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 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주 오씨는 오인유를 시조로 하는 경파와 오현보를 시조로 하는 향파의 두 계통으로 나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공신 3명, 청백리 1명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경파는 오인유를 시조로 하며, 오윤겸, 오명항, 오두인 등이 주요 인물이다. 향파는 오현보를 시조로 하며, 오첨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해주 오씨는 30여 개의 분파로 나뉘었으며, 고려 시대의 오연총, 오형, 오양우와 조선 시대의 오결, 오상, 오윤겸, 오달제, 오명항, 오세창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해주 오씨는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 오산리에 시조단이 있다. 집성촌은 경상북도 의성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2015년에는 46만 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주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해주시 |
창설자 | 오인유 |
웹사이트 | 해주오씨대종회 |
역사 | |
시조 | 오인유(경파), 오현보(향파) |
구성 | |
연결된 인물 | 오윤겸, 오상진, 오준, 오세훈, 오영수 |
추가 정보 | |
인구 통계 | |
2015년 | 462,704명 |
집성촌 | |
주요 인물 |
2. 역사
해주 오씨(海州 吳氏)는 '''오인유'''를 시조로 하는 경파와 '''오현보'''를 시조로 하는 향파 두 계통이 있다.[6][7] 조선 시대에 해주 오씨는 상신 2명, 대제학 3명, 공신 3명, 청백리 1명, 문과 급제자 99명, 무과 급제자 267명, 생원·진사 326명을 배출하였다.
2. 1. 해주 오씨 경파(京派)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吳仁裕)는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사(大學士)로 984년(성종 3년) 고려에 들어와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해주에 정착하였다.[1]오인유의 14세손 오윤겸(吳允謙)과 오정방(吳定邦)의 후손들이 현달하며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오윤겸은 조선 인조 때 영의정에 올랐고, 오윤겸의 현손 오명항(吳命恒)은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으로 우의정에 이르렀다. 오정방의 증손 오두인(吳斗寅)은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고, 오두인의 아들 오태주가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여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졌다. 오인유의 19세손 오원과 20세손 오재순(吳載純)은 대제학을 역임하였다.[1]
2. 2. 해주 오씨 향파(鄕派)
태백왕의 25세손이자 초나라 재상 오기의 45세손인 오첨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들어와 왕명으로 김종지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에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다. 이때 둘째 아들 오응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1]오첨의 24세손 '''오현보'''는 1216년(고종 3)에 거란을 격퇴하는 공을 세워 해주군에 봉해졌고, 1224년에 중서문하성 참지정사에 이르렀다고 한다.[1]
3. 분파
해주 오씨는 오인유(吳仁裕)의 후손으로, 7세를 전후하여 30여 개의 파로 분파되었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파명(派名) | 시조(始祖) 및 비고 |
---|---|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 7세 오연경(吳延慶, ? ~ 1309) |
부훤당공파(負暄堂公派) | 14세 오상(吳祥) |
계산공파(溪山公派) | 14세 오경(吳慶) |
찬성공파(贊成公派) | 8세 오반(吳潘) |
사복시정공파(司僕侍正公派) | 9세 오중수(吳仲守) |
양정공파(陽亭公派) | 9세 오희(吳僖) |
용강공파(龍岡公派) | 9세 오처권(吳處權) |
영변공파(寧邊公派) | 9세 오석계(吳碩啓) |
생원공파(生員公派) | 9세 오생운(吳生韻) |
묘제공파(墓齊公派) | 7세 오사정 |
지군사공파(知郡事公派) | 7세 오사운 |
사복시랑공파(司僕侍郞公派) | 7세 오사렴 |
전서공파(典書公派) | 7세 오광정(吳光庭) |
사인공파(舍人公派) | |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 |
장춘공파(長春公派) | |
해성부원군파(海城府院君派) | |
판도정랑공파(版圖正郞公派) | |
징사공파(徵士公派) | |
신녕공파(新寧公派) |
4. 인물
wikitext
시대 | 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 시호 |
---|---|---|---|---|
고려 | 오연총(吳延寵) | 1055년 ~ 1116년 | 윤관(尹瓘)의 여진 정벌 때 부원수, 예종 때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 문양(文襄)[1] |
오형(吳詗) | 1242년 ~ 1316년 | 충선왕(忠宣王) 때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 문온(文溫)[1] | |
오양우(吳良遇) | ? ~ 1319년 |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로 치사(致仕) [1] | ||
조선 | 오결(吳潔) | ? | 중종 때 형조판서 [1] | |
오상(吳祥) | 1512년 ~ 1573년 | 선조 때 이조판서, 병조판서, 대사헌 [2] | ||
