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Australopithecus anamensis)는 420만 년에서 390만 년 전 사이에 살았던 멸종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의 종이다. 이 종은 케냐와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었으며, 이족 보행을 했지만 나무 타기에도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A. 아나멘시스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사이의 중간 종으로 여겨지며, 치아, 턱, 팔다리 뼈 등의 화석 증거를 통해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타웅 아이
    타웅 아이는 레이먼드 다트가 발견한 약 3~4세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두개골 화석으로, 초기에는 논쟁이 있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초기 호미닌으로 인정받았으며, 두개골 형태와 대후두공 위치는 직립 보행 가능성을 제시한다.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약 250만 년 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는 450cc 정도의 뇌 용적과 큰 어금니, 소구치를 가지며, 초기 도구 사용 흔적과 함께 발견되어 도구 사용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종명은 아파르어로 "놀라움"을 뜻한다.
  • 플라이오세 아프리카의 포유류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플라이오세 아프리카의 포유류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420만 년 전부터 200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에 살았던 초기 인류 속으로, 작은 뇌와 이족보행 능력을 지녔으며, 다양한 종과 화석 증거를 통해 호모 속의 조상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플라이오세의 포유류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플라이오세의 포유류 -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는 580만 년에서 560만 년 전의 초기 호미닌 화석 종으로, 송곳니 크기 축소와 관련된 행동 변화를 보이며 숲과 사바나 환경에 서식했고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복원된 두개골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복원된 두개골
화석 발견 시기플리오세
멸종 여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명명자M.G. 리키 외, 1995년
이명파에안트로푸스 아나멘시스
학술 정보
연구제이슨 E. 루이스
캐럴 V. 워드
윌리엄 H. 킴벨
케이시 L. 키드니
프랭크 H. 브라운
론다 L. 퀸
존 로언
이그나시오 A. 라자가바스테르
윌리엄 J. 샌더스
미브 G. 리키
루이스 N. 리키
발표 년도2024년
제목케냐 동부 투르카나, 일레레트에서 발견된 430만 년 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하악골과 고환경 맥락
저널Journal of Human Evolution
194
페이지103579
DOI10.1016/j.jhevol.2024.103579
분포
지역동아프리카
시대
시기플리오세
연대약 420만 년 전 ~ 390만 년 전
특징
신장남성 약 152cm, 여성 약 122cm
체중남성 약 45~54kg
식단C4 식물 (풀, 사초과 식물) 위주
계통 분류
관계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조상일 가능성

2. 발견

''A. 아나멘시스'' 턱과 사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1965년 하버드 대학교 연구팀이 투르카나 호 서부 카나포이 지역에서 상완골(팔뼈) 조각을 발견하면서 처음 알려졌다.[18] 1994년 미브 리키와 앨런 워커가 알리아 베이 유적지에서 하악골 뼈를 포함한 여러 화석을 발굴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19]

이후 ''A. 아나멘시스'' 화석은 에티오피아 북동부 아사 이시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21] 2019년에는 에티오피아에서 380만 년 전의 거의 완전한 두개골인 MRD-VP-1/1이 발견되어 인류 진화 계통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25][26]

2. 1. 최초 발견

취리히 대학교의 ''A. 아나멘시스'' 뼈


1965년 하버드 대학교 연구팀이 투르카나 호 서부 카나포이 지역의 플리오세 지층에서 상완골(팔뼈) 조각을 발견했다.[18] 1967년 브라이언 패터슨과 윌리엄 W. 하웰스는 ''사이언스''에 이 뼈에 대한 초기 논문을 발표했는데, 초기 분석 결과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표본이며 연령은 250만 년으로 추정했다.[16] 그러나 패터슨과 동료들은 이후 동물상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본의 연령 추정치를 400만~450만 년 전으로 수정했다.[17][18]

2. 2. 미브 리키와 앨런 워커의 발굴

1994년, 런던 출신의 케냐 고인류학자 미브 리키와 고고학자 앨런 워커는 알리아 베이 유적지를 발굴하여 여러 인류 화석을 발견했다. 여기에는 침팬지와 매우 유사하지만, 치아는 인간의 치아와 더 유사한 완전한 하악골 뼈가 포함되었다. 제한적인 몸통뼈대 증거를 바탕으로, ''A. 아나멘시스''는 습관적으로 두 발로 걷는 것으로 보이지만, 상지에는 일부 원시적인 특징을 유지했다.[19]

