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로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로프어는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세네갈에서는 프랑스어가 공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80% 이상이 월로프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며, 감비아와 모리타니에서도 상당수의 인구가 월로프어를 사용한다.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과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볼로팔이라는 표기법이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시제 대신 동작의 상을 중심으로 표현하며, 동사의 어간은 변하지 않고, 인칭 대명사를 활용하여 시제와 상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리타니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감비아의 언어 - 만딩카어
    만딩카어는 서부 만데어군에 속하는 만데어족 언어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5모음 체계와 고저 성조를 가지지만 지역에 따라 높낮이 강세 체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 감비아의 언어 - 만딩어
    만딩어는 서아프리카에서 약 910만 명이 사용하는 만데어족 언어군으로, 밤바라어, 만딘카어, 마닝카어, 줄라어 등이 있으며 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로 표기된다.
  • 대서양 제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 대서양 제어 - 바사리어
    바사리어는 세네갈과 기니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텐다바사리어, 비얀어 등으로도 불리며 각 지역에서 고유한 표기 체계를 사용한다.
월로프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월로프어
고유 이름Wolof làkk
وࣷلࣷفْ لࣵکّ
지역세네감비아
사용 국가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
민족월로프족
모국어 화자 수713만 9820명 (2013–2021년)
제2언어 화자 수1550만 6280명 (2021년)
언어 계통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군
서대서양어군
세네감비아어군
풀라-월로프어군
문자라틴 문자 (월로프 문자)
아랍 문자 (월로팔)
가라이 문자
언어 기관다카르 응용 언어학 센터
ISO 639-1wo
ISO 639-2wol
ISO 639-3wol
wof
Glottologwolo1247
방언
방언바올
카요르
졸로프
레부
잔데르
다카르 월로프어
지위
공용어세네갈

2. 지리적 분포

Wolof 제국의 영토


월로프어는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 등 서아프리카 3개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특히 세네갈에서는 인구의 40%가 모국어로 사용하며, 제2 언어 사용자까지 포함하면 80% 이상이 월로프어를 사용한다. 감비아와 모리타니에서도 월로프어 사용자가 상당수 존재한다.

세 나라의 월로프어는 서로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며, 차용어 또한 각각의 옛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어영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어에서는 서로 이해가 가능하다.[39]

국가모어 화자 비율제2 언어 화자 포함 비율비고
세네갈40%80% 이상다카르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
감비아20~25%-수도 반줄에서 75%가 모국어로 사용
모리타니7%-세네갈 강 근처에 거주


2. 1. 세네갈



세네갈 인구의 약 40%(약 500만 명)가 월로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수도 다카르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된다. 제2 언어 사용자까지 포함하면 인구의 80% 이상이 월로프어를 사용한다.[39] 다카르에서 세인트루이까지의 지역과 카올락의 서쪽과 남서쪽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월로프어를 사용한다. 세네갈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도시에서 만나면 월로프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세네갈의 거의 모든 지역 및 부 수도에서 사용된다. 세네갈의 공용어는 프랑스어이지만, 국민의 90% 이상이 월로프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월로프어의 "초민족어"적인 상황은 "월로프화"(wolofization)라고도 불린다.[39]

2. 2. 감비아

감비아에서는 인구의 약 20~25%가 월로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만, 수도 반줄에서는 인구의 75%가 월로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므로 영향력이 크다.[39] 감비아 최대 도시 세레쿤다에서는 월로프족은 소수이지만, 인구의 약 70%가 월로프어를 사용하거나 이해한다.

2. 3. 모리타니

모리타니에서는 인구의 약 7%(약 )가 월로프어를 사용한다. 대부분은 모리타니가 세네갈과 공유하는 세네갈 강 근처 또는 강변에 거주한다.[39]

3. 언어 분류

월로프어는 세네감비아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며, 자음 변화가 특징이다.[5] 윌슨(1989)이 사피르(1971)의 자료를 잘못 해석하여 오랫동안 대서양어군 분류에 사용되어 온 자료 때문에, 풀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종종 이야기된다.

4. 방언

세네갈/모리타니아식 월로프어와 감비아식 월로프어는 서로 다른 국가 표준어이다. 이들은 다른 정서법을 사용하며, 기술적 외래어의 출처로서도 서로 다른 언어(프랑스어 대 영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어와 문어 모두 상호 이해 가능하다. 반면 레부어는 표준 월로프어 화자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언어이다. 모든 레부어 화자가 표준 월로프어를 이중언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점은 모호해졌다.[6]

5. 문자 및 표기법

월로프어 문자 표기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라틴 문자 표기법, 아랍 문자를 사용한 월로팔(wolofal) 표기법, 그리고 가라이 문자이다.


