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미는 언어에서 단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문법 요소로,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된다. 한국어에서는 형태소의 종류를 어미, 어간, 선어말 어미로 구분하며, 어말 어미는 용언이나 서술격 조사의 끝에, 선어말 어미는 어말 어미 앞에 위치한다. 일본어에서는 동사, 형용사 등에 활용이 존재하며, 어미의 종류에 따라 문법적 의미가 달라진다. 또한, 창작물에서는 캐릭터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특정 어미를 사용하는 '캐릭터 어미'가 활용되기도 한다.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한국어에서 형태소는 다른 형태소와의 관계에 따라 단어를 완성하는 방식이 달라지는데, 다른 형태소의 도움 없이 혼자 단어를 완성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일본어에서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코퓰러에는 활용이 있다. 학교 문법에서는 자음 어간 동사를 5단 동사, 모음 어간 동사를 1단 동사라고 부르며, 어미 중 파생 어간을 만드는 것은 조동사, 그것만으로 완결되는 어미는 조사라고 부른다. 일본어는 어미를 여러 개 붙임으로써 통어적인 구문을 만들어낸다.
2. 한국어의 형태소와 어미
2. 1. 형태소의 종류
형태소 중 다른 형태소의 도움 없이 혼자 단어를 완성시킬 수 있는 형태소를 '폐쇄형태소'라 하고, 다른 형태소가 오지 않으면 단어를 완성할 수 없는 형태소를 '개방형태소'라고 한다. '-는-', '-시-', '-었-'처럼 앞뒤에 붙임표(-)가 있는 것은 개방형태소이고, '-다'처럼 붙는 방향의 한쪽에만 붙임표(-)가 있는 것은 폐쇄형태소이다.
어간에 붙은 어미가 복잡할 때, 이들 어미들 중 용언이나 서술격 조사의 끝에 오는 폐쇄형태소를 '어말어미'라 하고, 이에 앞서는 개방형태소를 '선어말어미' 또는 비어말어미라고 한다. 선어말어미는 다른 어미와 자유롭게 결합되는 분리적 선어말어미와 그렇지 않은 교착적 선어말어미가 있다.2. 2. 어미의 종류
형태소 중 다른 형태소의 도움 없이 혼자 단어를 완성시킬 수 있는 형태소를 '폐쇄형태소'라 하고, 다른 형태소가 오지 않으면 단어를 완성할 수 없는 형태소를 '개방형태소'라고 한다. '-는-', '-시-', '-었-'처럼 앞뒤에 붙임표(-)가 있는 개방형태소는 '선어말어미' 또는 비어말어미라고 하고, '-다'처럼 붙임표가 한쪽에만 있는 폐쇄형태소는 어말어미라고 한다. 선어말어미는 다른 어미와 자유롭게 결합되는 분리적 선어말어미와 그렇지 않은 교착적 선어말어미로 나뉜다.
3. 일본어의 어미
3. 1. 일본어 동사의 활용
일본어에서 동사에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것과 모음으로 끝나는 두 종류가 있다. 학교 문법에서는 자음 어간 동사를 5단 동사, 모음 어간 동사를 1단 동사라고 부르며, 어미 중 파생 어간을 만드는 (활용하는) 것은 조동사, 그것만으로 완결되는 어미는 조사라고 부른다. 일본어는 어미를 여러 개 붙임으로써 통어적인 구문을 만들어낸다.
동사에 붙는 대표적인 어미는 다음과 같다.
