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정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정방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의 14세손이자 정무공파의 파조로, 조선 선조, 광해군, 인조 시대의 무신이다. 1583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공으로 호성 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전라도 병마절도사,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했고, 인조반정 이후 포도대장과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1625년에 사망했으며, 경기도 양성에 묘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진주목사 - 김시민
    김시민은 임진왜란 당시 진주목사로 진주대첩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4천 명의 군사로 2만 명의 일본군을 물리쳤으나 전투 중 사망하여 선무공신에 봉해진 조선의 무신이다.
  • 조선의 진주목사 - 최립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인 최립은 1561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뛰어난 문장과 외교적 역량으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의 외교 문서 작성에 기여했으며, 당대 문인들과 교류하며 이름을 떨쳤으나 당쟁 속에서 비판을 받기도 하고 사후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호성공신 - 이항복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항복은 자가 자상, 호가 백사이며 경주 이씨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보필하여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지냈으나, 광해군 대에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한 후 관작이 회복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호성공신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625년 사망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영국-스코틀랜드 동군연합을 이뤘으나, 의회와의 갈등, 재정 문제, 종교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고 왕권신수설을 주장했으며,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킹 제임스 성경》 번역을 주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625년 사망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는 모리 모토나리의 손자이자 모리 가문의 당주로,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와 기카와 모토하루의 지원을 받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참전하지 않아 영지를 잃고 조슈 번을 다스리게 된 인물이다.
오정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성 정무공 오정방 고택
이름오정방
한자 이름吳定邦
영언(英彦)
퇴전당(退全堂)
시호정무(貞武)
출생지조선 경기도 양성현(陽城縣)
국적조선
본관해주
가족 관계
아버지오수천(吳壽千)
어머니전주 이씨(全州李氏)
배우자평산 신씨(平山申氏) 신수미(申壽眉)의 딸
자녀오사겸(吳士謙)
친척증손자 오두인
고손자 오태주
현손부 명안공주
학력 및 경력
학력1583년(선조 16) 무과 장원급제
직업무관
경력병마절도사
포도대장

2. 생애

오정방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의 14세손이며, 정무공파(貞武公派)의 파조이다.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1] 1591년(선조 24) 어머니 상을 당했으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복직하여 도총부 도사, 부령부사, 정평 부사 등을 역임했다.[1]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모신 공으로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2]

1603년(선조 36) 가선 대부로 승진하여 강계 부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이후 동지중추부사 겸 부총관, 포도대장, 군기시 제조 등에 임명되었다. 전라도 병마절도사장흥 부사로 재직 시에는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1605년(선조 38)에는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진주 목사로 임명되었다.[3] 1619년(광해군 11) 훈련도정을 역임하고, 전라도 우수사로 부임하였다. 1622년(광해군 14) 임기를 마치고 돌아올 때 백성들이 그의 유임을 바랄 정도로 존경을 받았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다시 포도대장에 임명되었고,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다 사직했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는 왕을 호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625년(인조 3) 11월 18일,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경기도 양성에 안장되었다.[4]

2. 1. 임진왜란 이전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吳仁裕)의 14세손이며, 해주 오씨 정무공파(貞武公派)의 파조다.

1583년(선조 16) 내금위(內禁衛)로 무과에 장원급제하였다.[1] 사온서 주부(司醞署主簿)로 있다가 흥덕 현감(興德縣監)으로 나갔다. 1586년(선조 19년)에 조정으로 들어와 훈련원 판관(訓鍊院判官)이 되었다가 방원 만호(防垣萬戶)로 옮겼다. 겨울에 아버지 오수천(吳壽千)의 상(喪)을 당하였고 복제(服制)를 마치고 난 뒤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에 임명되었으며, 얼마 후에 영흥 판관(永興判官)으로 나갔다.

1591년(선조 24년) 어머니의 상을 당했다.