  • '''라틴 문자 표기법:''' 1971년부터 1985년 사이에 세네갈 정부 법령으로 제정되었으며, 다카르 응용언어학 센터(CLAD)가 공인 기관이다. 대부분의 월로프어 표기에 사용되며, 음소와 글자가 일대일 대응된다.
  • '''월로팔(wolofal) 표기법:''' 아랍 문자 기반으로, 식민지 이전부터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슬람 학자들이 사용한다.
  • '''가라이 문자:''' 1961년 아사네 파예가 발명했으며, 소수 사용자만 사용한다.


단어의 첫 음절은 강세를 받는다. 긴 모음은 발음 시간이 더 길지만, 영어처럼 자동 강세가 되지는 않는다. 현재는 라틴 문자 표기법이 주로 쓰이지만, 프랑스어식 표기도 널리 사용되어 혼란이 있다. 월로팔은 이슬람 지식인층에서만 사용되어, 일반 세네갈 사람들의 문자 생활과는 거리가 있었다.

5. 1. 라틴 문자 표기법

예루살렘에 있는 주기도문이 라틴 문자로 쓰인 볼로프어로 적혀 있습니다. 'ë', 'é', 'à', 'ñ'과 같은 문자가 보이고, 겹자음과 긴 이중 모음도 보입니다.


세네갈의 볼로프어 라틴 문자 표기법은 1971년부터 1985년 사이에 정부 법령에 의해 설정되었다.[7][8][9] 다카르 응용언어학 센터(CLAD)는 볼로프어 철자 규칙에 대한 권위 있는 기관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볼로프어는 대부분 이 표기법으로 작성되며, 음소는 글자와 명확하게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H, V, Z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7][8][9]

볼로프어 라틴 알파벳과 해당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 강조 표시된 문자는 외래어에만 사용되며, 원어 볼로프어 단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볼로프어 라틴 알파벳
A aÀ àB bC cD dE eÉ éË ëF fG gH hI iJ jK kL lM m
()
N nÑ ñŊ ŋO oÓ óP pQ qR rS sT tU uV vW wX xY yZ z
()()


5. 2. 아랍 문자 표기법 (월로팔)

아랍 문자 기반의 월로프어 문자는 볼로팔이라고 하며, 식민지 이전 시대부터 월로프어에 채택된 최초의 문자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10] 주로 이맘과 그들의 학생들이 코란과 이슬람 학교에서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세네갈 교육부의 노력이 다국적 표준화 노력의 일부가 되기로 되어 있었지만, 법령으로 채택된 적은 없고 1985년에서 1990년 사이에 정부에서도 설정되었다.[10]

볼로팔(아랍) 알파벳[11][12]
ا|∅/ʔarب|barݒ|parت|tarݖ|carث|sarج|ɟarح|harخ|xarد|darذ|ɟ~zar
ر|rarز|ɟ~zarس|sarش|s~ʃarص|sarض|darط|tarظ|ɟ~zarع|ʔarغ|ɡarݝ|ŋar
ف|farق|qarک|karگ|ɡarل|larم|marن|narݧ|ɲarه|harو|warي|jar



단어 앞 모음
AÀËEÉIOÓU
짧은 모음
اَ|aarاࣵ|àarاࣴ|ëarاࣹ|earاࣺ|éarاِ|iarاࣷ|oarاࣸ|óarاُ|uar
긴 모음
AaËeEeÉeIiOoÓoUu
آ|aaarاࣴعࣴـ / اࣴعࣴ|ëearاࣹيـ / اࣹي|eearاࣺيـ / اࣺي|éarاِيـ / اِي|iiarاࣷو|ooarاࣸو|óoarاُو|uuar



단어 중간 또는 끝 모음
aàëeéioóu
짧은 모음
◌َ|aar◌ࣵ|àar◌ࣴ|ëar◌ࣹ|ear◌ࣺ|éar◌ِ|iar◌ࣷ|oar◌ࣸ|óar◌ُ|uar◌ْ|∅ar
긴 모음
aaëeeeéeiiooóouu
◌َا|aaar◌ࣴعࣴـ / ◌ࣴعࣴ|ëear◌ࣹيـ / ◌ࣹي|eear◌ࣺيـ / ◌ࣺي|éear◌ِيـ / ◌ِي|iiar◌ࣷو|ooar◌ࣸو|óoar◌ُو|uuar


5. 3. 가라이 문자

아사네 파예가 1961년에 발명한 가라이라는 또 다른 알파벳 문자가 있으며, 소수의 월로프어 사용자들이 채택했다.[13][14]

6. 음운

월로프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40]

하위 섹션에서 모음과 자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오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간다.