오응정(吳應鼎) | 1548년 ~ 1597년 | 정유재란 때 남원부성에서 아들 오욱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 [3] | ||
오정방(吳定邦) | 1552년 ~ 1625년 | 인조 때 경상좌도병마절도사 | 정무(貞武)[4] | |
오윤겸(吳允謙) | 1559년 ~ 1636년 | 인조 때 영의정 | 충간(忠簡) → 충정(忠貞)[5] | |
오직(吳稷) | 1575년 ~ 1619년 | 사르후 전투에서 김응하와 함께 전사 [6] | ||
오숙(吳䎘) | 1592년 ~ 1634년 | 황해도관찰사 [7] | ||
오빈(吳䎙) | 1602년 ~ 1685년 | 숙종 때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숙헌(肅憲) | |
오달제(吳達濟) | 1609년 ~ 1637년 | 삼학사 중 한 명,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하다가 처형 | 충렬(忠烈) | |
오두인(吳斗寅) | 1624년 ~ 1689년 | 형조판서, 아들 오태주가 명안공주와 혼인하여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짐 | 충정(忠貞) | |
오도일(吳道一) | 1645년 ~ 1703년 | 숙종 때 병조판서 | ||
오명준(吳命峻) | 1662년 ~ ? | 영조 때 대사헌 | ||
오명항(吳命恒) | 1673년 ~ 1728년 | 영조 때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우의정 | 충효(忠孝) | |
오수채(吳遂采) | 1692년 ~ ? | 영조 때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 ||
오원(吳瑗) | 1700년 ~ 1740년 | 영조 때 대제학, 공조판서 | 문목(文穆) | |
오재순(吳載純) | 1727년 ~ 1792년 | 정조 때 대제학, 이조판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 문정(文靖) | |
오취선(吳取善) | 1804년 ~ ? | 경상감사·한성부판윤 | 문정(文靖) | |
오경석(吳慶錫) | 1831년~1879년 | 개화파 지식인, 추사 김정희의 제자 | ||
오세창(吳世昌) | 1864년 ~ 1953년 |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 오경석의 아들, 간송 전형필의 스승 | ||
현대 | 오경환(1931년~2021년) | 제14대 해군참모총장 | ||
오세정(1953년~?) | 서울대학교 총장 | |||
오세훈(1961년~?) | 제33·34·38·39대 서울특별시장 |
4. 1. 고려
- 오연총(吳延寵, 1055년 ~ 1116년): 우복야(右僕射) 오정(吳頲)의 아들이다. 문과에 급제한 후 윤관(尹瓘)의 여진 정벌 때 부원수를 맡았고, 예종(睿宗)조에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양(文襄)이다.[1]
- 오형(吳詗, 1242년 ~ 1316년): 국자좨주(國子祭酒) 오극정(吳克正)의 아들이다. 초명은 오한경(吳漢卿)으로, 1261년(원종 2) 문과에 급제하고, 충선왕(忠宣王)조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온(文溫)이다.[1]
- 오양우(吳良遇, ? ~ 1319년): 오형의 동생이다. 1260년(원종 원년) 문과에 급제하고,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로 치사(致仕)했다.[1]
4. 2. 조선
- 오결(吳潔) : 1504년(연산군 10) 문과에 급제하여 중종 때 형조판서를 지냈다.[1]
- 오상(吳祥, 1512년 ~ 1573년) : 1534년(중종 29) 문과에 급제하여 선조 때 이조판서, 병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을 지냈다.[2]
- 오응정(吳應鼎, 1548년 ~ 1597년) : 1574년(선조 7) 무과에 급제하고 순천부사를 지냈다. 정유재란 때 남원부성에서 아들 오욱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3]
- 오정방(吳定邦, 1552년 ~ 1625년) : 오인유의 14세손. 1578년(선조 11)·1582년(선조 15) 무과에 장원 급제하고, 인조 때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시호는 정무(貞武)이다.[4]
- 오윤겸(吳允謙, 1559년 ~ 1636년) : 오인유의 14세손. 1597년(선조 30) 문과에 급제하고,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었으나, 후에 충정(忠貞)으로 바뀌었다.[5]
- 오직(吳稷, 1575년 ~ 1619년) : 오응정의 둘째 아들. 1594년(선조 27) 무과에 급제하고, 광해군 때 도총부도사를 지냈다. 사르후 전투에서 김응하와 함께 전사하였다.[6]
- 오숙(吳䎘, 1592년 ~ 1634년) : 오정방의 손자. 1612년(광해군 4)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참의·예조참의·경상도관찰사·좌승지(左承旨)를 지내고, 1633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7]
- 오빈(吳䎙, 1602년 ~ 1685년) : 오숙의 동생. 1632년(인조 10) 문과에 급제하고, 숙종 때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 오달제(吳達濟, 1609년 ~ 1637년) : 오윤겸의 조카. 삼학사 중 한 명이다. 1634년(인조 12)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부교리(副校理)를 지냈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하다가 심양(瀋陽)으로 끌려가 홍익한, 윤집과 함께 처형되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 오두인(吳斗寅, 1624년 ~ 1689년) : 오정방의 증손. 1649년(인조 27)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형조판서를 지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아들 오태주가 명안공주와 혼인하여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졌다.
- 오도일(吳道一, 1645년 ~ 1703년) : 오윤겸의 손자. 1673년(현종 14) 문과에 급제하고, 숙종 때 병조판서를 지냈다.
