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딩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딩카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된다. 파마, 만사 등의 칭호가 사용되며,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N'Ko 문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5개의 단모음과 장모음이 존재하며, 두 가지 성조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비아의 언어 - 월로프어
    월로프어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라틴 문자와 볼로팔 표기법을 사용하고, 시제 대신 동작의 상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감비아의 언어 - 만딩어
    만딩어는 서아프리카에서 약 910만 명이 사용하는 만데어족 언어군으로, 밤바라어, 만딘카어, 마닝카어, 줄라어 등이 있으며 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로 표기된다.
  • 기니의 언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 기니의 언어 - 마닝카어
    마닝카어는 기니 중앙 고원에서 사용되며, 자음과 모음 체계, 4가지 성조를 가지고 로마자를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 기니비사우의 언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 기니비사우의 언어 - 바사리어
    바사리어는 세네갈과 기니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텐다바사리어, 비얀어 등으로도 불리며 각 지역에서 고유한 표기 체계를 사용한다.
만딩카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만딩카어
다른 이름만딩고, ,
원어 이름Mandi'nka kango
로마자 표기Mandi'nka kango
사용 국가
국가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기니
지역카자망스
민족만딩카족
소수 언어 국가세네갈
언어 통계
전체 화자 수211만 4천명 (2017-2022년)
2006년 화자 수134만 6천명
언어 분류
어족니제르콩고어족 ?
어파만데어파
어군서부 만데어군
하위 어군만딩어군, 서부 만딩어군
문자 체계
문자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 가라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mnk
Glottologmand1436
Linguasphere00-AAA-aa
Glottolog 참조 이름만딩카어
기타
발음 표기법IPA

2. 호칭


  • 파마: "아버지", "지도자", 또는 "왕"을 의미한다.
  • 만사: "술탄", "왕" 또는 "황제"를 의미한다.


다음은 혼동될 수 있는 다른 명칭이다.

  • 만데(Mande)
  • 만딩(Manding)
  • 만딩고(Mandingo)
  • 만딩게(Mandingue)
  • 만댕크(Mandinque)
  • 소세(Socé)

3. 언어 계통

만데어족에 속하며, 만딩어군 중 하나로 여겨진다. 만데어족은 니제르콩고어족에 포함된다는 설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만데어'''파'''라고 부른다(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만딩카어는 만딩어군 중에서도 서부 만딩어군에 분류된다. 밤바라어를 대표로 하는 동부 만딩어군의 7모음 체계와 달리, 만딩카어를 포함한 서부 만딩어군은 5모음 체계이다.

서부 만딩어군에는 자항카어, 카손케어, 키타만딩카어(북 마닌카어가 아니며, 마닌카어와는 다소 먼 친척 관계이다) 등이 있다.

4. 음운

만딩카어는 카사망스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기준으로 하며,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 p, g는 프랑스어계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r은 외래어와 의성어에서만 나타난다. 때로는 모음과 모음 사이의 d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짧은 소리 5개(a, e, i, o, u)와 긴 소리 5개(aa, ee, ii, oo, uu)가 있다.

만딩카어는 높낮이 두 가지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어미가 변형되지 않은 명사는 모든 음절이 높은 성조이거나 모든 음절이 낮은 성조이다. 정관사 접미사 '-o'는 높은 성조 명사에서는 낮은 성조를, 낮은 성조 명사에서는 떨어지는 성조를 취한다. 또한 앞선 짧은 모음을 동화시켜 낮은 성조 또는 떨어지는 성조를 가진 긴 /oo/를 만든다. 앞선 긴 높은 모음을 단축시키거나(ii > io, uu > uo; ee는 선택적으로 eo 또는 ee가 됨) 자신을 동화시켜(aa는 aa로 남음) 성조만 남긴다.[1]

  • /búŋ/ '방' > /búŋò/ '그 방'
  • /tèŋ/ '야자수' > /tèŋô/ '그 야자수'
  • /kídí/ '총' > /kídòò/ '그 총'
  • /kòrdàà/ '집' > /kòrdáà/ '그 집'


세네갈감비아에서는 높낮이 강세 체계에 접근하고 있으며, 월로프어, 세레르어, 욜라어족과 같은 지역의 무성조 언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성조 체계는 기니비사우, 기니, 세네갈 동부에서 사용되는 동부 및 남부 만딩카 방언(틸리보)에서 더욱 견고하게 남아 있다. 이러한 보수적인 방언들은 마닌카어(한때 말리 제국의 공용어였음), 밤바라어, 수수어와 같은 다른 보수적인 만딩어와 융합된다. 이들 언어는 모두 감비아와 세네갈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서부 만딩카 방언에서 약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서아프리카 계단식 하강 성조를 보존하고 있다.

