 결혼 생활 중, 메브는 경호대장인 아릴 막 마타와 연인 관계를 맺었다. 아호는 이를 알고 아릴에게 일대일 결투를 신청했으나 패배했다. 이후 아릴은 메브와 결혼하여 코노트의 왕이 되었다.
4. 4. 네 번째 결혼: 아릴 막 마타
메브가 코노트에서 권력을 잡고 아릴 막 마타와 결혼하게 된 경위는 "카 보인데"("보인 전투") 또는 "페르추이트레드 메드바"("메브의 남편 지분")라는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13] 메브는 남편에게 두려움, 비열함, 질투심이 없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많은 연인을 둔 메브에게 질투심 없음은 특히 중요한 조건이었다.[13] 아호 달라와 결혼 생활 중, 메브는 자신의 경호대장인 아릴 막 마타와 연인 관계를 맺었다. 이를 알게 된 아호는 아릴에게 일대일 결투를 신청했지만 패배했다. 그 결과, 아릴은 메브와 결혼하여 코노트의 왕이 되었다.
5. 자녀
메브는 아일랜드 상왕 와 그의 아내 크로툴 사이에서 태어났다. 에오후는 상왕 의 후손이다. 에오후에게는 여섯 명의 딸이 있었는데, 데르브리우, 에스네, 에이레, 크로툴, 무긴이 메브의 자매이고, 이라고 불리는 세쌍둥이와 코날 앙글론다흐가 메브의 형제이다.
메브는 아릴과의 사이에서 핀다바르와 케니에르(케니에르 데르그)라는 딸을 두었다. 케니에르는 타인 보 플리다이스에서 창에 맞아 비참하게 죽었다.[17][18]
5. 1. 일곱 아들(메인)
메브와 아릴은 일곱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메인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원래 모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었지만, 메브가 드루이드에게 자신의 아들 중 누가 콘코바를 죽일 것인지 묻자, 그는 "메인"이라고 대답했다. 메브에게 메인이라는 아들이 없었기에, 그녀는 모든 아들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바꾸었다.[15]| 원래 이름 | 바뀐 이름(메인) | 설명 |
|---|---|---|
| 페들리미드 | 메인 아트라마일 | "그의 아버지와 같다" |
| 카르브레 | 메인 마트라마일 | "그의 어머니와 같다" |
| 에오차이드 | 메인 안도에 | "민첩한", 키흐-메인 안도에 또는 키흐무인으로도 알려짐[15] |
| 페르구스 | 메인 타이 | "침묵하는" |
| 케트 | 메인 모르고르 | "위대한 의무의" |
| 신 | 메인 밀스코타흐 | "꿀-연설" |
| 다이레 | 메인 모에피르트 | "묘사할 수 없는" |
예언은 메인 안도에가, 메브가 드루이드가 의미한다고 추측했던 파흐트나 파흐타흐의 아들 콘코바가 아닌, 아서의 아들 브루이드의 아들 콘코바를 죽이면서 이루어졌다.[13]
5. 2. 딸
메브와 아릴은 핀다바르[16]를 딸로 두었으며, 케니에르 또는 "케니에르 데르그"(붉은 케니에르)라는 딸도 있었는데, 그녀는 타인 보 플리다이스에서 창에 맞아 비참하게 죽었다.[17][18]6. 쿨리의 소 쟁탈 (타인 보 컬린게)
메브는 남편 아릴 막 마타와의 재산 비교에서 자신이 밀린다는 것을 알게 되자, 쿨리의 소를 훔쳐오는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켰다.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에 대적할 만한 유일한 소는 콘코바르 막 네사의 봉신 다이레 막 피아흐나가 가진 돈 컬린게였다. 메브는 다이레에게 사신을 보내 황소를 빌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사신의 실수로 인해 거절당하고 전쟁을 준비한다.