- 오명준(吳命峻, 1662년 ~ ?) : 오윤겸의 현손. 1694년(숙종 20)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영조 때 대사헌을 지냈다.
- 오명항(吳命恒, 1673년 ~ 1728년) : 오명준의 동생. 1705년(숙종 31) 문과에 급제하고, 영조 때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우의정을 지냈으며, 시호는 충효(忠孝)이다.
- 오수채(吳遂采, 1692년 ~ ?) : 오도일의 손자. 1735년(영조 11) 문과에 급제하고, 영조 때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을 지냈다.
- 오원(吳瑗, 1700년 ~ 1740년) : 오두인의 손자. 1728년(영조 4)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영조 때 대제학을 거쳐 공조판서를 지냈다.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 : 오원의 아들. 1772년(영조 48) 문과에 급제하여 정조 때 대제학과 이조판서를 거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오취선(吳取善, 1804년 ~ ?) : 1827년(순조 27)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예조판서·홍문관제학·우참찬을 역임하고, 경상감사·한성부판윤을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오경석(吳慶錫, 1831년~1879년) : 개화파 지식인. 한학 당상 역관이자 금석학자였다. 추사 김정희의 제자이다.
- 오세창(吳世昌, 1864년 ~ 1953년) :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다. 만세보 발행인이자 서예가였다. 개화파 지식인이자 한학 당상 역관이었던 오경석의 아들이며, 간송 전형필의 스승이다.
4. 3. 현대
5.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6. 본관
해주(海州)는 황해도 해주시의 지명이다. 고조선 시대에 대방군(帶方郡)에 속하여 고죽(孤竹)으로 불렸다. 원래 고구려의 내미홀군(內未忽郡)이었으며, 748년(신라 경덕왕 7) 폭지군(瀑池郡)으로 바뀌었다. 936년(고려 태조 19) 고려 태조가 남쪽으로 큰 바다에 임하였다고 하여 해주라는 이름을 내렸으며, 983년(성종 2)에 해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안서도호부로 개편되었고, 예종(睿宗) 때 대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247년(고종 34)년에 다시 해주목으로 환원되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지역이 넓고 백성이 많으며, 관서(關西)의 큰 주로 최씨(崔氏), 정씨(鄭氏), 오씨(吳氏) 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896년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7. 항렬자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
상(常) | 치(致) | 口선(善) | 口영(泳) | 口근(根) | 口환(煥) | 재(載) | 口석(錫) | 口택(澤) | 口식(植) | 병(炳) | 口기(基) | 진(鎭) | 口원(源) | 口주(柱) | 口열(烈) | 口균(均) | 口종(鍾) | 口호(浩) | 口동(東) | 口형(炯) | 口규(圭) | 口용(鎔) | 口수(洙) | 口상(相) | 口희(喜) | 口배(培) | 口명(銘) | 락(洛) | 口영(榮) | 현(炫) | 口곤(坤) |
8. 집성촌
지역 | 상세 지역 |
---|---|
경기도 | 용인시 모현읍 오산리(吳山里),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학일리,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황해도 | 벽성군 월록면 상림리[4], 신천군 북부면, 재령군 신원면, 신계군 마서면 |
평안북도 | 영변군 팔원면 일원, 정주군 고안면 안흥동 |
충청남도 | 아산시 신창면 신달리·도고면 와산리, 금산군 추부면 |
충청북도 | 청주시 흥덕구 신대동 |
전북특별자치도 | 정읍시 정우면 대사리, 순창군 쌍치면 용전리, 임실군 삼계면 삼은리, 김제시 성덕면 석동리, 군산시 성산면 둔덕리 |
전라남도 | 곡성군 오곡면 명산리·고달면 대사리 |
경상북도 |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안평면 도옥리·창길리·단북면 성암리,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상주시 사벌면 금흔리·중동면 간상리 |
울산광역시 | 울주군 온양읍 동상리 |
경상남도 | 창원시 동읍 용강리, 의령군 지정면 태부리, 창녕군 창녕읍 도야리,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 |
해주 오씨의 집성촌은 위와 같으며,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북도의성군 (959명, 총인구의 2.01%)이다[5].
9. 인구
연도 | 가구 | 인구 |
---|---|---|
1985년 | 90,845가구 | 377,016명 |
2000년 | 131,399가구 | 422,735명 |
2015년 | 462,704명 |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해주 오씨 인구는 총 462,704명이다.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북도 의성군(959명, 총인구의 2.01%)이다[5].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해주 오씨
https://terms.naver.[...]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논문
한국인의 기원에 관한 중고등학생의 의식과 『국사』교과서와의 관계
https://yamagata.rep[...]
야마가타대학 역사·지리·인류학 연구회
2012-03
[4]
웹사이트
오씨(吳氏) 본관(本貫) 해주(海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59〉 오씨(吳氏),해주오씨
http://www.segye.com[...]
2013-10-16
[7]
문서
중국인인 오진(吳眞)을 시조로 하는 해주 오씨와는 별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