1995년, 미브 리키와 그의 동료들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 새로운 발견 사이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그들을 새로운 종인 ''A. 아나멘시스''로 분류했다. 종의 이름은 "호수"를 의미하는 투르카나어 단어 ''아남''에서 따왔다.[5]

발굴된 화석(총 21개)에는 상악과 하악골, 두개골 파편, 다리뼈(경골)의 상부 및 하부가 포함된다. 이 외에도 1965년 카나포이에서 발견된 상완골 조각이 이 종에 할당되었다.

2. 3. 추가 발견

1994년, 런던 태생의 케냐 출신 고인류학자 미브 리키와 고고학자 앨런 워커는 알리아 베이 유적지를 발굴하여 여러 인류 화석 파편을 추가로 발견했다. 여기에는 침팬지 ''(Pan troglodytes)''와 매우 유사하지만 치아는 인간의 치아와 더 유사한 완전한 하악골 뼈가 포함되었다. 이용 가능한 제한적인 몸통뼈대 증거를 바탕으로, ''A. 아나멘시스''는 습관적으로 두 발로 걷는 것으로 보이지만, 상지에 일부 원시적인 특징을 유지했다.[19]

2006년에는 에티오피아 북동부 아사 이시에서 30개의 ''A. 아나멘시스'' 화석이 추가로 발견되었다.[21] 이 화석들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인류 송곳니와 가장 초기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대퇴골이 포함되어 있다.[7] 이 발견은 ''A. 아나멘시스''의 서식 범위를 에티오피아 북동부로 확장했으며, 미들 아와시 지역에서 발견되어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들과 함께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또한, 이 발견은 더 원시적인 인류인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발견 유적지에서 불과 9.7km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A. 아나멘시스'' 발견은 약 420만 년 전, ''Ar. 라미두스'' 발견은 44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두 종 사이의 간격이 20만 년에 불과하여 인류 진화 연대기의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했다.[22]

2010년, 요하네스 하일레-셀라시에 등은 360만~380만 년 전 에티오피아 아파 지역에서 약 90개의 화석 표본을 발견하여 ''A. 아나멘시스''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메우고 두 종의 많은 특징을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A. 아나멘시스''와 ''A. 아파렌시스''가 하나의 진화하는 종(즉, 생장(종 분화)에 의한 연대 종)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했다.[3] 그러나 2019년 8월, 같은 하일레-셀라시에 팀의 과학자들은 에티오피아에서 처음으로 거의 완전한 두개골을 발견하고 38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발표했다. 이 발견은 390만 년 전의 이전 이마뼈 화석이 ''A. 아파렌시스''임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두 종이 중복되었고 생장(종 분화)일 수 없음을 시사했다(이는 A. 아파렌시스가 ''A. 아나멘시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지만, ''A. 아나멘시스'' 개체군의 일부에서만 유래했을 것임을 언급).[10][23] 다른 과학자들은 하나의 이마뼈 화석이 아직 생장(종 분화) 가능성을 반증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11][23]

2019년 8월, 과학자들은 에티오피아에서 처음으로 거의 완전한 두개골인 MRD-VP-1/1을 발견하고 38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발표했다.[25][26] 이 두개골은 2016년 아파 유목민 알리 베레이노가 발견했다.[24] 이 두개골은 파생된 특성과 조상의 특성을 독특하게 결합하고 있어 인류의 진화 계통을 보완하는 데 중요하다.[25] MRD 두개골로 알려진 이 두개골은 마모된 견치 후 치아로 결정된 "진행된 발달 연령"의 수컷이며,[25] 치아는 원근적 신장을 보여주는데,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 다르다.[25]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와 유사하게, 좁은 상부 얼굴에 이마가 없고 넓은 관골이 있는 큰 중간 얼굴을 가지고 있다.[25] 이 발견으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가 생장(종 분화)의 결과가 아니라 두 호미닌 종이 적어도 10만 년 동안 함께 살았음을 알 수 있다.[25][27]