6. 1. 모음

월로프어에는 9개의 단모음과 7개의 장모음이 있다.[40]

월로프어 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iwoiː|iːwo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u|uwouː|uːwo
중고모음e|ewoeː|eːwo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o|owooː|oːwo
중모음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ə|əwo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
중저모음ɛ|ɛwoɛː|ɛːwo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ɔ|ɔwoɔː|ɔːwo
저모음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a|awoaː|aːwostyle="background-color:gray" |style="background-color:gray" |

[15]

모든 모음은 장모음(겹쳐서 쓰임) 또는 단모음일 수 있다.[16] aː|aːwo는 긴(전비음화 또는 이중) 자음 앞에서 à로 표기된다 (예: ''làmbi'' "투기장"). ''é''와 ''ó''가 겹쳐 쓰일 때는, 악센트 표시가 종종 첫 번째 문자에만 있다.

모음은 조화되는 두 가지 집합으로 ATR에 따라 분류된다. ''i u é ó ë''는 +ATR이고, ''e o a''는 ''é ó ë''의 −ATR 대응어이다. 예를 들어,[17]


  • Lekk-oon-ngeen (lɛkːɔːnŋɡɛːn|lɛkːɔːnŋɡɛːnwo) : '너희들은 먹었다.'
  • Dóor-óon-ngéen (doːroːnŋɡeːn|doːroːnŋɡeːnwo) : '너희들은 쳤다.'


고모음 ''i u''의 −ATR 대응어는 없다. 이들은 어근에 나타날 때 접미사에서 +ATR 조화를 유발하지만, 접미사에서는 모음 조화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일부 접미사나 접사의 모음은 앞선 모음과 조화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뒤따르는 모음은 이들과 조화된다. 즉, 마치 별개의 단어인 것처럼 조화를 재설정한다. 그러나 접미사/접사에 고모음(+ATR)이 포함되어 −ATR 어근 뒤에 나타나는 경우, 추가적인 접미사는 어근과 조화된다. 즉, +ATR 접미사/접사는 모음 조화에 대해 "투명"하다. 예를 들어, 다음의 부정 접미사 ''-u-''를 살펴보면,

  • Door-u-ma-leen-fa (dɔːrumalɛːnfa|dɔːrumalɛːnfawo) : '나는 거기서 그것들을 시작하지 않았다.'


여기서 조화는 ''*door-u-më-léén-fë''를 예측할 것이다. 즉, 'I 또는 U'는 마치 자체 −ATR 대응어인 것처럼 동작한다.

월로프어의 9개 단모음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에 각각 3개씩 배치된다. 특히 까다로운 것은 e와 é, o와 ó, a와 à의 구분이지만, 입의 개구도 차이로 인식하면 된다.

7개의 장모음은 aa, ii, uu, ée, óo, ee, oo가 있다.

6. 2. 자음

단어 앞에 오는 자음은 다음과 같다.[18]

'''월로프어 자음'''
colspan=2 |입술소리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mwon|nwoñ|ɲwoŋ|ŋwo[19]
파열음선비음화mb|ᵐbwond|ⁿdwonj|ᶮɟwong|ᵑɡwo
울림소리b|bwod|dwoj|ɟwog|ɡwo
안울림소리p|pwot|twoc|cwok|kwoq|qwoʔ|ʔwo
마찰음f|fwos|swox|xwo~χ|χwo
전동음r|rwo
유성접근음w|wwol|lwoy|jwo



'q'와 성문 파열음을 제외한 모든 단순 비음, 구강 파열음, 그리고 유성 접근음 'l r y w'는 겹자음(이중 자음)이 될 수 있지만, 겹자음 'r'은 의성어에만 나타난다.[20][21] 겹자음은 두 번 쓰여 표기된다. 'q'는 본질적으로 겹자음이며, 단어 앞에 올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겹자음과 자음군, 'nt, nc, nk, nq'는 단어 중간과 끝에만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단어 끝에서 겹자음은 미약한 삽입 중모음이 뒤따를 수 있다.

위 표의 자음 중 'p d c k'는 중간이나 끝 위치에 나타나지 않으며, 'f r s' 또는 영(零)으로 대체된다. 비록 겹자음 'pp dd cc kk'는 일반적이지만 말이다. 음성학적인 'p c k'는 끝에 나타나지만, 마지막 무성화 때문에 'b j g'의 동위변이음으로만 나타난다.

