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오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오훙은 1911년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태어나 1942년 홍콩에서 사망한 중국의 소설가이다. 1927년 학교에서 5·4 운동의 영향을 받아 문학을 접했으며, 1933년 본격적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루쉰의 영향을 받았다. 샤오쥔과의 공저 《발섭》을 발표했으나 반일적인 이유로 탄압을 받기도 했으며, 이후 루쉰의 도움을 받아 《생사장》을 저술했다. 일본 유학 후 중국으로 돌아와 두안무홍량과 결혼하여 홍콩에 정착했으나 중일전쟁으로 인해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생사장》, 《훌란허 전》 등이 있으며, 2014년 영화 《황금시대》에서 그녀의 삶을 다루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소설가 - 구룽
    홍콩 태생의 타이완 무협 소설가 구룽은 슝야오화라는 본명을 가지며 김용, 양우생과 함께 '무협 삼각'으로 불리고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 등의 대표작으로 현대 무협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소설가 - 싼마오
    싼마오는 자유로운 삶과 여성의 독립적인 삶을 제시하며 중국어권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은 중화민국 작가 천마오핑의 필명으로, 특히 자전적 소설 《사하라 이야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 하얼빈시 출신 - 류자창
    류자창은 만주국 하얼빈 출신으로 대만에서 활동한 작곡가 겸 영화 감독으로, "중화민국가", "매화" 등의 히트곡을 작곡하고 '사랑은 여기서 시작된다', '승리' 등의 영화로 금마장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2001년 금곡장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 하얼빈시 출신 - 닝닝
    닝닝은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걸 그룹 aespa의 멤버로, 보컬을 담당하는 한국과 중국 혼혈 가수이다.
샤오훙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샤오훙의 초상화
샤오훙의 초상화
본명장나이잉 (張廼瑩)
출생일1911년 6월 2일
사망일1942년 1월 22일
출생지헤이룽장성 후란구
사망 장소일본령 홍콩 성 스테판 여자 고등학교
국적불명
배우자돤무훙량 (1938년 결혼)
샤오훙의 서명
이름 정보
한자 (정체)蕭紅
한자 (간체)萧红
병음Xiāo Hóng
웨이드-자일스Hsiao Hung
로마자 표기Syau Hung
직업 정보
직업작가

2. 생애

1911년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태어난 샤오훙은 1927년 고향 학교에서 수학하며 5·4 운동의 영향을 받아 중국과 타국 문학 작품을 접했다.[1] 1933년부터 본격적으로 문학가의 길을 걸었으며, 중화민국의 소설가이자 개화 사상가인 루쉰을 만나 큰 영향을 받았다.[1]

1936년 일본 도쿄로 유학했으나,[1] 1938년 중국 산시성 시안으로 돌아왔다.[1] 1940년 동료 소설가 돤무훙량과 결혼하여 당시 영국령이었던 홍콩에 정착했다.[1] 그러나 중일전쟁의 여파가 홍콩까지 미치면서 1942년 전쟁의 혼란 속에서 홍콩 세인트스티븐스 여자 중학교에서 사망했다.

샤오훙은 헤이룽장성 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16세에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하얼빈으로 유학, 반일 시위에 참여했다. 아버지에 의해 약혼했으나 상대가 아편 중독자였기 때문에 베이핑으로 도망쳤고, 숨겨주던 사촌 집이 아버지의 경제적 압박을 받아 다시 잡혀 연금되었다. 만주 사변 이후 하얼빈으로 도망쳐 연인이 될 萧军|샤오쥔중국어을 만났다.

1933년경 샤오쥔의 권유로 창작 활동을 시작, 10월 샤오쥔과의 공저 『발섭』을 발표했다. 그러나 반일적 자세로 일본군만주국의 탄압을 받아 1934년 칭다오로 피신했다. 상하이로 옮겨 루쉰의 도움을 받아 노예사 동인으로서 『생사장』을 저술했다. 1936년 일본을 방문해 『고독한 생활』, 『소달구지 위에서』를 발표했으나, 경찰 당국의 조사 및 중일 관계 악화로 이듬해 지치부마루를 타고 귀국했다. 중일 전쟁 개전 후 카지 와타루 등을 데리고 한커우로 갔지만, 중국 국민당 당국의 탄압으로 산시성 린펀 시를 거쳐 시안으로 이동했다. 여기서 시안 사건을 겪고 샤오쥔과의 동거 관계를 끝냈다.

