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무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무숙은 1918년 서울에서 태어나 부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소설가로 활동한 인물이다. 1942년 장편 《등불 드는 여인》으로 데뷔하여, 《그리고 역사는 흐른다》, 《만남》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자유문학상, 대한민국예술원 문학상, 신사임당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 한국 펜클럽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1993년에 사망했다. 사후에는 한무숙문학관이 개관되고 한무숙문학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남여자고등학교 동문 - 현영희
    현영희는 유치원 교사 및 원장 출신으로 부산광역시의회 의원과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경남여자고등학교 동문 - 전초아
    전초아는 경남여고와 경성대 성악과를 졸업하고 경희대 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대한민국 가수로, "1대란", "예인", "전초아"로 활동하며 다수의 앨범 발매,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 드라마 OST 참여, 뮤지컬 출연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삽화가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삽화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극작가 - 송영 (극작가)
    송영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극작가로, 카프 계열 연극인으로 등단하여 노동 운동 풍자 작품을 발표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김일성 항일 무장 투쟁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알려졌으나 한설야 숙청 시기에 숙청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애국렬사릉에 안장된 것으로 보아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의 극작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한무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18년 10월 25일
사망일1993년 1월 30일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분야소설, 희곡, 수필
인물 정보
본명한무숙
향정
가족아버지: 한석명
어머니: 장숙명
배우자: 김진흥
자녀: 2남 2녀
장녀: 김영기
장남: 김호기
차녀: 김현기
차남: 김용기
친척오빠: 한복
누이동생: 한말숙
제부: 황병기
이질: 황준묵
학력
학력경상남도 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종교
종교천주교(세례명 : 클라라)
작품 활동
데뷔작『등불 켜는 여자』 (1942년)
주요 작품『역사는 흐른다』
웹사이트
웹사이트한무숙문학관

2. 생애

1918년 10월 25일 서울에서 태어나 부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처음에는 미술을 전공했으나 1941년 김진홍과 결혼한 후 문학으로 전향했다.[3]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2년에 장편 《등불 드는 여인》으로 데뷔하고 희곡도 당선되어 문인으로 등단했다. 1948년에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를 발표하고 다수의 단편을 집필했다. 첫 창작집은 1956년에 발간된 《월훈》이다. 동생인 한말숙도 소설가로 데뷔하여 자매 작가로 활동하였다.

1941년 초 소설 공모전에서 1등을 하며 등단하였고,[4] 이후 잇달아 문학적 성공을 거두었다. 1943년 1막극 《심장》, 1944년 4막극 《서리꽃》으로 극예술 공모전에서 1등을 수상했다. 1948년에는 국제신보 주최 공모전에서 장편소설 《그리고 역사는 흐른다》로 1등을 차지했다. 1957년 단편소설 〈심연〉으로 아시아재단 자유문학상을, 1986년 소설 《만남》으로 대한민국예술원 문학상을 수상했다.[5] 재영출판사에서 첫 소설인 《역사의 변천》을 출판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깨진 그림자〉, 〈귀향〉, 〈돌〉, 〈정서적 복합체〉, 〈달무리〉 등의 단편소설도 발표했다.

장편 작품으로는 한국방송 대하드라마로 각색되어 유명해진 《역사는 흐른다》 외에 《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만남》 등이 있다. 정약용의 삶을 주제로 한 《만남》에서 보듯 한국 고유의 전통과 여인의 한에 대한 관심이 특징으로,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수필집으로는 《열길 물속은 알아도》,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내 마음에 뜬 달》 등이 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과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맡았다. 문학 및 예술계에서도 활동적인 한무숙은 한국 펜클럽 회장,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한국여성문학가협회 회장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2] 1958년에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고, 신사임당상(1973)과 3·1문화상(1989), 예술원상(1991) 등을 차례로 수상했다.

1993년에 사망했다. 사후에 남편 김진흥(金振興)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고택을 개조하여 한무숙문학관으로 개관했다.[12] 한무숙을 기념한 한무숙문학상도 제정되었다.