최소 대립쌍:[22][23]

bët ("눈") - bëtt ("찾다")
boy ("불이 붙다") - boyy ("희미하게 빛나다")
dag ("왕실의 종") - dagg ("자르다")
dëj ("장례식") - dëjj ("음란한 여자")
fen ("거짓말하다") - fenn ("어딘가, 어디에도 없음")
gal ("백금") - gall ("토하다")
goŋ ("개코원숭이") - goŋŋ (침대의 일종)
gëm ("믿다") - gëmm ("눈을 감다")
Jaw (성씨) - jaww ("천국")
nëb ("썩은") - nëbb ("숨기다")
woñ ("실") - woññ ("세다")



월로프어에는 단자음과 중자음의 구분이 있다. 단자음은 어말에서는 파열을 개방하지 않지만, 중자음에서는 파열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다.

7. 문법

월로프어는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시제가 아니라 동작의 상(aspect)을 기준으로 문법이 구성된다.[42] 동사는 활용되지 않으며, 대신 대명사를 사용하여 인칭, 상, 시제, 초점을 표시한다.[25]

월로프어는 문법적 성을 표시하지 않으며, 영어의 'he', 'she', 'it'을 포함하는 하나의 대명사가 있다. 명사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표지(일반적으로 "정관사"라고 한다)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한다. 월로프어에는 최소한 열 개의 관사가 있으며, 다카르와 같은 대도시에서 사용되는 도시 월로프어에서는 실제 관사를 알 수 없는 경우 '''-bi'''가 일반적인 관사로 자주 사용된다.

월로프어는 동사 앞뒤에 상을 나타내는 어휘를 붙여 문법을 구성한다.[42] 예를 들어 'dem'(가다) 앞에 'damay'를 붙이면 진행이나 습관, 'dinaa'를 붙이면 미완료(미래)를 나타낸다.

월로프어에서는 시제나 상(相)을 표현하기 위해 인칭 대명사가 활용된다. 이를 '시상 대명사' 또는 '초점 형태'라고 부른다.[24] 시제는 부차적이며, 화자의 관점에서 본 동작의 상이 중요하다. 완료상(동작 완료)과 미완료상(동작 진행 중)이 가장 중요하며, 그 외에 동작의 반복성, 필연성, 행위자의 역할 강조 여부 등이 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활용은 시제가 아닌 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 대명사"가 더 적절한 용어일 수 있다.

과거 시제는 동사에 접미사 '-(w)oon'을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동사 뒤에 "na"를 붙이는 'na 활용'은 사건의 결과 측면을 보여준다. 행위 동사는 현재 완료, 상태 동사는 상태를 나타낸다.[43] 'la 활용'은 화자가 말하는 시점에 이미 끝난 행위를 나타내는 '완료형'이다.[44] 'la 활용'에 '미완료' 접미사 '-y'를 붙이면 가까운 미래, 진행 현재, 습관적 행위를 나타낸다.

월로프어의 숫자 체계는 오진법십진법을 기반으로 한다. 서수(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는 기수에 접미사 '''–éél'''(ayl 발음)을 붙여 만든다. 이 규칙의 예외는 "첫 번째"로, '''bu njëk'''이다.

7. 1. 특징

월로프어에는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의 두 가지 주요 동사 종류가 있다. 동사는 활용되지 않으며, 대신 대명사를 사용하여 인칭, 상(aspect), 시제, 초점을 표시한다.[25]

월로프어는 문법적 성으로서 자연 성을 표시하지 않는다. 영어의 'he', 'she', 'it'을 포함하는 하나의 대명사가 있다. '친구'를 뜻하는 ''xarit''이나 '남동생'을 뜻하는 ''rakk''과 같은 단어에는 그 사람의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bu góor'''(남성/남성적) 또는 '''bu jigéen'''(여성/여성적)이라는 서술어가 자주 추가된다.

명사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표지(일반적으로 "정관사"라고 한다)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한다. 월로프어에는 최소한 열 개의 관사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단수 명사를, 다른 일부는 복수 명사를 나타낸다. 다카르와 같은 대도시에서 사용되는 도시 월로프어에서는 실제 관사를 알 수 없는 경우 '''-bi'''가 일반적인 관사로 자주 사용된다.

프랑스어나 영어에서 차용된 명사는 '''-bi'''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utik-bi, xarit-bi'' "그 가게, 그 친구."


대부분의 아랍어 또는 종교 용어는 '''-Ji'''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Jumma-Ji, jigéen-ji'', "그 모스크, 그 소녀."