샤오쥔과 헤어진 후 우한을 거쳐 충칭으로 가 하세가와 테루 등과 동거하면서 작가 端木蕻良|돤무훙량중국어과 내연 관계가 되어 아이를 낳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충칭 폭격이 심해지자 1940년 돤무훙량과 함께 홍콩으로 피난했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입원했다. 1941년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하자 홍콩 각지를 옮겨 다니며 요양했지만, 1942년 프랑스계 병원이 임시 요양 시설로 사용하던 여학교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샤오훙(萧红|샤오훙중국어)은 1911년 6월 1일 단오절에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훌란 현(현재의 헤이룽장성)의 부유한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은 행복하지 않았는데, 아홉 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다.[1] 1927년 하얼빈의 여자 학교에 다니면서 5·4 운동의 진보적인 사상과 중국 및 외국 문학을 접했다.[1]

샤오훙은 아버지와 할아버지, 두 사람에게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샤오훙의 아버지는 차갑고 냉혹한 성격으로, 샤오훙은 "영원한 동경과 추구"(1979년 출판)에서 "아버지는 종종 탐욕 때문에 인간성을 잃었다. 그는 하인, 자녀, 그리고 나의 할아버지를 똑같이 인색하고 냉대했으며, 심지어 무자비하게 대했다."라고 썼다.[1] 아버지가 샤오훙을 때린 후 그녀는 할아버지 방에 숨곤 했는데, 할아버지는 그녀를 쓰다듬으며 "어서 커라! 크는 게 좋은 거야."라고 말하며 따뜻함과 사랑을 주었다.[1]

16세에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하얼빈으로 유학하여 반일 시위에 참여했다. 그 후 아버지에 의해 약혼했지만 상대가 아편 중독자였기 때문에 베이핑으로 도망쳤으나, 숨겨주던 사촌 집이 아버지의 경제적 압박을 받아 다시 잡혀 연금되었다. 만주 사변이 일어나자 다시 하얼빈으로 도망쳤다.

2. 2. 문학 활동과 루쉰과의 만남

1911년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태어난 샤오훙은 1927년 고향 학교에서 수학하며 5·4 운동의 영향 아래 중국과 타국 문학 작품을 접했다. 1933년부터 본격적으로 문학가의 길을 걸으며 중화민국의 소설가이자 개화 사상가인 루쉰을 만나 큰 영향을 받았다.[1] 샤오훙의 글은 자아의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공동체 및 타인과의 관계, 그들이 공유하는 감정과 경험을 다루었다.[5]

샤오훙과 샤오쥔(萧军)은 상하이로 가기 전 루쉰에게 작품 원고를 보냈다. 루쉰은 상하이 도착 전 원고를 읽고, 젊은 좌익 작가 그룹 합류 요청을 수락했다. 루쉰은 샤오훙과 샤오쥔의 소설을 자신의 노예 시리즈(奴隸叢書)에 게재했다.[1]

1933년경 샤오쥔의 권유로 창작 활동을 시작, 10월 샤오쥔과의 공저 『발섭』을 발표했으나, 반일적 자세로 일본군만주국의 탄압을 받아 1934년 칭다오로 피신했다. 이후 상하이로 옮겨 루쉰의 도움을 받아 노예사 동인으로서 『생사장』을 저술했다. 1936년 일본을 방문, 『고독한 생활』, 『소달구지 위에서』를 발표했으나, 경찰 당국의 조사 및 중일 관계 악화로 이듬해 지치부마루를 타고 귀국했다.

2. 3. 일본 유학과 귀국, 그리고 방랑

1936년일본 도쿄로 유학하였으나,[1] 중일 관계 악화로 이듬해 지치부마루를 타고 귀국했다.[3] 1938년 중국 산시성 시안에 정착하였다.[1] 중일 전쟁 개전 후에는 카지 와타루 등을 데리고 한커우로 옮겨갔지만, 중국 국민당 당국의 탄압으로 산시성 린펀 시를 거쳐 시안으로 이동했다.[3] 여기서 시안 사건을 겪고, 샤오쥔과의 동거 관계에 종지부를 찍었다.[3]

샤오쥔과 헤어진 후 우한을 거쳐 충칭으로 가서 하세가와 테루 등과 동거하면서 작가 端木蕻良|돤무훙량중국어과 내연 관계가 되어 아이를 낳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4] 1940년에는 돤무훙량과 결혼하여 당시 영국령이었던 홍콩에 정착하였다.[1]

2. 4. 홍콩에서의 죽음

1940년에 동료 소설가인 돤무훙량과 결혼하면서, 당시 영국령이었던 홍콩에 정착하였다. 그러나 이내 중일전쟁의 여파가 홍콩까지 미쳤고, 결국 1942년에 전쟁의 혼란 속에서 홍콩의 세인트스티븐스 여자 중학교에서 사망하였다. 1941년에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하자 홍콩 각지를 옮겨 다니며 요양했지만, 다음 해인 1942년프랑스계 병원이 임시 요양 시설로 사용하던 여학교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녀는 1942년 1월 22일, 전쟁 중 혼란스러운 홍콩의 성 스테판 여학교 임시 병원에서 사망했다. 1942년 1월 25일 해 질 녘 홍콩 리펄스 베이에 묻혔으며, 1957년 8월 그녀의 묘는 광저우로 이장되었다.

