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트라클라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스트라클라사는 1927년 창설된 폴란드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리그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된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진행되었으며, 2024-25 시즌에는 18개 팀이 참가한다. 엑스트라클라사는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PKO 뱅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로 불린다. 레기아 바르샤바가 최다 우승(15회)을 기록하고 있으며, 비스와 크라쿠프, 구르니크 자브제, 루흐 호주프, 레흐 포즈난 등이 리그를 대표하는 팀이다. 2023-24 시즌에는 야기에로니아 비아위스토크가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디비시옹 엘리트
디비시옹 엘리트는 1926년에 창설된 프랑스 최상위 야구 리그로, 8개 팀이 정규 시즌을 치르고 상위 4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며 승강제를 통해 운영된다. - 폴란드의 축구 리그 - 폴란드 엑스트랄리가
폴란드 엑스트랄리가는 폴란드 최상위 여자 축구 리그로,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르니 소스노비에츠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폴란드의 축구 리그 - I 리가
- 폴란드의 프로 스포츠 리그 - VTB 유나이티드 리그
- 폴란드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폴란드 엑스트랄리가
폴란드 엑스트랄리가는 폴란드 최상위 여자 축구 리그로,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르니 소스노비에츠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엑스트라클라사 | |
---|---|
기본 정보 | |
명칭 | 엑스트라클라사 |
로마자 표기 | Ekstraklasa |
IPA (폴란드어) | ˌɛkstraˈklasa |
주최 | 엑스트라클라사 S.A. |
국가 | 폴란드 |
연맹 | UEFA |
창립 연도 | 1926년 12월 4일 |
강등 | I 리가 |
리그 단계 | 1부 리그 |
참가 팀 수 | 18팀 (2021-22 시즌부터) |
국내 컵 대회 | 폴란드 컵 폴란드 슈퍼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최근 우승팀 |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 (1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3-24 시즌 |
최다 우승 클럽 | 레기아 바르샤바 (15회 우승) |
최다 출전 선수 | 우카시 수르마 (559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에르네스트 포흘 (186골) |
TV 중계 | Canal+ Polska TVP Sport (주당 1경기)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엑스트라클라사 |
![]() | |
첫 시즌 | 1927년 |
2. 역사
1918년 폴란드 축구 협회(PZPN)가 창설되었고, 1919년 12월 20일 바르샤바에서 비공식 리그전이 개최되었다. 이후 1927년 3월 1일 전국 리그인 리가 피우키 노주네(Liga Piłki Nożnej)가 창설되었다.[1]
현재 엑스트라클라사에는 16개 클럽이 참가하며, 우승팀에게는 폴란드 챔피언십 타이틀이 자동 수여된다. 창설 당시에는 10개 클럽이 참가했지만, 1990년대에는 18개 클럽이 참가하는 등 시대에 따라 참가 클럽 수는 변동했다.
2. 1. 창설 이전
1918년 폴란드 축구 협회(PZPN)가 창설되었고, 다음 해인 1919년 12월 20일 바르샤바에서 비공식 리그전이 개최되었다.[1]2. 2. 창설 초기 (1927년 ~ 1939년)
1926년 12월 4일과 5일, 바르샤바에서 폴란드 클럽 대표들이 모여 전국 리그 창설을 논의했다. 전국 리그는 기존의 지역별 경기 후 전국 경기를 치르는 방식보다 효율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다. 폴란드 축구 협회(PZPN)는 리그 창설에 반대했지만, 폴란드군 장군들의 지지를 받은 클럽들은 1927년 3월 1일에 리그 창설을 강행했다.[19]
크라코비아는 리그 창설에 반대한 유일한 팀이었다. 크라코비아는 1920년대 폴란드 축구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팀이었고, 구단주 에드바르트 체트나로프스키 박사는 PZPN 이사직을 겸임하고 있었다. 체트나로프스키 박사는 국제적으로도 잘 알려진 인물로, 그의 노력 덕분에 크라코비아는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세비야 등과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19]
