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키스-도슨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키스-도슨 법칙은 각성 수준과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심리학 법칙으로, 각성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저하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칙은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최적의 각성 수준이 다르며, 특히 복잡한 과제일수록 낮은 수준의 각성이, 단순한 과제일수록 높은 수준의 각성이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또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와 기억력 간의 관계가 역 U자형 곡선을 나타내는 등 생물학적 측면과도 관련이 있으며, 플로우 이론, 반전 이론 등 다른 모델들이 여키스-도슨 법칙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여키스-도슨 법칙 | |
---|---|
개요 | |
이름 | 여키스-도슨 법칙 |
로마자 표기 | Yeokiseu-doseun Beopchik |
유형 | 심리학 법칙 |
내용 | 각성 수준과 수행 능력 간의 관계 |
관련 분야 | 심리학, 신경과학, 조직 행동론 |
제안자 | 로버트 여키스, 존 딜링햄 도슨 |
발표 연도 | 1908년 |
주요 내용 | 수행 능력은 각성 수준이 너무 낮거나 높을 때 저하되며, 적정 수준의 각성 상태에서 최고조에 달함. |
설명 | 과제 난이도에 따라 최적의 각성 수준이 달라짐. 쉬운 과제는 높은 각성 수준에서, 어려운 과제는 낮은 각성 수준에서 수행 능력이 향상됨. |
상세 내용 | |
역U자형 곡선 | 각성 수준과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형태. |
최적 각성 수준 | 과제 수행 능력이 최고조에 달하는 각성 수준. |
각성 부족 | 각성 수준이 너무 낮아 집중력 저하 및 수행 능력 감소를 유발하는 상태. |
과잉 각성 | 각성 수준이 너무 높아 불안, 긴장, 집중력 저하를 유발하여 수행 능력 감소를 초래하는 상태. |
과제 난이도와 최적 각성 수준 | 쉬운 과제: 높은 각성 수준이 요구됨. 어려운 과제: 낮은 각성 수준이 요구됨. |
적용 분야 | 스포츠 심리학: 선수들의 최적 각성 수준 조절. 조직 행동론: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및 생산성 향상. 교육 심리학: 학습 환경 조성 및 시험 불안 감소. |
비판 및 논쟁 | |
단순화된 모델 | 실제 인간 행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므로, 여키스-도슨 법칙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
각성 수준 측정의 어려움 | 객관적이고 정확한 각성 수준 측정이 어려움. |
문화적 차이 | 문화적 배경에 따라 최적 각성 수준이 다를 수 있음.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스트레스와 수행 능력 간의 관계, 불안과 인지 기능 간의 관계 등에 대한 연구. |
참고 자료 | 심리학 개론, 신경과학 입문, 조직 행동론 교재. |
2. 여키스-도슨 법칙의 내용
여키스-도슨 법칙에 따르면, 각성 수준과 수행 능력은 역 U자형 관계를 가진다. 즉, 과제가 단순하거나 익숙할수록 높은 각성 수준이 필요하지만, 복잡하거나 어려울수록 낮은 각성 수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지만,[4][5][6]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7]
2. 1. 과제 난이도와 각성 수준
각성(arousal)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행 능력(performance)도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의 성과가 달성되면 간단한 과업(simple task)의 경우는 효율이 멈추고 유지되는 반면 어려운 과업(difficult task)의 경우는 효율이 점차로 떨어져 수행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양상을 보여준다.[3]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과제들이 최적의 수행을 위해 서로 다른 수준의 각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어렵거나 지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는 낮은 수준의 각성(집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지구력이나 끈기를 요구하는 과제는 더 높은 수준의 각성(동기 부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으로 더 잘 수행될 수 있다.[3]
과제의 차이로 인해 곡선의 모양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3] 간단하거나 잘 숙련된 과제의 경우, 관계는 단조로우며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 복잡하고 익숙하지 않거나 어려운 과제의 경우, 각성과 수행 능력 사이의 관계는 어느 시점 이후 반전되어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 능력이 감소한다.[3]
과제 난이도의 영향은 예키스-도슨 법칙이 욕조 곡선과 같이 두 개의 뚜렷한 요인으로 분해될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졌다. 역 U자형 곡선의 상승 부분은 각성의 활력 효과로 간주할 수 있다. 하강 부분은 주의력 (예: "터널 시야"), 기억력, 문제 해결과 같은 인지 과정에 대한 각성(또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다.[3]
손다이크와 포스트먼의 실험을 통해 학습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벌을 받은 그룹이 벌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작업 효율이 더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동기 부여에는 벌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불쾌한 자극이 일정량 있는 것이 효율을 높인다"는 법칙이 밝혀졌다. 하지만 동기 부여의 강도(각성 수준, 긴장감 정도)가 최적 수준을 초과하면 오히려 학습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각성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거의 비례적으로 효율(퍼포먼스)이 증가하지만, 최적 수준을 넘어 강한 긴장을 강요받는 상태가 되면 오히려 퍼포먼스가 저하된다. 즉, 각성 수준과 퍼포먼스 사이에는 역 U자형 함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이 "최적의 각성 수준"은 동일 개인에게도 행위의 난이도나 주어지는 작업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 익숙한 단순 작업(흑백 색상의 변별 등)에서는 비교적 강한 벌이 효과적이며, 익숙하지 않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벌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나왔다.
