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문유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문유취》는 당나라 때 편찬된 중국의 유서로, 현존하는 유서 중 오래된 것에 속한다. 이 책은 46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727개의 자목으로 나뉘어 있다. 《예문유취》는 당나라 이전의 시문과 문학 작품을 다수 보존하고 있으며, '사'(事, 사실)와 '문'(文, 시문)을 함께 나열하는 독특한 편찬 방식을 통해 후대의 유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백과사전 - 몽계필담
    몽계필담은 북송 시대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신 과가 은퇴 후 저술한 책으로, 천문학, 수학, 지질학, 인쇄술, 나침반, 석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과 사회, 문화,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활판인쇄술과 나침반에 대한 세계 최고(最古)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중국어 백과사전 - 생명의 백과사전
    생명의 백과사전은 다양한 온라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유기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층적 분류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집계 환경이다.
예문유취
기본 정보
예문유취 권1 삽화
''예문유취 권1'의 삽화. 상단에는 건물이 있고, 하단에는 사람들이 있다.'
제목예문유취
원제藝文類聚
로마자 표기Yiwen Leiju
저자구양순
시대당나라
구성
권수100권
분류유서
내용경부
사부
자부
집부
인용 서적1400여 종
역사
편찬 시기당나라 무덕 7년 (624년)
간행 시기송나라 태평흥국 8년 (983년)
영향
일본일본 국사대계
군서류종
화한랑영집
관련 문서
중국어 위키문헌藝文類聚

2. 편찬 배경 및 과정

《예문유취》는 현존하는 중국의 유서 가운데 오래된 책 중 하나이며, 당나라 이전의 시문과 가부 등 문학 작품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이미 사라져 전해지지 않는 자료를 참고한 것도 많다.

구양순은 서문에서 "무릇 구류백씨(九流百氏)는 그 설하는 것이 같지 않다"며 "그 청화(淸華)를 따서 그 취지와 개요를 채집하려 한다"고 밝혔다.

《예문유취》는 46부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부마다 727개의 자목(子目)을 나열하였다. 고사(故事)를 앞에 두고 그 출처를 주(注)로 달았으며, 인용된 시문은 거의 모든 시대를 주석으로 달았다.

다른 유서와 비교하여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사'(事, 사실)와 '문'(文, 시문) 두 항목을 함께 나열하여 유서의 일반적인 체제를 변경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편찬 방법은 훗날 《영락대전》, 《고금도서집성》 등 다른 유서 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예문유취》에는 권4에 실린 〈정월십오일〉과 같이 소미도(蘇味道)와 최액(崔液)의 시를 인용한 후대의 글도 실려 있는데, 이는 구양순 사후 60년이 넘은 시점에서 작성된 것이다.

3. 구성 및 내용

《예문유취》는 현존하는 중국의 유서(類書) 중 오래된 것 중 하나로, 당나라 이전의 시문과 가부(歌賦) 등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담고 있다. 특히 이미 사라져 전해지지 않는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구양순은 서문에서 "여러 학파(九流百氏)의 다양한 주장을 담고 있으며, 그 정화(菁華)를 추려 요점을 정리하고자 한다"고 편찬 의도를 밝혔다.

《예문유취》에는 권4에 실린 《정월십오일》과 같이 소미도(蘇味道)와 최액(崔液)의 시를 인용한 후대의 글도 실려 있는데, 이는 당시 구양순 사후 60년이 넘은 시점에서 작성된 것이었다.[1]

3. 1. 분류 체계

이 책은 46부로 분류되어 있으며, 부마다 자목(子目) 727개를 나열하였다. 분류할 때에는 고사(故事)를 앞에 두고 모두 그 출처를 주(注)로 달았다. 또한 인용된 시문은 거의 모든 시대를 주(注)로 달았다.

다른 유서와 비교하여 이 책의 문헌 편집 방법상 가장 큰 특징은 「사」(事, 사실)와 「문」(文, 시문) 두 항목을 함께 나열하여 유서의 통례 체제를 변경했다는 점이다.