아일랜드 전역에서 병력이 모였고, 페르구스 막 로이흐를 비롯한 울스터 망명자들도 있었다. 울스터인에게 내려진 저주 때문에, 십대 영웅 쿠 훌린만이 메브 군대에 맞서 싸웠다. 메브와 아릴은 쿠 훌린을 쓰러트리기 위해 딸 핀다바르와의 결혼을 제안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결국 메브는 돈 컬린게를 손에 넣지만, 콘코바르 군대와의 전투 후 후퇴한다. 돈 컬린게는 크루아한으로 돌아와 핀벤나흐와 싸워 죽이지만, 자신도 부상으로 죽는다.[21]
타인 보 컬린게(쿨리의 소 쟁탈) 과정에서 쿠 훌린은 메브의 애완동물이나 시녀들을 죽였고, 그 장소들은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1] 메브는 울스터에 대한 경멸을 담아 지형을 바꾸기도 했다.[22]
6. 1. 발단
메브는 남편 아릴과 재산이 동등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아릴이 자신보다 강력한 종마를 한 마리 더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쿨리 소 도둑질을 시작했다. 그녀는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의 유일한 경쟁자는 콘코바르 막 네사의 봉신인 다이레 막 피아흐나가 소유한 돈 컬린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다이레에게 사자를 보내 부, 토지, 성적인 호의를 제공하며 황소를 빌려달라고 요청했고, 다이레는 처음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술에 취한 사자가 만약 그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그 황소를 강제로 빼앗았을 것이라고 말하자, 다이레는 동의를 철회했고, 메브는 전쟁을 준비했다.아일랜드 전역에서 병력이 모였다. 그중에는 콘코바르의 소원해진 아들 코르마크 콩드 롱가스와 그의 양아버지인 페르구스 막 로이흐(전 울스터 왕이자 메브의 연인 중 한 명)가 이끄는 울스터 망명자 그룹이 있었다. 메브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30명의 남자가 필요했고, 페르구스는 한 번이면 충분했다고 한다.[19] 메브와 페르구스의 관계는 루크레흐 모쿠 키아라(c. 600)의 초기 시 "코닐라 메브 미쿠루"("메브는 사악한 계약을 맺었다")에서 언급된다. 이 시는 메브가 페르구스를 유혹하여 울스터에 반하게 한 것은 "그가 자기 백성보다 여자의 엉덩이를 더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0]
울스터인에게 내려진 신성한 저주 때문에, 침략에 반대하는 것은 십 대 울스터 영웅 쿠 훌린뿐이었으며, 그는 여울에서 단독 전투를 요구하며 군대의 진격을 막았다. 메브와 아릴은 쿠 훌린과 싸우는 대가로 딸 핀다바르를 일련의 영웅들에게 결혼시키려 했지만, 모두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브는 황소를 확보했다. 그러나 콘코바르의 소집된 군대와의 마지막 전투 후, 그녀는 후퇴해야 했다. 돈 컬린게는 크루아한으로 돌아와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와 싸웠고, 핀벤나흐를 죽였지만, 부상으로 죽었다.[21]
6. 2. 전개
메브는 남편 아릴보다 자신이 더 강력한 종마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고, 아릴이 자신보다 좋은 종마를 가졌다는 사실을 알고 쿨리 소 도둑질을 시작했다. 그녀는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와 유일하게 대적할 만한 소는 콘코바르 막 네사의 봉신인 다이레 막 피아흐나가 소유한 돈 컬린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메브는 다이레에게 사신을 보내 부와 땅, 그리고 성적인 호의를 제공하며 황소를 빌려달라고 요청했고, 다이레는 처음에 동의했다. 그러나 술에 취한 사신이 만약 다이레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황소를 강제로 빼앗았을 것이라고 말하자, 다이레는 동의를 철회했고, 메브는 전쟁을 준비했다.아일랜드 전역에서 병력이 모였다. 그중에는 콘코바르의 소원해진 아들 코르마크 콩드 롱가스와 그의 양아버지인 페르구스 막 로이흐(전 울스터 왕이자 메브의 연인 중 한 명)가 이끄는 울스터 망명자 그룹도 있었다. 메브를 만족시키려면 30명의 남자가 필요했고, 페르구스는 한 번이면 충분했다고 한다.[19] 메브와 페르구스의 관계는 루크레흐 모쿠 키아라(c. 600)의 초기 시 "코닐라 메브 미쿠루"("메브는 사악한 계약을 맺었다")에서 언급된다. 이 시는 메브가 페르구스를 유혹하여 울스터에 반하게 한 것은 "그가 자기 백성보다 여자의 엉덩이를 더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0]
울스터인에게 내려진 신성한 저주 때문에, 침략에 반대하는 유일한 사람은 십 대 울스터 영웅 쿠 훌린뿐이었다. 그는 여울에서 단독 전투를 요구하며 군대의 진격을 막았다. 메브와 아릴은 쿠 훌린과 싸우는 대가로 딸 핀다바르를 여러 영웅들에게 결혼시키려 했지만, 모두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브는 황소를 확보했다. 그러나 콘코바르의 소집된 군대와의 마지막 전투 후, 그녀는 후퇴해야 했다. 돈 컬린게는 크루아한으로 돌아와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와 싸웠고, 핀벤나흐를 죽였지만, 자신도 부상으로 죽었다.
