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메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메이어는 기니와 기니비사우의 언어이며, 와메이, 코니아기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음은 파열음, 내파음, 비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설측 접근음으로,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의 언어 - 만딩카어
    만딩카어는 서부 만데어군에 속하는 만데어족 언어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5모음 체계와 고저 성조를 가지지만 지역에 따라 높낮이 강세 체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 기니의 언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 대서양 제어 - 월로프어
    월로프어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라틴 문자와 볼로팔 표기법을 사용하고, 시제 대신 동작의 상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대서양 제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 세네갈의 언어 - 만딩카어
    만딩카어는 서부 만데어군에 속하는 만데어족 언어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5모음 체계와 고저 성조를 가지지만 지역에 따라 높낮이 강세 체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 세네갈의 언어 - 월로프어
    월로프어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라틴 문자와 볼로팔 표기법을 사용하고, 시제 대신 동작의 상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와메이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와메이어
자기 이름Konyagi
사용 국가기니
세네갈
사용자 수38,000명 (2014-2015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어군대서양 제어
하위 어군세네갈감비아어군
세부 어군텐다어군
언어 코드
ISO 639-3cou
Glottologwame1240

2. 다른 이름

와메이어(Wamay, Wamei), 코니아기어(Konyagi, Coniagui, Conhague, Koniagui) 등으로 불린다.

3. 음운

와메이어는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연구개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을 갖는다.[3]

3. 1. 자음

와메이어에는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연구개음 등의 자음이 있다. 이들은 각각 파열음, 내파음, 비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설측 접근음으로 더 세분화된다.[3]

3. 1. 1. 자음 목록

와메이어 자음[3]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연구개음
파열음p b mp mbt d nt ndc ɟ ɲc ɲɟk ɡ ŋk ŋgkw gw ŋkw
유성 내파음ɗʄ
비음mnɲŋŋw
전동음r r̠̙
마찰음ɸ βsxxw
접근음j j̃w w̃
설측 접근음l l̃


3. 1. 2. 자음 특징

와메이어 자음[3]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연구개음
파열음p, b, mp, mbt, d, nt, ndc, ɟ, ɲc, ɲɟk, ɡ, ŋk, ŋgkw, gw, ŋkw
유성 내파음ɗʄ
비음mnɲŋŋw
전동음r, r̠̙
마찰음ɸ, βsxxw
접근음j, j̃w, w̃
설측 접근음l, l̃


3. 2. 모음

와메이어는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을 갖는다.[3]

3. 2. 1. 모음 목록

와메이어 모음[3]
전설중설후설
폐모음i|이undu|우und
중모음ɛ|에undə|어und
근저모음æ|애undɔ|오und
저모음a|아und


3. 2. 2. 모음 특징

와메이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3]

와메이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폐모음iu
중모음ɛə
개중모음æɔ
개모음a


  • 폐모음(閉母音, 닫힌모음): 혀의 위치를 최대한 입천장에 가깝게 하여 발음하는 모음이다. i, u가 있다.
  • 중모음(中母音, 중간모음): 혀의 위치를 폐모음과 개모음의 중간 높이로 하여 발음하는 모음이다. ɛ, ə가 있다.
  • 개중모음(開中母音, 중간열린모음): 혀의 위치를 중모음보다 조금 더 낮게 하여 발음하는 모음이다. æ, ɔ가 있다.
  • 개모음(開母音, 열린모음): 혀의 위치를 최대한 아래로 내려서 발음하는 모음이다. a가 있다.

참조

[1] 뉴스 Wamey https://www.ethnolog[...] 2018-08-11
[2] 서적 Guinea Languages of the Atlantic group: description and internal classification Peter Lang 2007
[3] 서적 Phonologie et Morphotonologie de la Langue Wey (Konyagi) https://phoible.org/[...] Centre de Linguistique Appliquée de Dakar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