권수분류
권1-2천(天)
권3-5세시(歳時)
권6지(地), 주(州)
권7-8산(山)
권8-9수(水)
권10부명(符命)
권11-14제왕(帝王)
권15후비(后妃)
권16저궁(儲宮)
권17-37인(人)
권38-40예(礼)
권41-44악(楽)
권45-50직관(職官)
권51봉작(封爵)
권52-53치정(治政)
권54형법(刑法)
권55-58잡문(雑文)
권59무(武)
권60군기(軍器)
권61-64거처(居処)
권65-66산업(産業)
권67의관(衣冠)
권68의식(儀飾)
권69-70복식(服飾)
권71주거(舟車)
권72식물(食物)
권73잡기물(雑器物)
권74교예(巧芸)
권75방술(方術)
권76-77내전(内典)
권78-79영이(霊異)
권80화(火)
권81-82약향초(薬香草)
권83-84보옥(宝玉)
권85백곡(百穀), 포백(布帛)
권86-87과(果)
권88-89목(木)
권90-92조(鳥)
권93-95수(獣)
권96-97인개(鱗介), 충치(虫豸)
권98-99상이(祥異)
권100재이(災異)


3. 2. '사'(事)와 '문'(文)의 병기

다른 유서와 비교하여, 《예문유취》의 문헌 편집 방법상 가장 큰 특징은 '사'(사실)와 '문'(시문) 두 조항을 병기하여 한 조항으로 하고, 유서의 통례적인 체제를 변경한 점이다. 이러한 편찬법은 훗날 《영락대전》, 《고금도서집성》 등의 유서 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4. 특징 및 의의

《예문유취》는 '사'(사실)와 '문'(시문) 두 항목을 함께 나열하여 유서의 일반적인 체제를 변경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편찬 방식은 훗날 《영락대전》, 《고금도서집성》 등 다른 유서에 영향을 주었다.[1]

4. 1. 문헌학적 가치

현존하는 중국의 유서 중 하나로, 오래된 축에 속한다. 당대 이전의 시문과 가부 등 문학 작품을 대량으로 보존하고 있으며, 이미 망실되어 전해지지 않는 전거를 따른 것도 많다.[1]

이 책은 46부로 분류되어 있으며, 부마다 또 자목(子目) 727개를 나열하였다. 분류의 편차는 고사를 앞에 두고 모두 그 출처를 주(注)로 달았다. 또한 인용된 시문은 거의 모든 시대를 주를 달았다.[1]

구양순은 서문에서 "무릇 구류백씨(九流百氏)가 그 설하는 것이 같지 않다"(夫九流百氏,為說不同)며 "그 청화(淸華)를 따서 그 취지와 개요를 채집하려 한다"(卒欲摘其菁華,採其旨要)고 했다.[1]

기타 유서와 비교하여 이 책의 문헌 편집 방법상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사」(事, 사실)와 「문」(文, 시문)의 양 조목을 병기하여 한데 나열하여, 유서의 통례 체제를 변경하고 있다는 점이다.[1] 이러한 편찬법은 훗날 《영락대전》과 《고금도서집성》 등 다른 유서(類書)에 영향을 미쳤다.[1]

《예문유취》에는 권4에 실린 《정월십오일》과 같이 소미도(蘇味道)와 최액(崔液)의 시를 인용한 후대의 글도 실려 있는데, 당시 구양순의 사망 후 60년이 넘은 시점에서 작성된 것이었다.[1]

4. 2. 학문적 영향

현존하는 중국의 유서로써는 오래된 것 중 하나이다. 당대 이전의 시문과 가부 등의 문학 작품을 많이 보존하고 있으며, 이미 망실되어 전해지지 않는 전거를 따른 것도 많다.[1]

이 책은 46부로 분류되어 있으며, 부마다 또 자목(子目) 727개를 나열하였다. 분류의 편차는 고사를 앞에 두고 모두 그 출처를 주(注)로 달았다. 또한 인용된 시문은 거의 모든 시대를 주를 달았다.[1]

구양순은 서문에서 "무릇 구류백씨(九流百氏)가 그 설하는 것이 같지 않다"(夫九流百氏,為說不同)며 "그 청화(淸華)를 따서 그 취지와 개요를 채집하려 한다"(卒欲摘其菁華,採其旨要)고 했다.[1]

기타 유서와 비교하여 이 책의 문헌의 편집 방법상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사」(事, 사실)와 「문」(文, 시문)의 양 조목을 병기하여 한데 나열하여, 유서의 통례 체제를 변경하고 있다는 점이다.[1]

이런 편찬법은 훗날 유서(類書)에 영향을 미쳤는데, 《영락대전》과 《고금도서집성》 등은 이러한 편찬방법에 영향을 받았다.[1]

《예문유취》에는 권4에 실린 《정월십오일》과 같이 소미도(蘇味道)와 최액(崔液)의 시를 인용한 후대의 글도 실려 있는데, 당시 구양순의 사망 후 60년이 넘은 시점에서 작성된 것이었다.[1]

참조

[1] 논문 Hallucinogen Use in China: Sino-Platonic Papers https://sino-platoni[...] State University of Albany New York 2021-10
[2] 서적 Chinese History: A New Manu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