타인 보 컬린게(쿠얼리의 소 쟁탈) 전반에 걸쳐 메브는 쿠 훌린과 여러 번 만난다. 쿠 훌린은 메브의 애완동물이나 시녀들을 죽였고, 그들이 죽은 장소는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는 타인 보 컬린게의 텍스트 전반에 걸쳐 풍경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쿠 훌린이 "돌을 던져 메브의 목 근처 어깨에 앉아 있던 애완 족제비를 죽였다. 그리하여 미테 토그마일, 족제비 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21]와 같이, 그가 메브의 시녀를 죽였을 때, "그는 쿤쿠의 높은 곳에서 그녀에게 돌을 던져 그녀의 이름을 딴 평평한 곳, 레이드 로차, 로차의 평원에서 죽였다"[21]라고 기록되어 있다. 메브의 행동은 그녀가 울스터에 대한 경멸을 보여주기 위해 영구적으로 풍경을 바꾸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풍경의 중요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 "그녀는 영원히 울스터에 대한 경멸을 보여주는 길을 남겨 산을 넘는 것을 선호했다… 쿨린게 소의 고개를 만들기 위해."[22]
남편 아릴 막 마타와 어느 쪽이 더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하는 데서 시작된 쿠얼리의 소 쟁탈에서, 코나하트 군을 여러 차례 괴롭힌 쿠 훌린을 증오하여 그가 게쉬(금기)를 깨고 죽는 계기를 만들었다.
슬리고 마을을 흐르는 강의 수원지는 메브 여왕의 성천이며, 이 수면은 처녀, 어머니, 노파의 세 가지 모습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메브 여왕의 세 가지 면(권위, 악, 광기)을 나타낸다. 또한, 메브 여왕의 표지인 삼태극도 삼상일체의 여신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승에 따라, 그녀는 울라드 왕 콘코바르나 다른 왕의 왕비라고도 한다. 이러한 묘사로부터 메브는 원래 기독교 전래 이전의 지모신의 흔적이 아닌가 추측된다.
6. 3. 풍경과의 연관성
메브는 남편 아릴과 재산 비교를 통해 자신의 재산이 동등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아릴이 자신보다 강력한 종마를 가진 것을 알게 된 메브는 쿨리 소 도둑질을 시작했다.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에 대적할 유일한 황소 돈 컬린게는 다이레 막 피아흐나의 소유였다. 메브는 다이레에게 부와 토지, 그리고 성적인 호의를 제공하며 황소를 빌려달라고 요청했고, 다이레는 처음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술에 취한 사자의 발언으로 다이레는 동의를 철회했고, 메브는 전쟁을 준비했다.[19]전쟁 준비 과정에서 아일랜드 전역에서 병력이 모였다. 그중에는 콘코바르의 소원해진 아들 코르마크 콩드 롱가스와 그의 양아버지 페르구스 막 로이흐가 이끄는 울스터 망명자 그룹도 있었다. 메브와 페르구스의 관계는 루크레흐 모쿠 키아라 (c. 600)의 초기 시 "코닐라 메브 미쿠루"("메브는 사악한 계약을 맺었다")에서 언급된다.[20]
울스터인에게 내려진 저주 때문에, 침략에 맞선 유일한 인물은 십 대 영웅 쿠 훌린이었다. 그는 여울에서 단독 전투를 요구하며 군대의 진격을 막았다. 메브와 아릴은 쿠 훌린과 싸우는 대가로 딸 핀다바르를 여러 영웅들에게 결혼시키려 했지만, 모두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브는 황소를 확보했다. 그러나 콘코바르의 소집된 군대와의 마지막 전투 후, 그녀는 후퇴해야 했다. 돈 컬린게는 크루아한으로 돌아와 아릴의 황소 핀벤나흐와 싸웠고, 핀벤나흐를 죽였지만, 부상으로 죽었다.