3. 환경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케냐 동투르카나의 알리아 만에서 발견되었다. 안정 동위원소 데이터 분석 결과, 투르카나 호수를 둘러싼 환경에 더 닫힌 숲 캐노피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

3. 1. 투르카나 호수 주변 환경

안정 동위원소 데이터 분석 결과, 오늘날보다 투르카나 호수를 둘러싼 환경에 더 닫힌 숲 캐노피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알리아 만에서 숲의 가장 높은 밀도는 조상의 오모 강을 따라 있었다. 분지 가장자리나 고지대에는 더 개방된 사바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찬가지로 알리아 만에서 환경이 훨씬 더 습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알리아 만에 견과류나 씨앗을 맺는 나무가 존재했을 수도 있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1]

4. 식단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잡식성이었으며, 침팬지와 유사하게 과일을 많이 먹었을 것으로 보인다.[8] 이러한 식습관은 ''A. 아나멘시스''보다 앞선 ''Ar. 라미두스''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단단한 음식을 먹었다는 증거도 발견되었는데,[8] 이는 치아 에나멜이 더 두꺼워지고 어금니 치관이 더 강해진 것에서 알 수 있다.[8]

4. 1. 치아 마모 연구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어금니 화석의 미세 마모 연구에서는 긴 줄무늬 패턴이 나타나는데, 이는 고릴라의 어금니 미세 마모와 유사하다. 이러한 특징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가 현대 고릴라와 비슷한 식단을 가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29]

미세 마모 패턴은 위치나 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어금니 화석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는 환경에 관계없이 이들의 식단이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투르카나 분지 인류 종의 가장 초기 식단 동위원소 증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에서 발견된다. 이 증거에 따르면, 이들의 식단은 주로 C3 자원으로 구성되었지만 소량의 C4 유래 자원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199만 년에서 167만 년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뚜렷한 인류 분류군이 C4 자원 소비량이 더 높은 수준으로 이동했다. 이 시점에서 이러한 식단 변화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 결과가 식물 기반 식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동위원소는 C3 및 C4 자원을 섭취한 동물과 곤충을 먹음으로써 섭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13]

''A. 아나멘시스''는 측면 치아가 평행선을 이루며 두껍고 길고 좁은 턱을 가지고 있었다.[30] ''A. 아나멘시스'' 치열의 구개, 치열 및 기타 특징은 이들이 잡식성이었고, 침팬지와 유사하게 과일에 크게 의존하는 식단을 가졌음을 보여준다.[8] 이러한 특징은 ''A. 아나멘시스''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Ar. 라미두스''에서 비롯되었다. 더 단단한 음식을 섭취했음을 시사하는 식단 변화의 증거도 발견되었으며,[8] 이는 치아의 더 두꺼운 에나멜과 더 강한 어금니 치관으로 나타났다.[8]

4. 2. 동위원소 분석

투르카나 분지 인류 종의 초기 식단 동위원소 증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에서 발견된다. 이 증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의 식단이 주로 C3 자원으로 구성되었지만, 소량의 C4 유래 자원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후 199만 년에서 167만 년 사이의 기간 동안 적어도 두 개의 뚜렷한 인류 분류군이 C4 자원 소비량이 더 높은 수준으로 이동했다. 이 시점에서 이러한 식단 변화의 알려진 원인은 없다. 이 연구는 그 자체로 식물 기반 식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왜냐하면 동위원소는 C3 및 C4 자원을 먹고 자란 동물과 곤충을 먹음으로써 섭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13]

5. 다른 인류 종과의 관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사이의 중간 종으로, 인간 및 다른 유인원과 여러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30][8] 모든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이족 보행을 했고, 뇌가 작았으며, 이빨이 컸다.[4]

5. 1.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와의 관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와 식습관에서 유사점을 보인다.[8] ''A. 아나멘시스''는 때때로 후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종보다 훨씬 더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었다.[8] ''A. 아나멘시스''의 손목 형태 화석 연구는 다른 아프리카 유인원과 공유하는 파생된 특징인 손가락 걷기를 시사한다. ''A. 아나멘시스''의 손은 튼튼한 손가락뼈와 손바닥뼈, 그리고 긴 중간 손가락뼈를 보여주는데, 이는 ''A. 아나멘시스''가 수목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대체로 이족 보행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1]