4. 1. 음절 구조

만딩카어는 다음과 같은 음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 V (모음만)
  • CiV (초성 자음+모음)
  • CiVCf (초성 자음+모음+종성 자음)


고유어에서 종성 자음(Cf)은 /ŋ/뿐이다. 이는 일본어의 발음(撥音)과 마찬가지로, 뒤따르는 자음의 역행 동화를 받아 /ns, nc, mb/로 발음된다. 프랑스어 계열 차용어의 종성 자음(Cf)에는 /r, s/가 있을 수 있다(예: /kù'''r'''tù/ ‘바지’).[1]

4. 2. 닿소리 (자음)

만딩카어의 닿소리(자음)는 다음과 같다.


  • p, g는 프랑스어계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r은 외래어와 의성어에서만 나타난다. 때로는 모음과 모음 사이의 d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로마자 표기법의 자음과 IPA(국제 음성 기호)가 다를 경우, IPA 표기를 괄호 안에 나타내었다.


  • /g/와 /p/는 프랑스어 차용어에서 발견된다.
  • /r/은 차용어 및 의성어에서 어두에만 나타난다. 그렇지 않으면 [r]은 /d/의 자간 변이음이다.


'네!'(대답)를 의미하는 ''nnààm''이나 "나, 나를"을 의미하는 ''ŋte''와 같이, 음절을 이루는 비음이 나타난다. 어두에 ''mb, nd, ndy, ng''가 나타나지만 특히 흔하지는 않다. 이것들을 음절을 이루는 비음으로 간주해야 할지, 아니면 추가적인 자음으로 간주해야 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자음은 단어의 중간에서 연음될 수 있다(/pp, tʃtʃ, dʒdʒ, kk, ll, mm, nn, ɲɲ/ 등). 고유어에서 음절 말에 나타나는 다른 자음은 ŋ뿐이며, 이것은 다음 자음에 동화된다. (예: /ŋs, ŋtʃ, ŋb/ → [ns, ɲtʃ, mb]). 음절 말의 /r/과 /s/는 프랑스어 차용어에서 발견된다(예: /kùrtù/ '바지').

4. 3. 홀소리 (모음)

짧은 소리 5개(a, e, i, o, u)와 긴 소리 5개(aa, ee, ii, oo, uu)가 있다. 만딩카어는 높낮이 두 가지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어미가 변형되지 않은 명사는 모든 음절이 높은 성조이거나 모든 음절이 낮은 성조이다. 정관사 접미사 '-o'는 높은 성조 명사에서는 낮은 성조를, 낮은 성조 명사에서는 떨어지는 성조를 취한다. 또한 앞선 짧은 모음을 동화시켜 낮은 성조 또는 떨어지는 성조를 가진 긴 /oo/를 만든다. 앞선 긴 높은 모음을 단축시키거나(ii > io, uu > uo; ee는 선택적으로 eo 또는 ee가 됨) 자신을 동화시켜(aa는 aa로 남음) 성조만 남긴다.[1]

/búŋ/ '방' > /búŋò/ '그 방'[1]

/tèŋ/ '야자수' > /tèŋô/ '그 야자수'[1]

/kídí/ '총' > /kídòò/ '그 총'[1]

/kòrdàà/ '집' > /kòrdáà/ '그 집'[1]

모음의 음질은 /i e a o u/mul이다. 모두 장음과 단음이 존재한다. 비음 모음은 없으며, 대신 종지 자음 /ŋ/이 있다. 장음은 이중으로 표기한다: ''aa'', ''ee'', ''ii'', ''oo'', ''uu''.[1]

만딩카어 모음 체계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모음의 성질은 위와 같다. 모두 장모음을 가진다. 밤바라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비음은 없으며, 그것에 대응하는 종지음 /ŋ/이 존재한다.[1]

4. 4. 성조

만딩카어는 높낮이 두 가지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어미가 변형되지 않은 명사는 모든 음절이 높은 성조이거나 모든 음절이 낮은 성조이다. 정관사 접미사 '-o'는 높은 성조 명사에서는 낮은 성조를, 낮은 성조 명사에서는 떨어지는 성조를 취한다. 또한 앞선 짧은 모음을 동화시켜 낮은 성조 또는 떨어지는 성조를 가진 긴 /oo/를 만든다. 앞선 긴 높은 모음을 단축시키거나(ii > io, uu > uo; ee는 선택적으로 eo 또는 ee가 됨) 자신을 동화시켜(aa는 aa로 남음) 성조만 남긴다.

  • /búŋ/ '방' > /búŋò/ '그 방'
  • /tèŋ/ '야자수' > /tèŋô/ '그 야자수'
  • /kídí/ '총' > /kídòò/ '그 총'
  • /kòrdàà/ '집' > /kòrdáà/ '그 집'


세네갈감비아에서는 높낮이 강세 체계에 접근하고 있으며, 월로프어, 세레르어, 욜라어족과 같은 지역의 무성조 언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성조 체계는 기니비사우, 기니, 세네갈 동부에서 사용되는 동부 및 남부 만딩카 방언(틸리보)에서 더욱 견고하게 남아 있다. 이러한 보수적인 방언들은 마닌카어(한때 말리 제국의 공용어였음), 밤바라어, 수수어와 같은 다른 보수적인 만딩어와 융합된다. 이들 언어는 모두 감비아와 세네갈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서부 만딩카 방언에서 약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서아프리카 계단식 하강 성조를 보존하고 있다.