사람을 가리키는 네 개의 명사는 ''-ki/-ñi''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nit-ki, nit-ñi'', "그 사람, 그 사람들."


복수 명사는 ''-yi''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jigéen-yi, butik-yi'', "그 소녀들, 그 가게들."


기타 관사: "si, gi, wi, mi, li."

월로프어는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시제가 아니라 동작의 상(aspect)을 기준으로 문법이 구성된다. 그리고 동사 앞뒤에 상을 나타내는 어휘를 붙인다.

예를 들어, 동사 dem(가다) 앞에 "damay"를 붙이면 "나는 가고 있다"와 같은 진행이나 "나는 (항상) 간다"와 같은 습관을 나타내고, "dinaa"를 붙이면 "나는 (지금부터) 갈 것이다" 또는 "나는 갈 것이다"와 같은 미완료(즉, 미래)를 나타낸다.[42]

월로프어 동사 예시
미완료 현재형 (damay)미래형(미완료) (damay)현재 진행형 (대명사 + ngi + y + 동사)
damay dem ekool (나는 학교에 간다)dinaa dem ekool (나는 학교에 갈 것이다)Maa ngiy dem ekool (나는 학교에 가고 있다)
dangay dem ekool (너는 학교에 간다)dinga dem ekool (너는 학교에 갈 것이다)Yaa ngiy dem ekool (너는 학교에 가고 있다)
dafay dem ekool (그는/그녀는 학교에 간다)dina dem ekool (그는/그녀는 학교에 갈 것이다)Mu ngiy dem ekool (그는/그녀는 학교에 가고 있다)
danuy dem ekool (우리는 학교에 간다)dinanu dem ekool (우리는 학교에 갈 것이다)Nu ngiy dem ekool (우리는 학교에 가고 있다)
dangeen dem ekool (너희들은 학교에 간다)dingeen dem ekool (너희들은 학교에 갈 것이다)Yeena ngiy dem ekool (너희들은 학교에 가고 있다)
dañuy dem ekool (그들은/그녀들은 학교에 간다)dinañu dem ekool (그들은/그녀들은 학교에 갈 것이다)Nun ngiy dem ekool (그들은/그녀들은 학교에 가고 있다)


7. 2. 인칭 대명사

월로프어의 인칭 대명사는 주어와 목적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rowspan="2" |주어목적어
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mannunmanu
2인칭yowyeenlaleen
3인칭moomñoomkoleen



사람칭과 상(aspect)을 나타내는 기능어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상황적(제시적)종결적목적적과정적(설명적)주관적중립적
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

1인칭maa ngimaa ngiynaadinaalaalaaydamadamaymaamaaymamay
2인칭yaa ngiyaa ngiyngadingangangaydangadangayyaayaayngangay
3인칭mu ngimu ngiynadinalalaydafadafaymoomooymumuy

1인칭nu nginu ngiynanudinanulanulanuydanudanuynoonooynunuy
2인칭yéena ngiyéena ngiyngeendingeenngeenngeen didangeendangeenyyéenayéenayngeenngeen
3인칭ñu ngiñu ngiynañudinañulañulañuydañudañuyñooñooyñuñuy


7. 3. 시상 대명사

월로프어에서는 동사가 활용되지 않고, 시제나 상(相)을 표현하기 위해 인칭 대명사가 활용된다. 이를 '시상 대명사' 또는 '초점 형태'라고 부른다.[24]

예를 들어, 동사 'dem'은 "가다"라는 뜻으로 변하지 않지만, 시상 대명사 'maa ngi'는 "나/나를, 여기 지금", 'dinaa'는 "곧 갈 것이다"를 의미하여, '''Maa ngi dem.''' ("나는 지금 간다."), '''Dinaa dem.''' ("나는 곧 갈 것이다.")과 같은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월로프어에서 시제는 부차적이며, 화자의 관점에서 본 동작의 상이 중요하다. 완료상(동작 완료)과 미완료상(동작 진행 중)이 가장 중요하며, 그 외에 동작의 반복성, 필연성, 행위자의 역할 강조 여부 등이 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활용은 시제가 아닌 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 대명사"가 더 적절한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em' (가다) 동사에 대해, 'naa'는 "이미/확실히", 'dinaa'는 "곧/곧 갈 것이다", 'damay'는 "정기적으로/일반적으로"를 의미하여, '''Dem naa.''' ("이미 갔다."), '''Dinaa dem.''' ("곧 갈 것이다."), '''Damay dem.''' ("나는 보통 간다.")과 같은 문장이 만들어진다.