5.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의 관계

A. anamensis영어는 뼈 구조가 유사하고 삼림 지역에 서식하기 때문에 종종 A. afarensis영어와 혼동된다.[32] 이 두 종은 두꺼운 치아 에나멜을 가졌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이는 모든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공유 파생 특징이며 대부분의 미오세 호미노이드와 공유된다.[8] A. anamensis영어의 치아 크기 변동성은 신체 크기가 상당히 다양했음을 시사한다.[8] 식단은 선조인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와 유사점을 보인다.[8] A. anamensis영어는 때때로 후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종보다 훨씬 더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었다.[8] 상완골과 경골의 유사점은 A. anamensis영어와 A. afarensis영어가 크기에서 인간과 유사한 특징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8] 또한 A. anamensis영어의 신체가 A. afarensis영어보다 다소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8] 에티오피아 하다르 지역에서 추가적인 afarensis영어 표본 수집을 바탕으로, A. anamensis영어의 요골은 월상골과 주상골 표면에서 A. afarensis영어와 유사하다.[8] 추가적인 연구 결과는 A. anamensis영어가 현생 인류에 비해 긴 팔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8]

6. 신체적 특징

화석 증거에 따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A. anamensis)는 높은 수준의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33] ''A. 아나멘시스''는 유인원과는 다른 무릎, 정강이, 팔꿈치 부분을 가지고 있어 이족 보행을 했다는 것을 나타내며, 긴 앞팔과 수정된 손목뼈 특징으로 보아 나무를 타는 능력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34] ''A. 아나멘시스''의 턱 관절은 앞뒤로 평평하고 다소 넓으며, 귓구멍은 지름이 좁아 침팬지와 유사하다.[37] 또한, 첫 번째 아래 작은 어금니는 단일 큰 cusp(치아의 융기)가 특징이며, 첫 번째 유백색 어금니는 좁고 으깨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37]

6. 1. 이족 보행과 나무 타기

화석 증거에 따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A. anamensis)는 유인원과는 다른 무릎, 정강이, 팔꿈치 부분을 가지고 있어 이 종이 이족 보행을 했다는 것을 나타낸다.[33] 특히, ''A. 아나멘시스''의 정강이 뼈는 뼈가 있는 윗부분이 더 넓다.[34]

이족 보행을 나타내는 수정된 신체 부위 외에도, ''A. 아나멘시스'' 화석은 나무 타기의 증거를 보여준다.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A. 아나멘시스''는 긴 앞팔과 수정된 손목뼈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34] ''A. 아나멘시스''의 앞팔과 손가락뼈는 나무 위나 땅에서 이동할 때 상지를 지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5] ''A. 아나멘시스''에 속하는 앞팔 뼈는 길이가 265mm에서 277mm로 발견되었다.[35] 화석 기록에서 강한 능선이 있는 A. 아나멘시스의 굽은 근위부 손가락뼈는 나무를 오르는 잠재적인 능력을 나타낸다.[36]

6. 2. 턱과 치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는 앞뒤로 평평하고 다소 넓은 턱 관절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유인원에서 볼 수 있는 곡선과 유사하다.[37] A. 아나멘시스 화석의 귓구멍은 지름이 좁으며, 침팬지의 귓구멍과 가장 유사하다. 이는 이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의 넓은 귓구멍과는 대조적이다.[37]

''A. 아나멘시스''의 첫 번째 아래 작은 어금니는 단일 큰 cusp(치아의 융기)가 특징이다. 또한, ''A. 아나멘시스''는 최소한의 표면적을 가진 크고 지배적인 cusp를 포함하는 좁은 첫 번째 유백색 어금니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으깨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37]

6. 3. 성적 이형성

화석 증거에 따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A. anamensis)는 높은 수준의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33]