타인 보 컬린게 전반에 걸쳐 메브는 쿠 훌린과 여러 번 만나는데, 그는 메브의 애완동물이나 시녀들을 죽였다. 그들이 죽은 장소는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이는 타인 보 컬린게의 텍스트 전반에 걸쳐 풍경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쿠 훌린이 메브의 애완 족제비를 죽인 곳은 "미테 토그마일"(족제비 목)이라 불렸고,[21] 메브의 시녀를 죽인 곳은 "레이드 로차"(로차의 평원)라고 불렸다.[21] 메브는 울스터에 대한 경멸을 보여주기 위해 영구적으로 풍경을 바꾸려고 노력했는데, "그녀는 영원히 울스터에 대한 경멸을 보여주는 길을 남겨 산을 넘는 것을 선호했다… 쿨린게 소의 고개를 만들기 위해."라는 구절에서 풍경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22]
슬리고 마을을 흐르는 강의 수원지는 메브 여왕의 성천이며, 이 수면은 처녀, 어머니, 노파의 세 가지 모습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메브 여왕의 세 가지 면(권위, 악, 광기)을 나타낸다. 또한, 메브 여왕의 표지인 삼태극 (트리스켈리온)도 삼상일체의 여신의 특징을 나타낸다.
7. 말년과 죽음
메브는 말년에 로흐 리 근처 녹크로게리에 있는 섬인 인치클로런(Inis Cloithreann)에서 목욕을 즐겼다. 푸르바이데는 어머니의 죽음에 복수하기 위해 밧줄로 연못과 해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메브의 키 높이에 말뚝을 세워 사과를 맞히는 연습을 새총으로 꾸준히 하였다.[14]
메브가 목욕하는 것을 본 푸르바이드는 연습한 대로 치즈 조각을 던져 메브를 죽였다. 이후 메브의 아들 메인 아트라메일이 코나흐트의 왕위를 계승했다.[14]
전설에 따르면, 메브는 슬라이고 주 녹크나레아(Cnoc na Ré) 정상에 있는 약 12.19m 높이의 돌무덤인 미오스간 메브에 묻혔다. 그녀는 울스터의 적들을 바라보며 거꾸로 묻혔다고 전해진다. 로스커먼 주에 있는 메브의 집 라스크로한도 매장지로 추정되며, '미스건 메브'라는 석판이 유력한 장소로 꼽힌다.