3. 작품 세계

샤오훙은 단편 소설, 에세이, 산문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초기에는 챠오 인(喬蔭)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생사장을 발표하면서 현재 알려진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샤오훙의 주요 작품
제목출판 연도설명
생사장1934루쉰으로부터 "예리한 관찰력과 뛰어난 문체"라는 평가를 받음.[3][2]
마보러1940칭다오와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 풍자 소설.[1]
훌란허 전1942개인의 역사와 지역의 역사를 엮는 전례 없는 시도를 보여줌.[1]
루쉰 선생을 회상하며1940회상록
고통받는 노동하는 육체를 그린 문학 작품으로 중요한 텍스트.[4]


3. 1. 여성의 삶과 억압

샤오훙은 1911년 6월 1일 단오절에 훌란 현(현재의 헤이룽장성)의 부유한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1] 아홉 살에 어머니를 여의었고, 아버지의 차가운 성격과 달리 할아버지로부터 따뜻함과 사랑을 받았다.[1] 1927년 하얼빈의 여자 학교에 다니면서 5·4 운동의 영향을 받아 진보적인 사상과 문학을 접했다.[1]

샤오훙은 아버지와의 관계 때문에 훗날 연인 관계에서 소중히 여겨지거나 버림받는 극단적인 경험을 반복했다.[1] 1929년, 아버지의 강요로 왕언자(王恩甲)와 정략결혼을 할 위기에 처하자 집을 떠났다.[1] 샤오훙은 "초겨울"(初冬)에서 "나는 그런 종류의 집으로 돌아갈 수 없다. 나를 반대하는 아버지의 지원을 받는 것은 원치 않는다."라고 썼다.[2]

1932년, 왕언자는 임신한 샤오훙을 호텔에 버리고 떠났고, 샤오훙은 아이를 입양 보냈다.[1] 절망에 빠진 그녀는 지역 신문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를 계기로 샤오쥔(본명: 류훙린)을 만났다.[1] 샤오쥔은 그녀의 재능에 매료되어 1932년 8월부터 두 사람은 함께 살았다.[1]

1938년, 샤오훙은 두안무훙량과 사랑에 빠져 샤오쥔과의 관계를 끝내고, 같은 해 5월 우한에서 두안무훙량과 결혼했다.[1]

3. 2. 자전적 글쓰기

샤오훙은 1979년 출판된 자서전 "영원한 동경과 추구"에서 "아버지는 종종 탐욕 때문에 인간성을 잃었다. 그는 하인, 자녀, 그리고 나의 할아버지를 똑같이 인색하고 냉대했으며, 심지어 무자비하게 대했다."라고 썼다.[1] 샤오훙은 아버지가 자신을 때린 후 할아버지 방에 숨곤 했는데, 할아버지는 그녀를 쓰다듬으며 "어서 커라! 크는 게 좋은 거야."라고 말했다.[1]

샤오훙은 "초겨울"에서 "나는 그런 종류의 집으로 돌아갈 수 없다. 나를 반대하는 아버지의 지원을 받는 것은 원치 않는다."라고 썼다.[2]

3. 3. 주요 작품


  • (1933). 샤오홍의 첫 출판 소설로, 챠오 인(喬蔭)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1]
  • (1933). 샤오홍과 샤오쥔이 공동으로 출판한 단편 소설 및 에세이 모음집이다.[1]
  • 생사장 (1934). 샤오홍의 데뷔 소설로, 칭다오에서 집필되었다.[3] 루쉰은 이 작품에 대해 "예리한 관찰력과 뛰어난 문체"라고 평했다. 이 작품은 샤오홍이 현재 알려진 필명을 처음 사용한 작품이며, 그녀의 인기가 시작된 작품으로 기록된다.[2]
  • (1936). 샤오홍의 스케치 작품이다.[1]
  • (1936). 하얼빈에서 샤오쥔과 함께 보낸 첫 2년 동안의 일상적인 사건들을 그린 스케치 모음집이다.[1]
  • (1940).
  • 마보러() (1940). 칭다오와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 풍자 소설이다.[1]
  • 훌란허 전 (1942). 개인의 역사와 지역의 역사를 엮는 전례 없는 시도를 보여주면서 현대 중국 문학 연구자들에게 딜레마를 제시했다.[1]
  • . 고통받는 노동하는 육체를 그린 문학 작품으로 중요한 텍스트이다.[4]




4. 샤오훙을 연기한 배우

5. 한국어 번역

출판 연도번역서 제목출판사번역자비고
1980년"손(手)"과 "가족 밖 사람(家外人)"이현정《현대 중국 소설 선집》 수록
2011년 9월 22일《생사의 장》시공사이현정
2022년 3월 19일《가족이 아닌 사람》문학과지성사이현정


참조

[1] 서적 Chinese Fiction Writers, 1900-1949 2007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Routledge 2016
[3] 웹사이트 Xiao hong's field of life and death https://public.ebook[...]
[4] 간행물 Retrieving the Working Body in Modern Chinese Fiction: The Question of the Ethical in Representation http://www.jstor.org[...] 2004
[5] 논문 Full Spectrum of Selves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From Lu Xun to Xiao Hong https://escholarship[...] UCLA 2012
[6] 문서 林(2019)まえがき1ページ
[7] 문서 林(2019)まえがき1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