참조

[1] 뉴스 Ethiopie : découverte du plus vieux fossile d'australopithèque http://www.rfi.fr/af[...] RFI Afrique 2019-08-28
[2] 논문 A 4.3-million-year-old ''Australopithecus anamensis'' mandible from Ileret, East Turkana, Kenya, and its paleoenvironmental context
[3] 논문 Phylogeny of early Australopithecus: new fossil evidence from the Woranso-Mille (central Afar, Ethiopia) 2010-10-27
[4] 서적 Understanding Humans: Introduction to Physic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5] 논문 New four-million-year-old hominid species from Kanapoi and Allia Bay, Kenya 1995-08-17
[6] 논문 New specimens and confirmation of an early age for ''Australopithecus anamensis'' 1998-05-07
[7] 논문 Asa Issie, Aramis and the origin of ''Australopithecus'' 2006-04-13
[8] 논문 The new hominid species Australopithecus anamensis 1999
[9] 논문 Was Australopithecus anamensis ancestral to A. afarensis? A case of anagenesis in the hominin fossil record
[10] 논문 A 3.8-million-year-old hominin cranium from Woranso-Mille, Ethiopia
[11] 웹사이트 Stunning ancient skull shakes up human family tree https://www.science.[...] 2019-08-28
[12] 뉴스 Skull discovery 'a game changer' in understanding of human evolution https://www.irishtim[...] 2019-10-29
[13] 논문 Stable isotope-based diet reconstructions of Turkana Basin hominins 2013-06-25
[14] 웹사이트 How the skull of humanity's oldest known ancestor is changing our understanding of evolution https://theconversat[...] 2019-09-04
[15] 논문 Statistical estimates of hominin origination and extinction dates: A case study examining the Australopithecus anamensis–afarensis lineage 2020-01-01
[16] 논문 Hominid Humeral Fragment from Early Pleistocene of Northwestern Kenya 1967
[17] 논문 Geology and Fauna of a New Pliocene Locality in North-western Kenya 1970
[18] 논문 The new hominid species ''Australopithecus anamensis'' 1999
[19] 논문 Morphology of ''Australopithecus anamensis'' from Kanapoi and Allia Bay, Kenya
[20] 서적 Evolution: The First Four Billion Year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New Fossils of Australopithecus Anamensis from Kanapoi, Kenya and Evolution Within the A. Anamensis-Afarensis Lineage 2008-09
[22] 논문 New fossil links up human evolution
[23] 뉴스 Incredible Fossil Discovery Finally Puts a Face on an Elusive Early Hominin https://gizmodo.com/[...] 2019-08-28
[24] 간행물 "'Unprecedented' skull reveals face of human ancestor"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9-08-28
[25] 논문 A 3.8-million-year-old hominin cranium from Woranso-Mille, Ethiopia
[26] 뉴스 Incredible Fossil Discovery Finally Puts a Face on an Elusive Early Hominin https://gizmodo.com/[...] 2019-08-28
[27] 웹사이트 Revealing the new face of a 3.8-million-year-old early human ancestor https://www.cnn.com/[...] 2019-08-28
[28] 논문 Paleoenvironment of ''Australopithecus anamensis'' at Allia Bay, East Turkana, Kenya: evidence from mammalian herbivore enamel stable isotopes 2003-09
[29] 논문 Molar microwear textures and the diets of ''Australopithecus anamensis'' and ''Australopithecus afarensis'' 2010-09-20
[30] 웹사이트 Australopithecus anamensis http://humanorigins.[...] 2010-02-11
[31] 논문 Evidence that Humans Evolved from a Knuckle-walking Ancestor https://www.nature.c[...] 2000-03-23
[32] 웹사이트 Australopithecus - Australopithecus afarensis and Au. garhi https://www.britanni[...]
[33] 웹사이트 10. Australopithecus anamensis https://milnepublish[...] 2017-06-13
[34] 웹사이트 Australopithecus anamensis http://humanorigins.[...]
[35] 서적 The Last Human: A Guide to Twenty-Two Species of Extinct Humans Yale University Press
[36] 논문 Australopithecus to Homo: Transformations in Body and Mind https://www.annualre[...] 2000-10-21
[37] 서적 The Last Human: A Guide to Twenty-Two Species of Extinct Humans Yal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