7. 1. 페르구스 살해
아일릴은 메브와 페르구스의 불륜을 질투하여 페르구스를 죽였다.[23] 콘코바르가 죽은 후, 얼스터의 영웅 코날 케르나크는 그를 부양할 수 있는 유일한 가문인 아일릴과 메브에게 의탁했다. 메브는 코날에게 아일릴이 다른 여자를 만나는지 감시하도록 시켰다. 코날은 현장에서 아일릴을 발견했고, 메브는 코날에게 아일릴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코날은 페르구스의 복수를 위해 기꺼이 명령을 따랐다. 그러나 죽어가던 아일릴은 부하들을 보냈고, 코날은 도망치다 죽었다.[19]7. 2. 코날 케르나크와 아일릴 살해
콘코바르가 죽은 후, 얼스터의 영웅 코날 케르나크는 그를 부양할 수 있는 유일한 가문인 아일릴과 메브와 함께 머물렀다. 메브는 코날에게 다른 여자를 만나는 아일릴을 감시하도록 시켰다. 현장에서 아일릴을 발견한 메브는 코날에게 그를 죽이라고 명령했고, 코날은 페르구스에 대한 복수로 기꺼이 아일릴을 죽였다.[19] 그러나 죽어가던 아일릴은 부하들을 코날에게 보냈고, 코날은 도망치려다 죽었다.[19]7. 3. 메브의 죽음
말년의 메브는 종종 로흐 리 근처 녹크로게리에 있는 섬인 인치클로런의 연못에서 목욕을 하곤 했다. 푸르바이드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려 했다. 그는 밧줄을 가져다가 연못과 해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메브의 키만큼 높이의 말뚝 위에 놓인 사과를 그 거리에서 맞힐 수 있을 때까지 새총으로 연습했다. 다음 번 메브가 목욕하는 것을 보았을 때 그는 연습을 활용하여 치즈 조각으로 그녀를 죽였다. 그녀는 아들 메인 아트라메일에게 코나흐트의 왕위를 물려주었다.[14]전설에 따르면, 메브는 슬라이고 주의 녹크나레아(''Cnoc na Ré'') 정상에 있는 약 12.19m 높이의 돌무덤인 미오스간 메브에 묻혔다. 그녀는 거꾸로 서서 울스터의 적들을 바라보며 묻혔다고 한다. 로스커먼 주의 그녀의 집인 라스크로한 역시 잠재적인 매장지이며, '미스건 메브'라는 길고 낮은 석판이 가장 유력한 장소로 여겨진다.
8. 매장
메브는 말년에 로흐 리 근처 녹크로게리에 있는 섬인 인치클로런(Inis Cloithreann)의 연못에서 종종 목욕을 하곤 했다. 푸르바이드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려 했다. 그는 밧줄을 가져다가 연못과 해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메브의 키만큼 높이의 말뚝 위에 놓인 사과를 그 거리에서 맞힐 수 있을 때까지 새총(sling (weapon))으로 연습했다. 다음 번 메브가 목욕하는 것을 보았을 때 그는 연습을 활용하여 치즈 조각으로 그녀를 죽였다. 그녀는 아들 메인 아트라메일에게 코나흐트의 왕위를 물려주었다.[14]
전설에 따르면, 메브는 슬라이고 주의 녹크나레아(아일랜드어: ''Cnoc na Ré'') 정상에 있는 약 12.19m 높이의 돌무덤인 미오스간 메브에 묻혔다고 한다. 그녀는 거꾸로 서서 울스터의 적들을 바라보며 묻혔다고 한다. 로스커먼 주의 그녀의 집인 라스크로한 역시 잠재적인 매장지이며, '미스건 메브'라는 길고 낮은 석판이 가장 유력한 장소로 여겨진다.
9. 해석
"코넛"이라는 이름은 시대착오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얼스터 대주기의 이야기는 전통적으로 기원 전후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코넛 지방의 이름을 따온 코나흐타는 몇 세기 후에 살았다고 여겨지는 콘 케트카하크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후의 이야기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넛 지방의 이전 이름으로 코이드 올 네크마흐트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초기 아일랜드 역사 전통의 연대기는 기독교 수도사들이 토착 전통을 고전 및 성경 역사와 동기화하려는 인위적인 시도이며, 이 주기가 연대기적으로 잘못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2]
쿠얼리의 소 쟁탈은 남편 아릴 막 마타와 어느 쪽이 더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하는 데서 시작되었는데, 메브는 코나하트 군을 여러 차례 괴롭힌 쿠 훌린을 증오하여 그가 게쉬(금기)를 깨고 죽는 계기를 만든다.