형태론 | 학교 문법 | 문법적 의미 | |
---|---|---|---|
-(a)na- | 미연형 | ない | 부정 |
-(a)n | 부정 | ||
-(i) | 연용형 | 복합어를 만듦/선행 조건 | |
-(i)mas- | ます | 정중 | |
-(i)nagara | ながら | 병행 동작 | |
-(i)ni | に | 동사 수식 | |
-(i)ta- | たい | 희망 | |
-(r)are- | 미연형 | れる/られる | 피동・존경・자발・가능 |
-(s)ase- | せる/させる | 사역 | |
-(y)o: | う/よう | 의지/권유 | |
-(r)u | 종지형(연체형) | 긍정/비과거/명사 수식(비과거) | |
-(r)eba | 가정형 | ば/れば | 가정 |
-e/-ro | 명령형 | 명령 | |
-e- | 가능 | ||
-ta | 연용형 | た | 긍정/과거/명사 수식(과거) |
-tara | たら | 가정 | |
-tari | たり | 예시 | |
-te | て | 보조 동사를 이끎/선행 조건 |
3. 2. 일본어 어미의 종류
형태론 | 학교 문법 | 문법적 의미 | |
---|---|---|---|
(a)na- | 미연형 | ない | 부정 |
(a)n | 부정 | ||
(i) | 연용형 | ø | 복합어를 만듦/선행 조건 |
(i)mas- | ます | 정중 | |
(i)nagara | ながら | 병행 동작 | |
(i)ni | に | 동사 수식 | |
(i)ta- | たい | 희망 | |
(r)are- | 미연형 | れる/られる | 피동・존경・자발・가능 |
(s)ase- | せる/させる | 사역 | |
(y)o: | う/よう | 의지/권유 | |
(r)u | 종지형 (연체형) | ø/る | 긍정/비과거/명사 수식 (비과거) |
(r)eba | 가정형 | ば/れば | 가정 |
e/-ro | 명령형 | ø/ろ | 명령 |
e- | 가능 | ||
ta | 연용형 | た | 긍정/과거/명사 수식 (과거) |
tara | たら | 가정 | |
tari | たり | 예시 | |
te | て | 보조 동사를 이끎/선행 조건 |
4. 창작물에서의 어미 (캐릭터 어미)
소설, 희곡, 만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창작물에서는 인물의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라 특유의 말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노인 캐릭터가 1인칭으로 "와시"를 사용하고 어미로 "〜じゃ"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실제 노인들이 사용하는 말투가 아니라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카네미즈 사토시는 이러한 창작물 속 말투를 역할어라고 칭하고, 특히 특정 캐릭터가 사용하는 특징적인 어미를 '''캐릭터 어미'''라고 정의했다.[1]
4. 1. 캐릭터 어미의 개념
소설, 희곡, 만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른 말투의 차이를 위상어라고 부른다. 카네미즈 사토시는 이러한 말투를 역할어라고 명명했으며, 그 중에서도 특정 등장인물이 사용하는 특징적인 어미를 '''캐릭터 어미'''라고 정의했다. 캐릭터 어미의 예시로는 중국계 캐릭터가 사용하는 "〜あるよ" (요코하마 외국인 거류지에서 사용된 "요코하마 다이얼렉트"라고 불리는 피진 일본어에서 유래[1]), 『키테레츠 대백과』의 코로스케가 사용하는 "나리", 『시끌별 녀석들』의 라무가 사용하는 "닷챠",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모그리가 사용하는 "쿠포" 등이 있다. 캐릭터 어미는 작품 속 캐릭터를 쉽게 특징짓고, 특히 외계인, 로봇 등 인외 캐릭터의 경우 "그럴듯한 (일본어) 말투"를 쉽게 만들 수 있어 어린이 대상 만화 등에 자주 사용된다.4. 2. 캐릭터 어미의 예시
소설, 희곡, 만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창작물에서 사용되는 특징적인 어미를 '''캐릭터 어미'''라고 한다. 카네미즈 사토시가 명명한 역할어의 일종으로, 작품 속 캐릭터를 쉽게 특징짓고, 인외(외계인, 로봇 등) 캐릭터의 경우 "그럴듯한" 말투를 쉽게 만들어낼 수 있어 특히 어린이 대상 만화 등에 자주 사용된다.[1]캐릭터 어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많은 중국계 캐릭터: "~아루요" (요코하마의 외국인 거류지에서 사용된 "요코하마 다이얼렉트"라는 피진 일본어에서 유래)[1]
- 키테레츠 대백과의 코로스케: "나리"
- 시끌별 녀석들의 라무: "닷챠"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모그리: "쿠포"
4. 3. 캐릭터 어미의 기능
소설, 희곡, 만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창작물에서는 특정 등장인물의 특징적인 어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노인이 1인칭으로 "와시"를 사용하고, 어미로 "~じゃ"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른 말투의 차이는 위상어라고 불리지만, 창작물 속 이러한 말투는 실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해를 돕기 위한 편의적인 것이다. 카네미즈 사토시는 이것을 역할어라고 명명했다.그중에서도 특정 등장 캐릭터가 사용하는 특징적인 어미를 '''캐릭터 어미'''라고 한다. 예를 들어 많은 중국계 캐릭터의 "~あるよ" (요코하마의 외국인 거류지에서 사용된 "요코하마 다이얼렉트"라고 불리는 피진 일본어에서 유래한다[1])), 『키테레츠 대백과』에 등장하는 코로스케의 "나리", 『시끌별 녀석들』에 등장하는 라무의 "닷챠",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모그리가 사용하는 "쿠포" 등이 있다.
캐릭터 어미는 작품 속 캐릭터를 쉽게 특징지을 수 있으며, 외계인, 로봇 등 인외 캐릭터의 경우 "그럴듯한 말투"를 쉽게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 대상 만화 등에 자주 사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