5. 문자

만딩카어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널리 사용하는데, 라틴 문자가 공식 문자이지만 아랍 문자가 더 널리 사용되고 역사도 더 오래되었다.[2] 1949년에 고안된 만딩어족 공통 문자 체계인 N'Ko 문자는 기니비사우, 기니 북동부, 코트디부아르말리의 국경 지역 공동체에서 자주 사용된다.[2] 이 외에도, 원래 볼로프어를 위해 개발된 Garay 알파벳도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

5. 1. 라틴 문자 표기

만딩카어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는데, 라틴 문자가 공식적인 표기법이지만 아랍 문자가 더 오래되었고 널리 사용된다.[2] 1949년에 고안된 만데어족의 공통 문자인 N'Ko 문자도 사용된다.[2]

국제 음성 기호에서 c는 로, ñ은 로 표기되며, v, x, z, q는 사용되지 않는다. 모음은 스페인어와 같고, 길이가 두 배인 경우도 있다.

아랍 문자 표기에서는 특수 문자를 사용하지 않지만(드물게 'e'에 특수 모음 문자가 사용되는 예외가 있음), 일부 문자는 아랍어와 다른 발음을 한다.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아랍 문자اعبتطضجهحخدرسشصثظڢلمنويكلا
라틴 문자('), aa, ee( 마다(madda)'' ŋ)b, ptttc, jhhdrss (sh)sssflmn, ñ, ŋwyk, gla



기울임꼴로 표시된 문자는 일반적으로 고유 만딩카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ه (h)는 라틴 문자에는 표기되지 않는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라틴 문자의 ŋ은 아랍 문자에서는 모음 기호로 자주 표기된다.

모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구별적인 발음 기호는 아랍 문자 자음의 위나 아래에 붙는다).

아랍 문자ـَـِـُـْـִـًـٍـٌـَاـِيـُو
라틴 문자a, ei, e, eeo, u(다음 모음 없음)eaŋ, eŋiŋ, eeŋ, eŋoŋ, uŋaaiioo, uu
만딩카어 아랍어 표기 이름:sira tilidiŋo;sira tilidiŋo duuma;ŋoo biriŋo;sira murumuruliŋo;tambi baa duuma;sira tilindiŋo fula;sira tilindiŋo duuma fula;ŋoo biriŋo fula.



또한, 작은 아랍 숫자 2(۲)는 중복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함자(hamza)''는 아랍어와 같이 성문 폐쇄음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5. 2. 아랍 문자 표기

만딩카어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이는 라틴 문자보다 더 오래되고 널리 사용된다. 아랍 문자 표기에서는 추가적인 문자를 사용하지 않지만(드물게 'e'에 대한 추가 모음 표기를 제외하고), 일부 문자는 아랍어와는 다르게 발음된다.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의 자음 대응은 다음과 같다.

아랍 문자라틴 문자
ا('), aa, ee
ع( 마다(madda)'' ŋ)
بb, p
تt
طt
ضt
جc, j
هh
حh
خ
دd
رr
سs
شs (sh)
صs
ثs
ظs
ڢf
لl
مm
نn, ñ, ŋ
وw
يy
كk, g
لاla



기울임꼴로 표시된 문자는 일반적으로 고유 만딩카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ه (h)는 라틴 문자에는 표기되지 않는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라틴 문자의 ŋ은 아랍 문자에서는 모음 기호로 자주 표기된다.

모음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아랍어에서는 자음 위 또는 아래에 부호가 붙는다).

아랍 문자라틴 문자만딩카어 아랍어 표기 이름
ـَa, esira tilidiŋo
ـِi, e, eesira tilidiŋo duuma
ـُo, uŋoo biriŋo
ـْ(다음 모음 없음)sira murumuruliŋo
ـִetambi baa duuma
ـًaŋ, eŋsira tilindiŋo fula
ـٍiŋ, eeŋ, eŋsira tilindiŋo duuma fula
ـٌoŋ, uŋŋoo biriŋo fula
ـَاaa
ـِيii
ـُوoo, uu



또한, 작은 아랍 숫자 2(۲)는 중복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함자(hamza)''는 아랍어와 같이 성문 폐쇄음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6. 칭호


  • 파마: "아버지", "지도자", 또는 "왕"
  • 만사: "술탄", "왕" 또는 "황제"

참조

[1] 서적 Parlons Mandinka 2003
[2]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Garay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UC Berkeley Script Encoding Initiative (Universal Scripts Project)/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2-04-26
[3] ethnolog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