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광의 3일 (콩고 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광의 3일"은 콩고 인민공화국의 국가였다. 프랑스어와 링갈라어로 가사가 있으며, 한국어 번역도 존재한다. 이 국가는 1970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국가 채택 배경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공화국의 노래 - 콩고 공화국의 국가
    콩고 공화국의 국가는 1959년에 채택되었으며, 프랑스어와 링갈라어로 된 가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애국심을 고취하고, 콩고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 독립과 자유에 대한 열망을 노래한다.
  • 콩고 공화국의 상징 - 콩고 공화국의 국기
    콩고 공화국의 국기는 녹색(농업과 삼림), 노란색(우정과 고귀함),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대각선 삼색기로, 범아프리카주의를 상징하며 1959년 채택 후 1991년 복원되어 대각선 패턴을 사용하는 유일한 범아프리카주의 국기이다.
  • 콩고 공화국의 상징 - 아프리카코끼리속
    아프리카코끼리속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마름모꼴 치아 에나멜질 형태가 특징인 코끼리과의 한 속으로, 사바나코끼리와 숲코끼리 두 종으로 나뉘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멸종 위협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콩고 공화국의 역사 - 콩고 인민공화국
    콩고 인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로, 콩고 노동당의 일당 체제 하에 소련 및 동구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유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1991년 체제 전환을 통해 콩고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 콩고 공화국의 역사 - 테케 소왕국
    테케 소왕국은 안지쿠 지역에서 건국되어 콩고 왕국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으며, 은툼바 초의 후손이 왕위를 세습하다 1892년 멸망했다.
영광의 3일 (콩고 인민공화국)
기본 정보
콩고 인민 공화국 국가
콩고 인민 공화국 국가
국가 명칭레 트루아 글로리외제
영어 명칭Three Glorious Days
한국어 명칭영광의 3일
세부 정보
국가콩고 인민 공화국
작사자크 통드라, 조르주 키방기
작곡장 루아예, 조제프 스파딜리에르
편곡필리프 모쿠아미
채택일1970년 1월 1일
폐지일1990년
이전 국가라 콩골레즈
다음 국가라 콩골레즈

2. 가사

"영광의 3일"은 콩고 인민의 용기와 주권 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1절은 조국의 독립과 자유, 2절은 외세 침략에 맞서는 결의, 3절은 인민 주권과 평등의 가치를 노래한다.[3][4]

가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절'''

일어나라, 용감한 조국이여,

영광스러운 3일 만에

깃발을 잡고 휘날리며

자유롭고 새로운 콩고를 위해,

다시는 실패하지 않으리라,

아무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후렴:'''

우리는 우리의 쇠사슬을 끊었네,

우리는 고생 없이 일하리,

우리는 주권 국가라네.

'''2절'''

만약 적이 나를 너무 일찍 죽인다면,

용감한 동지여, 나의 총을 잡아라;

만약 총알이 내 심장을 관통한다면,

우리 모든 자매들은 두려움 없이 일어설 것이며,

우리 산과 우리 격노한 물결은

침략자를 물리치리라.

'''3절'''

여기서 조국이 시작되네

모든 사람이 같은 가치를 갖는 곳.

우리의 유일한 길잡이는 인민이네.

우리의 천재성은 여전히 인민이네.

오직 그만이 결정했네

그의 존엄성을 회복하기로.