3. 작품 세계

한무숙은 일제강점기 말인 1942년 장편 《등불 드는 여인》으로 데뷔했으며, 1948년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를 발표하는 등 다수의 작품을 통해 문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동생 한말숙 역시 소설가로 활동하여 자매 작가로 알려져 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58년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다. 신사임당상(1973), 3·1문화상(1989), 예술원상(1991) 등도 수상하였다. 사후에는 남편 김진흥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 고택을 한무숙문학관으로 개관하였고, 한무숙문학상이 제정되어 그녀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있다.[12]

3. 1. 주요 작품

1942년 장편 《등불 드는 여인》과 희곡으로 등단했으며, 1948년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를 발표했다.[12] 첫 창작집은 1956년 발간된 《월훈》이다. 장편 소설로는 《역사는 흐른다》 외에 《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만남》 등이 있다. 정약용의 삶을 다룬 《만남》에서처럼 한국 전통과 여인의 한에 대한 관심이 작품의 특징으로,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12] 수필집으로는 《열길 물속은 알아도》,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내 마음에 뜬 달》 등이 있다.[12]

한무숙의 소설은 문학을 통해 순수함을 추구하며, 인간의 기쁨을 따뜻하게 그려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랑과 고통 같은 보편적 주제부터 4·19 혁명과 같은 한국적 특수성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생생한 풍속 묘사, 정확한 언어 사용, 내면 의식의 능숙한 표현 등 뛰어난 문학적 기량을 보여준다.[2]

제목연도비고
《월운》(月暈)1956년첫 창작집[11]
《감정이 있는 심연》(感情のある深淵)1957년
《축제와 운명의 장소》(祝祭と運命の場所)1963년
《우리 사이 모든 것이》(私たちのすべてのことが)1978년
《만남》(出会い)1986년정약용의 삶을 주제로 함[9]


  • [https://www.amazon.com/dp/B001AIKFWO 심연(In the Depths)]
  • [https://www.amazon.com/dp/0520073819 만남: 19세기 소설(Encounter: A Novel of Nineteenth-Century)]
  • [https://www.amazon.com/dp/B001LNPZS2 흐르는 물의 은거처(Running Water Hermitage)]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
1957년자유문학상
1973년신사임당상
1986년대한민국문학상
1989년3·1문학상
1991년예술원상



1958년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고, 1973년 신사임당상, 1989년 3·1문화상, 1991년 예술원상 등을 차례로 수상했다.[12]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한석명
어머니장숙명(張淑命)
오빠한복 (1914년 9월 16일 ~ 1994년 1월 15일)
누이동생한말숙 (1931년 12월 27일 ~ , 소설가.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 졸업.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결혼.)
남편김진흥(金振興, 1916년 6월 26일 ~ 2003년)
슬하 2남 2녀
장녀김영기(金榮起, 1941년 2월 24일 ~ )
장남김호기(金虎起, 1942년 8월 20일 ~ )


6. 기타

1958년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1973년 신사임당상, 1989년 3·1문화상, 1991년 예술원상을 수상했다.[12] 1986년에는 소설 《만남》으로 대한민국예술원 문학상을 수상했다.[5]

사후에 남편 김진흥(金振興)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고택을 개조하여 한무숙문학관으로 개관했다.[12] 한무숙을 기념한 한무숙문학상도 제정되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과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맡았으며,[12] 한국 펜클럽 회장,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한국여성문학가협회 회장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2]

한무숙의 소설은 문학을 통해 순수함을 추구하며, 냉소적인 비관주의에 빠지기보다는 인간의 기쁨을 따뜻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녀의 주제는 사랑과 고통을 포함한 보편적인 관심사부터 4·19 혁명의 짧은 민주주의 열기에 대한 한 세대의 고뇌를 묘사하는 것과 같이 한국적 맥락에 특정된 문제까지 다양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한무숙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KLTI http://www.klti.or.k[...]
[3] 문서 Collected Short Stories From Korea
[4] 문서 In The Depths, Hwimoon 1965
[5] 웹사이트 Brother Anthony of Taize https://web.archive.[...] 2010-10-13
[6] 웹사이트 (10)청주 한씨(淸州韓氏)-642,992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7] 웹사이트 (19)제자 : 철정 권창윤{{!}}청주 한씨 https://www.joongang[...] 1982-06-12
[8] 서적 『伊藤整日記』第5巻
[9] 웹사이트 한무숙(韓戊淑) http://encykorea.aks[...] 2022-09-25
[10] 웹사이트 한무숙 http://people.search[...] 2014
[11]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12] 뉴스 “책 읽어라” 등떠밀지 말고 문학관서 작품 체험시켜요 - 엄마랑 아이랑 책나들이 (1) 한무숙 문학관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