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염승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승숙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문학 평론가이다.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로 등단하여 소설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소설집 《채플린, 채플린》(2008), 《노웨어맨》(2011), 장편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 《여기에 없도록 하자》(2018) 등을 출간했다. 2017년부터는 문학 평론가로 활동하며, 팟캐스트 쇼 '소설가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 토크'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문체로,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현대문학 신인상, 201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경향신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출생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1982년 출생 - 이언 소프
    이언 소프는 22개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수영계의 전설적인 오스트레일리아 경영 선수로, 은퇴 후에는 방송, 사업, 자선 활동을 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염승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염승숙
로마자 표기Yeom Seung-suk
출생1982년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소설가
활동 기간2005년–현재
모교동국대학교
작품
주요 작품뱀꼬리왕쥐 (2005)
채플린, 채플린 (2008)
미래파와 굴착기의 속도: 박솔뫼의 도시의 시간 비평 (2017)

2. 생애

염승숙은 서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한국 현대 소설을 즐겨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다. 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며 여러 문학상을 받았고, 교수들에게 '염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2] 동국대학교에서 문학 학사 및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3]

2005년 현대문학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소설가로 활동했고, 2017년부터는 문학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젊은 세대의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평론을 발표해 주목받았다.[6]

문학 외에도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작가 한무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7] 2017년부터 팟캐스트 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한국어을 진행하며 작가 지망생 및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8][9]

2. 1. 초기 생애 (1982-2005)

염승숙은 1982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한국 현대 소설 선집을 반복해서 읽으며 뒷이야기를 상상하곤 했다. 소설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했다. 대학교 재학 시절, 가장 좋아하는 한국 작가들을 떠올리며 그들 중 한 명인 것처럼 문학 작품을 썼다.[1] 문학을 연습하던 시절에는 한국어 사전을 가지고 다니며 외국어를 공부하듯 단어를 암기하거나, 자신만의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정식 문학 데뷔 전에 이미 대학에서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교수들은 그녀를 '염작'이라고 불렀다.[2]

이후 동국대학교에서 문학 학위를 받았고,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

2. 2. 등단 및 소설가 활동 (2005-현재)

염승숙은 2005년 현대문학 신춘문예를 통해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뱀 꼬리를 가진 큰 쥐한국어를 발표하며 등단했다.[3] 이후 2008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채플린, 채플린한국어, 2011년 노웨어맨|노웨어맨한국어, 2013년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한국어를 출간했다.[3] 그녀는 여러 공저에 단편 소설을 기고하기도 했다.

2018년에는 두 번째 소설 여기에 없도록 하자|여기에 없도록 하자한국어를 발표하며 문학 창작 활동을 재개했다.

2. 3. 문학평론가 활동 및 기타 활동 (2017-현재)

2017년, 염승숙은 문학 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했다.[4]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꾸준히 읽으면서 독자로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문학 평론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5] 그녀의 데뷔작인 ''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한국어은 안정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없는 한국의 젊은 세대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확고한 비판 의식과 진지한 관심을 보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6]

염승숙은 문학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 왔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작가 한무숙의 한국 전쟁 후 문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7] 2017년부터는 팟캐스트 쇼 '소설가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 토크'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한국어를 진행하고 있다.[8] 염승숙은 이 팟캐스트 쇼를 시작한 이유에 대해, 작가가 되기 전 소설을 어떻게 써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기에 '소설 쓰기에 대해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들과 독자들과 소통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9]

3. 작품 세계

김경연은 염승숙의 문체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것이라고 묘사하며, "염승숙의 소설은 평범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을 펼치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그녀의 소설 속 환상은 우리의 현실과 그렇게 동떨어져 있지 않다. 그 안에서 환상과 현실은 불편함 없이 공존하며, 그 경계는 모호하다."라고 언급했다.[10]

염승숙은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3] 이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2008)과 《노웨어맨》(2011),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 《여기에 없도록 하자》(2018)를 출간했다.

3. 1. 주요 작품 경향

김경연은 염승숙의 문체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10]

김경연은 "염승숙의 소설은 평범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을 펼치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그녀의 소설 속 환상은 우리의 현실과 그렇게 동떨어져 있지 않다. 그 안에서 환상과 현실은 불편함 없이 공존하며, 그 경계는 모호하다."라고 언급하며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김경연은 작가가 이러한 소설적 전략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지금 여기 실제로 존재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와 같은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고 지적하며, 그녀의 소설이 어떤 진실을 담고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어떤 진실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 없다는 사실일 것이라고 말한다. 독자들은 환상과 현실이 뒤섞인 그녀의 이야기에 몰입하면서 우리가 어떤 세상에 살고 있으며 그러한 세상에서 우리는 어떤 존재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된다.[10]

3. 2. 작품 목록

염승숙은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3] 이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2008)과 《노웨어맨》(2011),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를 출간했다. 2018년에는 소설 《여기에 없도록 하자》를 발표하며 문학 창작 활동을 재개했다.

