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룡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룡생은 무협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 목록은 도용작과 위작이 많아 진본 확인이 어렵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비연경룡》, 《옥차맹》, 《표화령》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영화,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협 작가 - 량위성
량위성은 김용, 고룡과 함께 신파 무협 소설 3대 거장으로 불리며, 역사적 사건과 협의, 정애를 다룬 작품을 35편 발표하고 1987년 호주로 이주하여 2009년 사망했다. - 무협 작가 - 구룽
홍콩 태생의 타이완 무협 소설가 구룽은 슝야오화라는 본명을 가지며 김용, 양우생과 함께 '무협 삼각'으로 불리고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 등의 대표작으로 현대 무협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소설가 - 샤오훙
샤오훙은 1930년대 중국 좌익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 공동체, 전쟁, 인간 존엄성을 다룬 작품을 발표했으며, 《생사장》과 《훌란허 전》 등의 대표작이 있다. - 대만의 소설가 - 구룽
홍콩 태생의 타이완 무협 소설가 구룽은 슝야오화라는 본명을 가지며 김용, 양우생과 함께 '무협 삼각'으로 불리고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 등의 대표작으로 현대 무협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와룡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우허팅 |
로마자 표기 | Niu Heting |
필명 | 와룡생 |
로마자 표기 | Wolong Sheng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930년, 중국 허난성 전핑현 |
사망 | 1997년 |
직업 | |
직업 | 소설가 |
장르 | 무협 소설 |
2. 작품 목록
와룡생의 무협소설은 도용작과 위작이 많아 진본 여부를 공식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아래 하위 섹션에 제시된 목록은 와룡생 사후 타이완의 한 일간지에 실렸던 것을 기준으로 하며, 각 작품의 원제와 출판 연도,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번역 출판된 제목들을 함께 기재하였다.
2. 1. 1950년대
wikitext원제 | 출판 연도 | 대한민국 출판 제목 |
---|---|---|
《풍진협은》(風塵俠隱) | 1957년 | (정보 없음) |
《경홍일검진강호》(驚鴻一劍震江湖) | 1957년 | (정보 없음) |
《비연경룡》(飛燕驚龍) | 1959년 | 비룡(飛龍), 비룡문(飛龍門), 귀원비급 |
《철적신검》(鐵笛神劍) | 1959년 | 의협지(義俠誌), 철적신검(鐵笛神劍) |
2. 2. 1960년대
- 《옥차맹》(玉釵盟) 1960년: 군협지(群俠誌), 비호지(飛虎誌), 군웅지(群雄誌), 정무문(精武門)
- 《천향표》(天香飇) 1961년: 웅검지(雄劍誌)
- 《무명소》(無名簫) 1961년: 무명소(無名簫)
- 《강설현상》(絳雪玄霜) 1963년: 무유지(武遊誌), 군웅문(群雄門), 무유대전(武遊大典)
- 《소수겁》(素手劫) 1963년: 야적(夜笛), 천룡기(天龍記), 절대영웅
- 《천애협려》(天涯俠侶) 1963년 + 《천마상의》(天馬霜衣) 1963년: 천애기(天涯記)
- 《천검절도》(天劍絶刀) 1964년: 무림천하, 천검절도(天劍絶刀), 생사교(生死較), 좌소백(左少白)
- 《금검조령》(金劍雕翔) 1964년 + 《악소채》(岳小釵) 1964년: 금검지(金劍誌), 원본금검지, 대풍
- 《풍우연귀래》(風雨燕歸來) 1965년: 비연(飛燕), 비룡검(飛龍劍), 금검지(金劍誌)
- 《쌍봉기》(雙鳳旗) 1965년: 쌍봉기(雙鳳旗), 금봉문(金鳳門)
- 《천학보》(天鶴譜) 1965년: 천학보(天鶴譜)
- 《칠절검》(七絶劍) 1966년: 환정검(還情劍)
- 《표화령》(飄花令) 1967년: 표화령(飄花令), 무유지(武遊誌)
- 《지검위매》(指劍爲媒) 1968년: 지검위매(指劍爲媒)
- 《취수옥환》(翠袖玉環) 1969년: 취수옥환(翠袖玉環), 충의문(忠義門)
- 《표기》(鏢旗) 1969년: 표기(鏢旗), 팔진검, 대황하(大黃河)
2. 3. 1970년대
발표 연도 | 원제 | 대한민국 출판 제목 |
---|---|---|
1970년 | 《혈검단심》(血劍丹心) | |
1970년 | 《신주호협전》(神州豪俠傳) | |
1970년 | 《한매오상》(寒梅傲霜) | 자룡기(紫龍旗), 양자강의 혈투 |
1971년 | 《옥수점장록》(玉手點將錄) | |
1972년 | 《금봉전》(金鳳剪) | |
1972년 | 《비령》(飛鈴) | 무당검파(武當劍派) |
1972년 | 《팔황비룡기》(八荒飛龍記) | |
1973년 | 《무형검》(無形劍) | |
1973년 | 《금필점룡기》(金筆點龍記) | 노호령(怒虎嶺) |
1975년 | 《연쇄강호》(煙鎖江湖) | |
1975년 | 《요화방응전》(搖花放鷹傳) | |
1975년 | 《화봉》(花鳳) | |
1975년 | 《춘추필》(春秋筆) | |
1976년 | 《유령사염》(幽靈四艶) | |
1977년 | 《검무흔》(劍無痕) | |
1978년 | 《천룡갑》(天龍甲) | 옥녀천룡갑(玉女天龍甲), 잠행기(潛行記) |
1979년 | 《흑백검》(黑白劍) |
2. 4. 1980년대
wikitext
3. 미디어 믹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