과거 시제는 동사에 접미사 '-(w)oon'을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다 ('''Demoon naa Ndakaaru.''' "나는 이미 다카르에 갔다.").

월로프어는 인도유럽어족과 달리 시제가 아닌 상을 기준으로 문법이 구성되며, 동사 앞뒤에 상을 나타내는 어휘를 붙인다.[42] 예를 들어 'dem'(가다) 앞에 'damay'를 붙이면 진행이나 습관, 'dinaa'를 붙이면 미완료(미래)를 나타낸다.

인칭대명사 활용 예시
구분예시의미
미완료 현재형 (damay)damay dem ekool나는 학교에 간다
dangay dem ekool너는 학교에 간다
dafay dem ekool그/그녀는 학교에 간다
danuy dem ekool우리는 학교에 간다
dangeen dem ekool너희들은 학교에 간다
dañuy dem ekool그들/그녀들은 학교에 간다
미래형 (미완료) (dinaa)dinaa dem ekool나는 학교에 갈 것이다
dinga dem ekool너는 학교에 갈 것이다
dina dem ekool그/그녀는 학교에 갈 것이다
dinanu dem ekool우리는 학교에 갈 것이다
dingeen dem ekool너희들은 학교에 갈 것이다
dinañu dem ekool그들/그녀들은 학교에 갈 것이다
현재 진행형 (대명사 + ngi + y + 동사)Maa ngiy dem ekool나는 학교에 가고 있다
Yaa ngiy dem ekool너는 학교에 가고 있다
Mu ngiy dem ekool그/그녀는 학교에 가고 있다
Nu ngiy dem ekool우리는 학교에 가고 있다
Yeena ngiy dem ekool너희들은 학교에 가고 있다
Nun ngiy dem ekool그들/그녀들은 학교에 가고 있다



사람칭과 상(aspect)을 나타내는 기능어의 변화
상황적(제시적)종결적목적적과정적(설명적)주관적중립적
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완료미완료
단수1인칭maa ngimaa ngiynaadinaalaalaaydamadamaymaamaaymamay
2인칭yaa ngiyaa ngiyngadingangangaydangadangayyaayaayngangay
3인칭mu ngimu ngiynadinalalaydafadafaymoomooymumuy
복수1인칭nu nginu ngiynanudinanulanulanuydanudanuynoonooynunuy
2인칭yéena ngiyéena ngiyngeendingeenngeenngeen didangeendangeenyyéenayéenayngeenngeen
3인칭ñu ngiñu ngiynañudinañulañulañuydañudañuyñooñooyñuñuy



동사 뒤에 "na"를 붙이는 'na 활용'은 사건의 결과 측면을 보여준다. 행위 동사는 현재 완료(예: '''dem na''' (그는 이미 갔다)), 상태 동사는 상태(예: '''dégg na wolof''' (그는 월로프어를 이해한다))를 나타낸다.[43] 2인칭 '''nga''', '''ngeen'''은 의문문에 자주 사용된다.

na 활용
예시의미
dem naa ekool나는 학교에 갔다
dem nga ekool너는 학교에 갔다
dem na ekool그/그녀는 학교에 갔다
dem nanu ekool우리는 학교에 갔다
dem ngeen ekool너희들은 학교에 갔다
dem nañu ekool그들/그녀들은 학교에 갔다



'la 활용'은 화자가 말하는 시점에 이미 끝난 행위를 나타내는 '완료형'이다.[44]

la 활용
예시의미
ekool laa dem내가 간 곳은 학교이다
ekool nga dem네가 간 곳은 학교이다
ekool la dem그/그녀가 간 곳은 학교이다
ekool lanu dem우리가 간 곳은 학교이다
ekool ngeen dem너희가 간 곳은 학교이다
ekool lañu dem그들/그녀들이 간 곳은 학교이다



'la 활용'에 '미완료' 접미사 '-y'를 붙이면 가까운 미래, 진행 현재, 습관적 행위를 나타낸다.

la 활용 + -y
예시의미
ekool laay dem내가 갈 곳은 학교이다
ekool ngay dem네가 갈 곳은 학교이다
ekool lay dem그/그녀가 갈 곳은 학교이다
ekool lanuy dem우리가 갈 곳은 학교이다
ekool ngeen di dem너희가 갈 곳은 학교이다
ekool lañuy dem그들/그녀들이 갈 곳은 학교이다


7. 4. 수사

월로프어의 숫자 체계는 오진법십진법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benn'''은 "하나", '''juróom'''은 "다섯", '''juróom-benn'''은 "여섯"(직역: 다섯-하나), '''fukk'''은 "열", '''fukk ak juróom benn'''은 "열여섯"(직역: 열과 다섯 하나), '''ñent-fukk'''은 "사십"(직역: 넷-열)이다. "삼십"은 '''fanweer'''인데, 이는 음력 한 달의 일수와 거의 비슷하다("fan"은 날, "weer"는 달).