9. 1. 주권 여신
토마스 오 마일은 1928년에 메브가 코넛의 주권을 나타내는 우화적인 인물이라고 처음으로 제안했다.[24][25] 그는 메브를 "왕이 즉위의 일부로 의례적으로 결혼할 인물"이라고 보았다.[26] 타라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메브 레스데르그는 이 메브와 동일하거나 영감을 준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27][28] 그녀의 이름은 '취하게 하는 자'를 의미하며, 영어 단어 '미드'와 동족어이다. 왕과 여신 사이의 신성한 결혼식에는 함께 술을 마시는 의식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메브가 남편과 나누는 "침대 담화"는 모계 사회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으며, 아릴이 어머니 마타 무이리스크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은 것에서도 드러난다.[29] 최근 아일랜드 및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들은 누알라 니 도므나일의 아일랜드어 시 "라브란 메브"("메브가 말하다")[30]와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 패트리샤 모나한의 "취함"과 같이 메브를 여성의 힘, 특히 성적 매력의 이미지로 탐구했다.[31]슬리고 마을을 흐르는 강의 수원지는 메브 여왕의 성천이며, 이 수면은 처녀, 어머니, 노파의 세 가지 모습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메브 여왕의 세 가지 면(권위, 악, 광기)을 나타낸다. 또한, 메브 여왕의 표지인 삼태극 (트리스켈리온)도 삼상일체의 여신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승에 따라, 그녀는 울라드 왕 콘코바르나 다른 왕의 왕비라고도 한다. 이러한 묘사로부터 메브는 원래 기독교 전래 이전의 지모신의 흔적이 아닌가 추측된다.
9. 2. 여성성과 성적 매력
토마스 오 마일은 1928년에 메브가 코넛의 주권을 나타내는 우화적인 인물이며, "왕이 즉위의 일부로 의례적으로 결혼할 인물"이라고 제안했다.[24][25][26] 타라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메브 레스데르그는 이 메브와 동일하거나 영감을 준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27][28] 그녀의 이름은 '취하게 하는 자'를 의미하며, 영어 단어 '미드'와 동족어이다. 왕과 여신 사이의 신성한 결혼식에는 함께 술을 마시는 의식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메브가 남편과 나누는 "침대 담화"는 모계 사회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으며, 아릴이 어머니 마타 무이리스크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은 것에서도 드러난다.[29]최근 아일랜드 및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들은 메브를 여성의 힘, 특히 성적 매력의 이미지로 탐구했다. 누알라 니 도므나일의 아일랜드어 시 "라브란 메브"("메브가 말하다")[30]와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 패트리샤 모나한의 "취함"이 그 예시이다.[31]
슬리고 마을을 흐르는 강의 수원지는 메브 여왕의 성천이며, 이 수면은 처녀, 어머니, 노파의 세 가지 모습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메브 여왕의 세 가지 면(권위, 악, 광기)을 나타낸다. 또한, 메브 여왕의 표지인 삼태극 (트리스켈리온)도 삼상일체의 여신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승에 따라, 그녀는 울라드 왕 콘코바르나 다른 왕의 왕비라고도 한다. 이러한 묘사로부터 메브는 원래 기독교 전래 이전의 지모신의 흔적이 아닌가 추측된다.
9. 3. 현대 문학에서의 메브
토마스 오 마일은 1928년에 메브가 아마도 코넛의 주권을 나타내는 우화적인 인물이라고 처음으로 제안했다.[24][25] 그는 메브를 "왕이 즉위의 일부로 의례적으로 결혼할 인물"이라고 보았다.[26] 타라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메브 레스데르그는 이 메브와 동일하거나 영감을 준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27][28] 그녀의 이름은 '취하게 하는 자'를 의미하며, 영어 단어 '미드'와 동족어이다. 왕과 여신 사이의 신성한 결혼식에는 함께 술을 마시는 의식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메브가 남편과 나누는 "침대 담화"는 모계 사회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으며, 아릴이 어머니 마타 무이리스크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은 것에서도 드러난다.[29] 최근 아일랜드 및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들은 누알라 니 도므나일의 아일랜드어 시 "라브란 메브"("메브가 말하다")[30]와 아일랜드계 미국 시인 패트리샤 모나한의 "취함"과 같이 메브를 여성의 힘, 특히 성적 매력의 이미지로 탐구했다.[31]10. 족보
세쌍둥이는 찬탈을 꾀하여 아버지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죽었다.[1] 그러나 세쌍둥이의 혈통이 끊어지는 것을 불쌍히 여긴 크로툴이 전쟁 전날 밤 그들 모두와 순서대로 관계를 맺었고, 이 근친상간으로 생긴 아이는 후일 아일랜드 상왕이 된다.[1] 또한 크로툴은 Rathcroghan|크루아한영어의 지배권을 아버지에게 받았지만 메브에게 살해당하고, 크루아한은 메브가 지배하게 되었다.[1] 이 사건은 메브의 죽음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1]