1927년 4월 3일, 크라코비아를 제외한 모든 주요 팀이 참가한 첫 번째 리그 경기가 시작되었다. 첫 시즌은 비스와 크라쿠프와 1. FC 카토비체의 치열한 경쟁으로 전개되었다. 1. FC 카토비체는 독일 소수 민족의 지지를 받는 팀으로 여겨졌고, 비스와 크라쿠프는 폴란드인의 자부심을 대표했다. 결국 비스와 크라쿠프가 1. FC 카토비체를 2-0으로 꺾고 첫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1. FC 카토비체는 2위, 바르타 포즈난은 3위를 기록했다.[19]
1930년대에는 루흐 호주프가 4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리그는 중단되었다.[19]
1927년부터 1939년까지의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우승 | 2위 | 3위 |
---|---|---|---|
1927 | 비스와 크라쿠프 | 1. FC 카토비체 | 바르타 포즈난 |
1928 | 비스와 크라쿠프 | 바르타 포즈난 | 레기아 바르샤바 |
1929 | 바르타 포즈난 | 가르바니아 크라쿠프 | 비스와 크라쿠프 |
1930 | KS 크라코비아 | 비스와 크라쿠프 | 레기아 바르샤바 |
1931 | 가르바니아 크라쿠프 | 비스와 크라쿠프 | 레기아 바르샤바 |
1932 | KS 크라코비아 | 포곤 루부프 | 바르타 포즈난 |
1933 | 루흐 호르주프 | 포곤 루부프 | 비스와 크라쿠프 |
1934 | 루흐 호르주프 | KS 크라코비아 | 비스와 크라쿠프 |
1935 | 루흐 호르주프 | 포곤 루부프 | 바르타 포즈난 |
1936 | 루흐 호르주프 | 비스와 크라쿠프 | 바르타 포즈난 |
1937 | KS 크라코비아 | AKS 호르주프 | 루흐 호르주프 |
1938 | 루흐 호르주프 | 바르타 포즈난 | 비스와 크라쿠프 |
1939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 |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 198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축구 리그는 큰 변화를 겪었다. 전쟁으로 인해 폴란드의 국경이 바뀌면서 축구의 중심지도 이동했다. 이전까지 강세를 보였던 르부프(Lwów)는 소련 영토가 되었고, 새롭게 폴란드 영토가 된 브로츠와프, 자브제, 비톰 등이 새로운 축구 중심지로 떠올랐다.1950년대에는 레기아 바르샤바와 구르니크 자브제가 각각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호로 등장했다. 1960년대에는 구르니크 자브제와 레기아 바르샤바의 양강 구도가 지속되었고, 폴로니아 비톰, 루흐 호주프 등도 우승 경쟁에 가세했다.
1970년대에는 루흐 호주프와 비제프 우치가 강세를 보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폴란드 리그의 위상도 함께 높아졌다.
1980년대에는 폴란드에 계엄령이 선포되는 등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비제프 우치와 레흐 포즈난이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2. 4. 민주화 이후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에는 시장 경제로 전환되면서 리그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비스와 크라쿠프, 레기아 바르샤바, 레흐 포즈난 등이 우승을 놓고 경쟁했다. 2000년대에도 비스와 크라쿠프의 강세는 계속되었고, 레기아 바르샤바와 레흐 포즈난도 꾸준히 우승 경쟁에 참여했다. 2010년대에는 레기아 바르샤바가 독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유소년 육성 시스템을 강화하고 VAR(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리그를 현대화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1]2. 5. 명칭
- 1927–1948: 리가(Liga)
- 1949–2004: I 리가(I liga)
- 2004: Idea 엑스트라클라사
- 2005–2009: Orange 엑스트라클라사
- 2011–2015: T-Mobile 엑스트라클라사
- 2016–2018: 로또 엑스트라클라사
- 2019–: PKO 뱅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
3. 클럽
에른스트 포울
레기아 바르샤바
에른스트 포울
구르니크 자브제
유제프 가웨츠카
예지 빌림
자그웽비에 소스노비에츠
숑비에르키 비톰
미로스와프 트워친스키
비제프 우치
미로스와프 바리글라
후트니크 크라쿠프
실베스테르 체레셰프스키
마리우시 슈르토와
레기아 바르샤바
루흐 호주프
타케스레 치냐마
레기아 바르샤바
마르친 로바크
레흐 포즈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