숫자표기
0tus / neen / zéro (프랑스어 차용) / sero / dara ("아무것도 아님")
1benn
2ñaar / yaar
3ñett / ñatt / yett / yatt
4ñeent / ñenent
5juróom
6juróom-benn
7juróom-ñaar
8juróom-ñett
9juróom-ñeent
10fukk
11fukk ak benn
12fukk ak ñaar
13fukk ak ñett
14fukk ak ñeent
15fukk ak juróom
16fukk ak juróom-benn
17fukk ak juróom-ñaar
18fukk ak juróom-ñett
19fukk ak juróom-ñeent
20ñaar-fukk
26ñaar-fukk ak juróom-benn
30ñett-fukk / fanweer
40ñeent-fukk
50juróom-fukk
60juróom-benn-fukk
66juróom-benn-fukk ak juróom-benn
70juróom-ñaar-fukk
80juróom-ñett-fukk
90juróom-ñeent-fukk
100téeméer
101téeméer ak benn
106téeméer ak juróom-benn
110téeméer ak fukk
200ñaari téeméer
300ñetti téeméer
400ñeenti téeméer
500juróomi téeméer
600juróom-benni téeméer
700juróom-ñaari téeméer
800juróom-ñetti téeméer
900juróom-ñeenti téeméer
1000junni / junne
1100junni ak téeméer
1600junni ak juróom-benni téeméer
1945junni ak juróom-ñeenti téeméer ak ñeent-fukk ak juróom
1969junni ak juróom-ñeenti téeméer ak juróom-benn-fukk ak juróom-ñeent
2000ñaari junni
3000ñetti junni
4000ñeenti junni
5000juróomi junni
6000juróom-benni junni
7000juróom-ñaari junni
8000juróom-ñetti junni
9000juróom-ñeenti junni
10000fukki junni
100000téeméeri junni
1000000tamndareet / million



서수(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는 기수에 접미사 '''–éél'''(ayl 발음)을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둘은 '''ñaar'''이고, 두 번째는 '''ñaaréél'''이다. 이 규칙의 예외는 "첫 번째"로, '''bu njëk'''(또는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premier'': '''përëmye''')이다.

순서표기
1stbu njëk
2ndñaaréél
3rdñettéél
4thñeentéél
5thjuróoméél
6thjuróom-bennéél
7thjuróom-ñaaréél
8thjuróom-ñettéél
9thjuróom-ñeentéél
10thfukkéél


8. 어휘

기본 표현



추가 표현 (월로프어 사용 지역)


9. 문학

신약전서는 1987년에 월로프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2004년에 두 번째 판이, 그리고 2008년에 약간의 활자 오류 수정을 거친 판이 출판되었다.[27]

부바카르 보리스 디옵은 2002년에 월로프어로 소설 ''두미 골로''를 출판했다.[28]

유수 은도르(Youssou N'Dour)와 네네 체리(Neneh Cherry)가 부른 1994년 노래 "7 Seconds"는 일부가 월로프어로 불린다.

1865년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Richard Francis Burton)이 펴낸 서아프리카 속담 모음집 『서아프리카의 지혜와 슬기』(Wit and Wisdom from West Africa)[29]에는 장 다르(Jean Dard)의 1826년 저서 『Wolof 문법』(Grammaire Wolofe)[31]에서 발췌한 200개가 넘는 월로프어 속담이 월로프어와 영어 번역본으로 함께 실려 있다.[30] 그중 몇 가지 속담은 다음과 같다.