2. 2. 임진왜란 시기

1591년(선조 24년) 어머니의 상을 당했으나,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탈정 기복(奪情起復)하여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에 임명되었다가 경력(經歷)으로 승진되었으며, 이어 부령부사(富寧府使), 정평 부사(定平府使)를 지냈다.[1]

임진왜란 때 선조를 모시고 의주까지 호종한 공으로 1604년(선조 37년)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2]

2. 3. 임진왜란 이후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탈정 기복(奪情起復)하여 도총부 도사에 임명되었다가 경력(經歷)으로 승진되었으며, 이어 부령부사(富寧府使), 정평 부사(定平府使)를 지냈다.[1]

1603년(선조 36년) 가선 대부(嘉善大夫)로 승진되면서 강계 부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겸 부총관(副摠管)ㆍ포도 대장(捕盜大將)ㆍ군기시 제조(軍器寺提調)에 임명되었다. 겨울에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겸 장흥 부사(長興府使)에 임명되었는데, 군민(軍民)이 공을 위하여 비석을 세우고 덕(德)을 칭송하였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모시고 의주까지 호종한 공으로 1604년(선조 37년)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2]

1605년(선조 38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겸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임명되었다.[3]

1619년(광해군 11년) 훈련 도정(訓鍊都正)에 임명되었고, 그 후 전라도 우수사(全羅道右水使)로 나갔다.

1622년(광해군 14년) 체직되어 돌아올 때 민졸(民卒)이 바퀴 자국에 드러누워 더 머물러 주기를 바랄 정도였다.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 초에 다시 포도대장에 임명되었고, 그 후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로 나갔다가 사직을 청하여 체직되었다.

1624년(인조 2년) 이괄이 반란을 일으켜 인조공산성(公山城)으로 행행(行幸)할 때 호가 대장(扈駕大將)으로 행차를 호종하였다.

1625년(인조 3년) 11월 18일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74세였다. 임금이 부의(賻儀)를 내리도록 명하고 예관(禮官)을 보내 치제(致祭)하였다. 경기도 양성(陽城) 천덕산(天德山) 선영(先塋) 간좌(艮坐) 곤향(坤向)의 자리에 장사지냈다.[4]

2. 4.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 초에 다시 포도대장에 임명되었고, 그 후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로 나갔다가 사직을 청하여 체직되었다.[1]

1624년 (인조 2년) 이괄이 반란을 일으켜 인조가 공산성으로 행행(行幸)할 때 호가 대장(扈駕大將)으로 행차를 호종하였다.[4]

2. 5. 사망

1625년(인조 3년) 11월 18일에 74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금은 부의(賻儀)를 내리도록 명하고 예관(禮官)을 보내 치제(致祭)하였다. 경기도 양성(陽城) 천덕산(天德山) 선영(先塋) 간좌(艮坐) 곤향(坤向)의 자리에 장사지냈다.[4]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오경운(吳慶雲)
아버지오수천(吳壽千)
외조부이해(李嶰)삼양령(三陽令)
어머니전주 이씨(全州李氏)이해(李嶰)의 딸
처부신수미(申壽眉)
부인평산 신씨(平山申氏)1550년 ~ 1628년
아들오사겸(吳士謙)
며느리전주 이씨(全州李氏)한성 서윤(漢城庶尹) 이시중(李時中)의 딸, 세종의 6대손
손자오숙(吳䎘)관찰사
손자오빈(吳䎙)진주 목사(晉州牧使)
손자오상(吳翔)
손자오핵(吳翮)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측실(側室)
서자오사눌(吳士訥)


4. 관련 문화재


  • 안성 정무공오정방고택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5호

참조

[1] 역사기록 《선조실록》 17권, 16년(1583 계미 / 명 만력(萬曆) 11년) 8월 24일(계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역사기록 《선조실록》 175권, 37년(1604 갑진 / 명 만력(萬曆) 32년) 6월 25일(갑진)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선조실록》 190권, 38년(1605 을사 / 명 만력(萬曆) 33년) 8월 7일(기유)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서적 국조인물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