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루겔라브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루겔라브섬은 과거 야자나무와 산호가 서식하던 섬이었으나, 핵실험으로 인해 섬이 사라진 곳이다. 1952년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으로 지름 약 1.9km, 깊이 50m의 분화구가 생겼고, 폭발로 인한 해일로 섬의 식생이 파괴되었다. 이 실험은 10.4 메가톤의 폭발 에너지를 발생시켰으며, 핵무기 개발 경쟁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셜 제도의 섬 - 자바트섬
    자바트 섬은 마셜 제도의 섬으로, 스페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독일, 일본을 거쳐 미국의 통치를 받다가 1986년 마셜 제도의 영토가 되었다.
  • 마셜 제도의 섬 - 리브섬
    리브섬은 1565년 알론소 데 아레야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브리타니아호 선장에 의해 프린세스 섬으로 명명되었으며, 현재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에서 리브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옛 섬 - 이토시마반도
    후쿠오카현 서부에 위치한 이토시마 반도는 겐카이나다에 접한 아름다운 해안선과 역사적 유적, 다양한 산업, 그리고 후쿠오카 도시권과의 근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이다.
  • 옛 섬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엘루겔라브섬
지도
일반 정보
유형 (사라짐)
별칭앨록랍(Āllokļap)
위치태평양
좌표북위 11° 35′ 동경 162° 20′
역사
소속 국가마셜 제도
파괴 날짜1952년 11월 1일
파괴 원인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으로 인해 파괴됨

2. 환경

실험 전, 엘루겔라브섬에는 야자나무가 있었고, 주변 해역에는 헬리오포라 산호가 서식하여 유리토에 콤플라나타와 하플로실리스 스폰기콜라가 서식했다.[3][4] 그러나, 실험 후 대부분 죽거나 쇠퇴했다.[3][4]

3. 폭발

아이비 마이크가 만들어낸 불덩이는 최대 지름이 5.8~6.56km였다.[5][6][7] 이 최대 지름은 폭발 후 수 초 후에 도달하며, 이 시간 동안 뜨거운 불덩이는 부력으로 인해 상승하게 된다. 불덩이는 지면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동안에는 아직 최대 크기에 도달하지 않았고, 따라서 폭이 약 5.2km였다.[8]

폭발은 엘루겔라브섬이 있던 자리에 지름 1.9km에 깊이 50m의 분화구를 만들었다.[9] 폭발과 폭발로 인한 해일(높이가 6.1m에 달하는 파도도 있었다)은 시험 섬의 식물을 모두 휩쓸어갔는데, 이는 시험 60분 이내에 헬리콥터 조사를 통해 관찰되었으며, 그 때쯤에는 버섯 구름이 멀리 날아간 상태였다. 그 섬은 "먼지가 되어 재가 되었고, 하늘로 약 43km 솟아오르는 버섯 구름을 형성했다." 시험 결과는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인 고든 딘에 의해 새로 취임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 "엘루겔라브섬이 사라졌습니다!".[10]

에릭 슐로스에 따르면, 엘루겔라브섬에 남은 것은 지름이 1.9km 이상이고 깊이 50m를 가진 원형 분화구였으며, 바닷물로 채워져 있었다.[11] 그 폭발은 10.4 메가톤의 폭발 에너지를 발생시켰으며, 이는 히로시마 중심부를 파괴한 에너지의 700배였다.[12]

폭발은 또한 산호초의 일부 자연적인 틈새를 무너뜨렸으며, 이는 분화구의 가장자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있었다.[18] 완전한 방사선생태학 회복 조사는 각 시험 시리즈 전후에 기록되었다.[19]

3. 1. 핵무기 경쟁에 미친 영향

엘루겔라브섬에서 실시된 아이비 마이크 실험은 핵무기 개발 경쟁을 심화시키는 중대한 시점을 알렸다.[20][21] 소련은 3년 후 자국의 열핵 실험을 실시했다. 소련 과학자들이 수소폭탄 개발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부분적으로 원자 간첩 클라우스 푸흐스로부터 미국의 연구 세부 정보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1990년대에 ''원자 과학자 회보''는 푸흐스가 제공한 정보의 대부분이 쓸모없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20][21]

4. 갤러리



5. 더 보기

6. 참고 문헌

wikitable


참조

[1] 웹사이트 Marshallese-English Dictionary – Place Name Index http://www.trussel2.[...]
[2]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24:00 https://archive.org/[...]
[3] 뉴스 Elugelab, the Island That Was The Nanty-Glo Journal 1954-04-08
[4] 학술지 Marine Annelids From the Northern Marshall Islands https://pubs.usgs.go[...] 1954
[5] 웹사이트 Nuclear Bomb Effects Computer http://www.fourmilab[...] Fourmilab 2005-06
[6] 웹사이트 Nuclear Bomb Effects Computer Revised Edition 1962, Based on Data from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Revised Edition 'he maximum fireball radius presented on the computer is an average between that for air and surface bursts. Thus, the fireball radius for a surface burst is 13 percent larger than that indicated and for an air burst, 13 percent smaller' http://www.fourmilab[...] Fourmilab 2005-06
[7] 웹사이트 Mock up http://www.remm.nlm.[...] Remm.nlm.gov 2013-11-30
[8]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56:50 https://archive.org/[...]
[9] 웹사이트 Nuclear Weapon Archive http://nuclearweapon[...]
[10] 웹사이트 The Island is Missing!, article from the U.S. Army Heritage and Education Center https://www.army.mil[...]
[11] 서적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12] 뉴스 Soviets Stole Bomb Idea From U.S., Book Says https://www.nytimes.[...] 2008-12-30
[13]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23:00 https://archive.org/[...]
[14]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 Enewetak Atoll, Marshall Islands "The 9000 foot long causeway linking the islands together is the "Krause-Ogle box", a 9 foot square aluminum-sheathed plywood tunnel filled with helium ballonets. This box allowed gamma and neutron radiation from the blast to travel with little absorption to test instruments on Bogon." http://www.nuclearwe[...]
[15]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30:00 https://archive.org/[...]
[16]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47:00 https://archive.org/[...]
[17]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58:30 https://archive.org/[...]
[18]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see 58:50 note the black lines drawn on the picture that appear momentarily at 58:55 https://archive.org/[...]
[19] 기타
[20] 학술지 How the Soviets Got the H-Bomb 1990-01-12
[21] 학술지 Letters https://www.tandfonl[...] 1990-05
[22] 웹사이트 Nuclear Bomb Effects Computer http://www.fourmilab[...] Fourmilab 2005-06
[23] 웹사이트 Nuclear Bomb Effects Computer Revised Edition 1962, Based on Data from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Revised Edition "The maximum fireball radius presented on the computer is an average between that for air and surface bursts. Thus, the fireball radius for a surface burst is 13 percent larger than that indicated and for an air burst, 13 percent smaller. " http://www.fourmilab[...] Fourmilab 2005-06
[24] 웹사이트 DTRA Operation REDWING Fact Sheet http://www.dtra.mil/[...] 2014-02-27
[25] 서적 In Mortal Hands
[26] 웹사이트 Soviets Stole Bomb Idea From U.S., Book Says http://www.nytimes.c[...] 2008-12-29
[27] 서적 In Mortal Hands
[28] 뉴스 Soviets Stole Bomb Idea From U.S., Book Says http://www.nytimes.c[...] N.Y. Times 2008-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