2. 1. 프랑스어 원문

프랑스어 원문[3][4]
{{lang|fr|italic=no|1절


2. 2. 링갈라어 번역

Tɛlɛmá, Mboka ya Tata ya mpiko,ln


Yo oyo na mikolo misato ya nkemboln


Bokanga mpe bomema drapoln


Pona Kongó ya ofele pe ya sika,ln


Nani akozanga lisusu te,ln


Ete moto moko te akobangisa.ln

'''Chorale ya miziki :'''ln


Tobukaki minyɔlɔlɔ na bisoln


Tokosala mosala kozanga ete tósala milende,ln


Tozali Ekolo oyo ezali na bokonzi.ln

'''2'''ln


Soki monguna abomi ngai noki mingi,ln


Camarade ya mpiko, kanga munduki na ngai;ln


Mpe soki lisasi ebɛti motema na ngai,ln


Bandeko na biso nyonso ya basi bakosekwa kozanga kobanga,ln


Mpe bangomba na biso, mbonge na biso oyo ezali kongulumaln


Bengana moto oyo azali kobundisa yango.ln

'''3'''ln


Awa ebandi mbokaln


Esika mutu nionso azalaka na ntalo moko.ln}}


Motambwisi na biso kaka moko ezali Bato.ln}}


Mayele na biso ezali kaka bato.ln}}


Ye moko nde azwaki ekateliln


Mpo na kozongisa lokumu na ye.ln

2. 3. 한국어 번역

프랑스어 원문[3][4]한국어 번역
{{lang|fr|italic=no|1절1절
{{lang|fr|italic=no|2절2절
{{lang|fr|italic=no|3절3절


3. 역사적 배경 (1970-1991)

"영광의 3일"은 1970년부터 1991년까지 콩고 인민 공화국 시절 국가로 사용되었다. 콩고 인민 공화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한 사회주의 국가였으며, 이 시기 콩고의 정치, 사회적 상황이 국가에 반영되었다. 1991년 민주화 이후에는 콩고의 노래가 다시 국가로 채택되었다.

콩고 공화국은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지만 초기에는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1969년 마리안 응구아비 중심의 쿠데타 발생 이후, 콩고는 콩고 노동당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고, "영광의 3일"을 국가로 채택했다. "영광의 3일"은 1963년 8월 13~15일에 걸쳐 일어난 민중 봉기를 가리킨다.

3. 1. 국가 채택 배경

콩고 공화국은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지만, 초기에는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1969년, 마리안 응구아비를 중심으로 쿠데타가 발생했다. 이후 콩고는 콩고 노동당(PCT)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국가 이념을 반영하기 위해 "영광의 3일"을 국가로 채택했다.

3. 2. "영광의 3일"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영광의 3일"은 1963년 8월 13일, 14일, 15일에 걸쳐 일어난 민중 봉기를 가리킨다. 이 봉기는 풀베르 율루 대통령의 독재 정권에 반대하여 일어났으며, 결국 율루 정권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사건은 콩고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되며, 국가의 제목에 그 의미가 반영되어 있다.

4. 국가의 상징성

"영광의 3일"은 콩고 공화국의 독립, 주권, 인민의 힘을 상징한다. 가사는 외세 침략에 대한 저항, 평등 사회 건설,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3][4]

1절에서는 "영광스러운 3일" 동안 콩고 인민들이 깃발을 들고 일어나 자유롭고 새로운 콩고를 건설했음을 노래하며, 다시는 실패하거나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한다. 후렴에서는 쇠사슬을 끊고 고생 없이 일하며 주권 국가를 이루었음을 선언한다.

2절에서는 적의 공격에 맞서 싸우는 용기를 강조하고, 동료에게 자신의 총을 맡기며, 총알이 심장을 관통해도 자매들이 두려움 없이 일어나 침략자를 물리칠 것이라고 노래한다.

3절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가치를 지니는 조국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며, 인민이 유일한 길잡이자 천재이며, 인민만이 존엄성을 회복하기로 결정했음을 강조한다.

5. 비판적 시각

Les Trois Glorieuses프랑스어은 콩고 인민 공화국 시절의 이념을 반영하고 있어, 민주화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노래가 특정 정치 체제를 옹호하고, 과거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미화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은 콩고 현대사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흐름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서적 Les voies du politique au Congo: essai de sociologie historique https://books.google[...] Karthala 1997
[2] 웹사이트 Hommage à Philippe Mockouamy, le plus grand chef de la fanfare congolaise https://www.journald[...] 2017-12-27
[3] 서적 Lumières de Pointe-Noire https://books.google[...] Editions du Seuil 2013-01-03
[4] 서적 Foucks la Défense: Un quartier mythique de la Pointe-Noire https://books.google[...] Le Lys Bleu Éditions 2020-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