11. 후대의 전승
일본에서는 카타카나 표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오는 요정 여왕 매브(Mab)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1]
메브(Medb, Meadhbh)는 아일랜드어로 intoxicates(취하게 하는 것)와 관련이 있지만, 매브는 16세기 영어에서 명사·동사로 더러움·엉덩이 따위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셰익스피어가 묘사한 매브 또한 그러하다.[1]
잉글랜드와 아일랜드는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셰익스피어가 메브를 상정하고 이름을 지었는지는 증거가 없다.[1]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드라마 『더 보이즈』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스펠은 영국식인 Meave이다.[1]
12. 현대 매체
일본에서는 가타카나 표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오는 요정 여왕 매브(Mab)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1]
메브(Medb, Meadhbh)는 아일랜드어로 intoxicates(취하게 하는 것)와 관련이 있지만, 매브는 16세기 영어에서 명사·동사로 더러움·엉덩이 따위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셰익스피어가 쓴 매브 또한 그렇게 그려져 있다.[1]
잉글랜드와 아일랜드는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셰익스피어가 메브를 상정하고 이름을 지었는지는 증거가 없다.[1]
Amazon Prime Video의 드라마 『더 보이즈』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스펠은 영국식인 Meave이다.[1]
참조
[1]
서적
Táin Bó Cuailnge
[2]
서적
The Warrior Queens
Penguin books
[3]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5]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6]
간행물
Medb 'the intoxicating one'? (Re-)constructing the past through etymology
https://www.academia[...]
[7]
서적
Goddesses in World Culture
ABC-CLIO
[8]
웹사이트
Bearna Mhéabha/Barnavave
https://www.logainm.[...]
[9]
웹사이트
Bovevagh
http://www.placename[...]
[10]
웹사이트
Meascán Mhéabha
https://www.logainm.[...]
[11]
웹사이트
Millín Mhéabha/Milleen Meva
https://www.logainm.[...]
[12]
웹사이트
The Metrical Dindsenchas "Fert Medba" Poem 128
https://celt.ucc.ie/[...]
[13]
웹사이트
Cath Bóinde
http://www.ucd.ie/tl[...]
[14]
웹사이트
Aided Meidbe: The Violent Death of Medb
http://www.maryjones[...]
[15]
웹사이트
Revue celtique
https://archive.org/[...]
Paris
[16]
웹사이트
Tain Bo Fraech
http://www.maryjones[...]
[17]
서적
Spearhead
Amazon
[18]
웹사이트
Táin Bó Flidhais
https://en.wikipedia[...]
2023-07-05
[19]
간행물
The Cherishing of Conall Cernach and the Deaths of Ailill and of Conall Cernach
[20]
서적
Neue Methoden Der Epenforschung
https://books.google[...]
Gunter Narr Verlag
1998-01-01
[21]
서적
The Tain
Penguin Group
[22]
서적
The Tain
Penguin Group
[23]
웹사이트
The Death of Fergus mac Róich
http://www.maryjones[...]
[24]
웹사이트
Medb Chruachna
https://www.dib.ie/
2021-04
[25]
간행물
Medb Chruachna
[26]
서적
The Druids and King Arthur: A New View of Early Britai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2-02-20
[27]
서적
Irish Kings and High-Kings
Four Courts Press
[28]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29]
서적
From the Realm of the Ancestors: Essays in Honor of Marija Gimbutas
Knowledge Ideas and Trends
[30]
서적
Rogha Dánta/Selected Poems
Raven Arts Press
[31]
서적
The Red-Haired Girl from the Bog
New World Library
[32]
서적
Irish Kings and High Kings
Four Court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