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용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용형은 용언(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앞에 나타나는 어형을 의미하며, 다른 용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일본어 문법에서 동사의 연용형은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형용사의 연용형은 제한적으로 명사화된다. 언어학적으로 연용형은 어간과 어미의 결합, 특히 자음 어간 동사의 경우 자음 충돌을 피하기 위한 연결 모음 삽입과 관련이 있다. 형용사 및 형용동사의 연용형은 어간과 어미 사이에 '-ar-'이 삽입되는 활용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문법 - 형용동사
    형용동사는 일본어 품사 중 하나로, 동사나 i형용사처럼 활용되면서 명사와도 관련 있으며, 일본어 문법과 교육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다.
  • 일본어 문법 - 일본어 대명사
    일본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성별, 나이,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형태와 용법이 달라지며, 고유한 뉘앙스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다양한 1, 2, 3인칭 대명사와 복수 접미사, 지시 및 의문 대명사가 존재한다.
연용형
개요
정의용언의 활용형 중 하나
활용용언이 활용하여 어미가 변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형태
특징
기능다른 단어와 연결되어 다양한 문법적 기능 수행
동사: 명사처럼 사용되거나 다른 동사를 수식
형용사: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역할
형태동사: '-고', '-어/아', '-게', '-지' 등
형용사: '-게', '-어/아', '-으니' 등
예시동사: "먹고", "먹어", "먹게", "먹지"
형용사: "예쁘게", "예뻐서", "예쁘니"
문법적 역할
연결 어미두 문장이나 구절을 연결
예: "밥을 먹고 학교에 갔다."
보조 용언 연결다른 용언을 보조하여 의미를 더함
예: "먹어 버렸다."
명사형동사를 명사처럼 사용
예: "그의 웃음이 아름답다."
부사형형용사를 부사처럼 사용
예: "꽃이 아름답게 피었다."

2. 정의

연용형은 '용언에 이어진다'는 뜻으로,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와 같은 용언 앞에 나타나는 형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이 명칭은 도조 요시카도의 《와고세츠략도》(1833년)에서 '연용언'으로 제창된 이래 사용되고 있다.

다른 용언 앞에서 4단 동사는 이단 음이 되고, 1단 동사와 2단 동사는 이단 음 또는 에단 음이 된다. 형용사는 'く', 형용동사는 'に' 형태를 취한다. 연용형에 접속하는 조사·조동사로는 'て', 'つつ', 'ながら', 'き', 'けり', 'つ', 'ぬ', 'たり' 등이 있다. 이러한 조사·조동사 앞에 나타나는 어형도 연용형에 포함되며, 형용사는 'かり', 형용동사는 'なり'가 나타나고, 동사에서는 음편형이 이에 해당한다.

2. 1. 문어와 구어에서의 연용형

카이-i
っ/ん/이라행 변격 활용있다아리나행 변격 활용죽다시니하기 1단 활용받다우케-e하기 1단 활용차다케하기 2단 활용받다우케상 1단 활용일어나다오키-i상 1단 활용입다키상 2단 활용일어나다오키카행 변격 활용오다키카행 변격 활용오다키사행 변격 활용하다시사행 변격 활용하다시형용사쿠 활용없다나쿠
나카리쿠
카리rowspan="2"|없다나쿠
나캇쿠
캇시쿠 활용아름답다우츠쿠시쿠
우츠쿠시카리시쿠
시카리형용동사나리 활용고요하다시즈카니
시즈카나리니
나리rowspan="2"|고요하다시즈카니
시즈카닷
시즈카데니

데타리 활용당당하다도도토
도도타리토
타리


3. 문제점

'연용'이라는 용언에 이어지는 점은 같지만, 형용사·형용동사가 수식어의 기능을 하고 주요부가 뒤의 용언에 있는 것에 비해, 동사는 복합 동사 등의 전항 요소로 주요부가 앞의 동사에 있어 문법적 기능은 다르다.

동사의 연용형은 그 자체로 명사도 된다('つなぎ(잇기)', '賭け(내기)', '救い(구원)' 등). 연용형으로서의 기능도 이 명사화 기능이 기반이 되고 있다고 간주된다. 반면, 형용사의 연용형은 일반적으로는 명사가 되지 않는다(단, '近く(가까이)', '奧深く(깊숙이)', '朝早く(아침 일찍)' 등, 시간·공간적인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명사화가 가능).

4. 언어학적 분석

어형변화하는 단어에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은 어간이라고 불리고, 거기에 부속하는 것에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고, 어형에 변화를 주는 것을 어미라고 부른다. 형태론에서 일본어의 어형을 음소 레벨까지 분해하고 생각하면 동사는 자음어간동사와 모음어간동사로 나뉜다. 자음 어간동사는 4단활용 · 라변동사 · 나변동사를 말하고, 로마자로 분석하면 변화하지 않는 어간부분은 자음으로 끝나고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는 1단동사 · 2단동사이다. 다만, 현대구어에 있어서는 모음교체를 일으키는 어간은 일정하지만, 문어에 있어서는 어간모음은 모음교체를 일으키고 2가지 어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른바 사변동사 · 카변동사는 불규칙적인 변화를 하는 불규칙 동사이다.

이렇게 보면, 연용형에 나타나는 -i-나 -u-의 음은, 자음어간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용언에 결합할 때에 자음의 연속을 피하기 위해 연결로 삽입 된 것에 유래한다. 예를 들면, ‘食べます|타베마스일본어’는 tabe-mas-u처럼 직접 어간에 붙지만, ‘書きます|카키마스일본어’는 kak-i-mas-u처럼 i가 생긴다. 또 4단동사의 ウ음편 · 촉음편 · 발음편은 연결 -i가 삽입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생긴다. 예를 들어, ‘立って|탓테일본어’는 tat-te이다.

또 형용사 · 형용동사는 문어에서 カリ활용이나 ナリ활용라고 하는 활용을 가지지만, 이것은 어간과 어미와의 사이에 -ar-(あり)이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あり’는 단독으로는 존재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어미로서 사용되면, 지정 · 조정의 문법기능을 하고 있다. 때문에 그 활용은 자음어간동사 ‘あり’와 같고, ‘~かり~’나 ‘~かった’가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