2. 2. 각성 수준과 인지 과정
높은 각성(또는 스트레스)은 주의력(예: "터널 시야"), 기억력, 문제 해결과 같은 인지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수행 능력이 저하된다.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과제들이 최적의 수행을 위해 서로 다른 수준의 각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 예를 들어, 어렵거나 지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는 낮은 수준의 각성(집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지구력이나 끈기를 요구하는 과제는 더 높은 수준의 각성(동기 부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으로 더 잘 수행될 수 있다.
과제의 차이에 따라 곡선의 모양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3] 간단하거나 잘 숙련된 과제의 경우, 관계는 단조로우며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 복잡하고 익숙하지 않거나 어려운 과제의 경우, 각성과 수행 능력 사이의 관계는 어느 시점 이후 반전되어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 능력이 감소한다.
3. 여키스-도슨 법칙의 실험적 증거
손다이크와 포스트먼의 실험에서는 학습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벌을 받은 그룹이 벌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작업 효율이 더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3]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동기 부여에 벌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불쾌한 자극이 일정량 있는 것이 효율을 높이지만, 동기 부여의 강도(각성 수준, 긴장감 정도)가 최적 수준을 초과하면 오히려 학습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법칙이 밝혀졌다.[4][5][6][7] 일반적으로 각성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거의 비례적으로 효율(퍼포먼스)이 증가하지만, 최적 수준을 넘어 강한 긴장을 강요받는 상태가 되면 오히려 퍼포먼스가 저하된다. 즉, 각성 수준과 퍼포먼스 사이에는 역 U자형 함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이 "최적의 각성 수준"은 동일 개인에게도 행위의 난이도나 주어지는 작업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 익숙한 단순 작업(흑백 색상의 변별 등)에서는 비교적 강한 벌이 효과적이며, 익숙하지 않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벌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나왔다.
4.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의 관계
2007년 Lupien 등의 연구[8]는 스트레스 호르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GC)과 인간 인지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억력과 순환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 간의 관계가 역 U자형 곡선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예키스-도슨 법칙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장기 가소성(LTP, 장기 기억 형성 과정)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가 약간 상승했을 때 최적화되지만, 부신 절제술(낮은 GC 상태) 또는 외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높은 GC 상태) 후에는 LTP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4. 1. 스트레스 유발 요인
2007년 Lupien 등의 연구[8]에 따르면, 어떤 상황이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하려면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새로운 것
- 예측 불가능한 것
-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것
- 사회적 평가 위협 (부정적인 사회적 평가로 인해 사회적 거부로 이어질 수 있음)
4. 2.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기억력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가 증가하면 감정적으로 흥분되는 사건에 대한 기억은 향상되지만, 스트레스나 감정적 흥분의 원인과 관련 없는 자료에 대한 기억은 대부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 2007년 Lupien 등의 연구[8]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글루코코르티코이드, GC)이 인간의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는데, 기억력과 순환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 사이에 역 U자형 곡선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고, 이것이 예르키스-도슨 법칙과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장기 기억을 형성하는 과정인 장기 가소성(LTP)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가 약간 상승했을 때 최적화되지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치가 낮거나(부신 절제술) 높은 경우(외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에는 LTP가 현저하게 감소한다.5. 다른 모델
각성 상태에 대한 다른 이론과 모델들은 헤브 또는 여키스-도슨 곡선을 긍정하지 않는다. 플로우 이론은 각성과 숙련도 간의 관계를 덜 단순하게 이해하도록 제시한다.[1] 반전 이론은 정신이 항상성보다는 양안정성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여키스-도슨 법칙에 적극적으로 반대한다.
5. 1. 플로우(Flow) 이론
플로우 이론은 각성과 숙련도 간의 관계를 덜 단순하게 이해하도록 제시한다.[1] 널리 지지받는 최적의 플로우 이론에서 각성과 숙련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1]5. 2. 반전 이론
반전 이론은 정신이 항상성보다는 양안정성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여키스-도슨 법칙에 적극적으로 반대한다.참조
[1]
논문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http://psychclassics[...]
[2]
논문
From law to folklore: work stress and the Yerkes-Dodson Law
2015-08-10
[3]
논문
The Temporal Dynamics Model of Emotional Memory Processing: A Synthesis on the Neurobiological Basis of Stress-Induced Amnesia, Flashbulb and Traumatic Memories, and the Yerkes–Dodson Law
2007-03-28
[4]
논문
Emotionality and the Yerkes–Dodson Law
1956
[5]
논문
The 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arousal" or "activation"
1957
[6]
논문
Caffeine, impulsivity, and memory scanning: A comparison of two explanations for the Yerkes–Dodson Effect
1989
[7]
논문
Caffeine, impulsivity, and memory scanning: A comparison of two explanations for the Yerkes–Dodson Effect
[8]
논문
The effects of stress and stress hormones on human cognition: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brain and cognition
[9]
서적
精神科医が教える ストレスフリー超大全
ダイヤモンド社
2020
[10]
웹사이트
How To Pronounce Dodson
https://www.howtopro[...]
[11]
논문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http://psychclassics[...]
[12]
논문
From law to folklore: work stress and the Yerkes-Dodson Law
2015-08-10
[13]
서적
The Dancing Mouse: A Study in Animal Behavior
https://books.google[...]
Createspace Independent Pub
201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