3. 2. 1. 소설집

영어 제목원본
한국어 제목연도출판사채플린, 채플린(Chaplin, Chaplin)채플린, 채플린|Chaepeullin, chaepeullin한국어2008문학동네노웨어맨(Nowhere Man)노웨어맨|Noweeomaen한국어2011문학과지성사그리고 남겨진 것들(And the Remaining Things)그리고 남겨진 것들|Geurigo namgyeojin geotdeul한국어2014문학동네


3. 2. 2. 장편 소설

번역된 영어 제목원제 (한국어)연도출판사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한국어2013현대문학
여기에 없도록 하자여기에 없도록 하자|여기에 없도록 하자한국어2018문학동네


3. 2. 3. 테마 단편 소설

번역된 영문 제목원문 한국어 제목이야기 장르수록 컬렉션연도출판사공동 집필
자작나무를 흔드는 고양이자작 나무를 흔드는 고양이|Jajang namureul heundeuneun goyangi한국어더 큰 컬렉션의 단편 소설고양이 고양이 고양이 (캣캣캣|Kaetkaetkaet한국어)2010현대문학태기수 외
결국엔, 아픈 것결국엔, 아픈 것|Gyeolgugen, apeun geot한국어불가능한 대화들 (불가능한 대화들|Bulganeunghan daehwadeul한국어)2011산지니김이설 외
따뜻한 농담들의 세계와 만나다따뜻한 농담들의 세계와 만나다|Ttatteutan nongdamdeurui segyewa mannada한국어
마음을 쓰는 일마음을 쓰는 일|Maeumeul sseuneun il한국어작가와 고양이 (작가와 고양이|Jakgawa goyangi한국어)2016여우의 뿔윤이형 외


3. 2. 4. 아동 도서

영어 제목원제
한국어 제목년도출판사그림SOS 과학 수사대 2: 공룡 시대에 가다(SOS Scientific Investigation Squad 2: A Journey to the Age of Dinosaurs)한글: SOS 과학 수사대 2: 공룡 시대에 가다;
음역: SOS Gwahak Susadae 2: Gongnyong Sidaee Gada2009아이제김수현SOS 과학 수사대 3: 금개구리를 구하라(SOS Scientific Investigation Squad 3: Save Seoul Pond Frogs!)한글: SOS 과학 수사대 3: 금개구리를 구하라;
음역: SOS Gwahak Susadae 3: Geumgaegurireul Guhara김령언



(이전 출력과 동일. 변경 사항 없음)

4. 수상 경력

연도수상작품
2005년현대문학 신인상뱀꼬리왕쥐[17]
2017년경향신문 신춘문예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18]


참조

[1] 간행물 A 20-Something Author Who Cannot Be ‘Not Embarrassed’ Creates Reality out of Fantasy: Yeom Seungsuk’s ''Chaepeullin, chaepeullin'' http://ch.yes24.com/[...] Channel Yes
[2] 간행물 Act Two: Scene Three Segyeui Munhak 2010
[3] 서적 Yeom Seungsuk https://terms.n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4] 뉴스 Winner of 2017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Award (Literary Criticism Category) – No Future and the Speed of an Excavator: Criticism on ''Time of a City'' by Park Sol-moe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7-01-02
[5] 웹사이트 '[A Talk between Yeom Seungsuk and the Editor] We Are Together, Today and Tomorrow: ''Yeogie eopdorok haja''' https://cafe.naver.c[...] 2018-08-06
[6] 뉴스 Judge’s Comment on 2017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Award (Literary Criticism Category): We Can Identify with Her Serious Critical Consciousness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Age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7-01-02
[7] 논문 A Study on the Post-Korean War Writings of Author Han Moo-sook http://www.riss.kr/s[...] Dongguk University 2009
[8] 웹사이트 Table Talk by Novelists Yeom Seungsuk and Yun Ko Eun http://www.podbbang.[...]
[9] 뉴스 ’Writing a novel is about not feeling lonely and caring for each other’: Novelists Yun Ko Eun and Yeom Seungsuk https://www.sedaily.[...] Seoul Economic Daily 2018-08-22
[10] 간행물 Meeting the World of Warm Jokes Korean Critical Review 2010
[11] 뉴스 'Life’ Is the Destination of Our Fantasy: Yeom Seungsuk’s Debut Novel ''Chaepeullin, chaepeullin''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8-12-18
[12] 뉴스 'What Social Structure Makes Us Losers?’: ''Nowhere Man'', a Novel by Yeom Seungsuk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1-04-03
[13] 간행물 The Last Listener and the Language of Apocalypse: Yeom Seungsuk’s ''Nowhere Man'' (published by Munji in 2011) Literature and Society 2011
[14] 웹사이트 ''Eotteon naraneun neomu keuda'' (2013) https://book.naver.c[...]
[15] 웹사이트 ''Yeogie eopdorok haja'' (2018) https://book.naver.c[...]
[16] 뉴스 'Those Who Work Only to Survive . . . What Is Labor?’: Novelist Yeom Seungsuk http://www.donga.com[...] Dong-A Ilbo 2018-08-11
[17] 웹사이트 List of Authors Who Made Their Debuts through Our Magazine https://hdmh.co.kr/h[...]
[18] 뉴스 Winner of 2017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Award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7-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