  • "''Jalele sainou ane na ainou guissetil dara, tey mague dieki thy soufe guissa yope.''" "아이는 사방을 두리번거리지만 종종 아무것도 보지 못하지만, 땅에 앉아 있는 노인은 모든 것을 본다." (#2)
  • "''Poudhie ou naigue de na jaija ah taw, tey sailo yagoul.''" "지붕은 비와 싸우지만, 그늘 아래 있는 사람은 그것을 모른다." (#8)
  • "''Sopa bour ayoul, wandy bour bou la sopa a ko guenne.''" "왕을 사랑하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당신을 사랑하는 왕이 더 낫다." (#16)
  • "''Lou mpithie nana, nanetil nane ou gneye.''" "새는 많이 마실 수 있지만, 코끼리는 더 많이 마신다." (#68)


아프리카 문학 및 스와힐리어 교수였던 에밀 마겔(Emil Magel)[32]은 자신의 저서 『감비아의 민담』(Folktales from the Gambia)[33] 부록에 "조로프의 당나귀들"(The Donkeys of Jolof), "''Fari Mbam Ci Rew i Jolof''"[34] 이야기의 월로프어 원문과 영어 번역본을 수록했다.[34]

세네갈 작가이자 선교사였던 다비드 보일라(David Boilat)[35]는 1858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월로프어 문법』(Grammaire de la Langue Woloffe)에 월로프어 속담, 수수께끼, 민담과 프랑스어 번역본을 함께 실었다.[36]

릴리안 케스텔루(Lilyan Kesteloot)와 바시루 디엥(Bassirou Dieng)이 1989년에 출판한 『두 티에도 오 탈리베』(Du Tieddo au Talibé)[37]는 프랑스어 번역본이 첨부된 전통적인 월로프어 이야기 모음집이다. 이 이야기들은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세네갈을 통치했던 월로프 왕국에서 유래한 것이다.

10. 추가 정보


  • 언어학

저자제목출판사출판 위치출판 연도ISBN
가브리엘 아이샤 비흘러(Gabriele Aïscha Bichler)Bejo, Curay und Bin-bim? 세네갈 볼로프족의 언어와 문화 (볼로프어 교재 포함)Peter Lang Verlagsgruppe프랑크푸르트 암 마인20033-631-39815-8
모마르 시스(Momar Cisse)언어학과 담화 언어학. 볼로프어 구절에 대한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접근 방식, 의미-구문 단위Sudlangues2005년 2월
마마두 시세(Mamadou Cissé)그래픽 차용과 아프리카 현실오사카 국립 민족학 박물관지2000년 6월
마마두 시세(Mamadou Cissé)A. Kobes의 볼로프어 문법 재검토 (1869), 또는 볼로프어 문법 역사의 한 부분에 대한 비판적 연구Sudlangues: 국제 전자 언어 과학 저널
오마르 카(Omar Ka)볼로프어 음운론 및 형태론University Press of America랜햄, 메릴랜드주19940-8191-9288-0
피오나 맥러플린(Fiona McLaughlin)다카르 볼로프어와 도시 정체성의 구성아프리카 문화 연구 저널200110.1080/13696810120107104
피오나 맥러플린(Fiona McLaughlin)세네갈: 과거와 현재의 도시 볼로프어Routledge2022
아니 리알랑(Annie Rialland), 스테판 로베르(Stéphane Robert)볼로프어의 억양 체계언어학200110.1515/ling.2001.038
레이 스위가트(Leigh Swigart)두 가지 코드 또는 하나의 코드? 다카르의 코드 전환에 대한 내부자의 관점과 설명Multilingual Matters19921-85359-167-X
해럴드 토런스(Harold Torrence)볼로프어의 절 구조: 좌측 주변부에 대한 통찰Benjamins2013
칼라 언세스(Carla Unseth)볼로프어의 모음 조화댈러스 국제 대학교2009


  • 문법

저자제목출판사출판 위치출판 연도ISBN
사나 카마라(Sana Camara)볼로프어 어휘 및 문법NALRC Press2006978-1-59703-012-0
파테 디아뉴(Pathé Diagne)현대 볼로프어 문법Présence Africaine파리1971
장 레오폴 디우프(Jean-Léopold Diouf)현대 볼로프어 문법Karthala파리20032-84586-267-9
장 레오폴 디우프(Jean-Léopold Diouf), 마리나 야겔로(Marina Yaguello)볼로프어 배우기 – Damay jàng wolofKarthala파리19912-86537-287-1
미하엘 프랑케(Michael Franke)Kauderwelsch, 세네갈 볼로프어 – 단어별로Reise Know-How Verlag빌레펠트20023-89416-280-5
미하엘 프랑케(Michael Franke), 장 레오폴 디우프(Jean Léopold Diouf), 콘스탄틴 포즈냐코프(Konstantin Pozdniakov)간편 볼로프어 – 회화 키트Assimil프랑스 슈네비에르쉬르마른2004978-2-7005-4020-8
파프 아마두 가예(Pape Amadou Gaye)볼로프어: 오디오-청각적 접근 방식미국 평화봉사단1980
미셸 말레르브(Michel Malherbe), 셰흐 살(Cheikh Sall)볼로프어 이야기 – 언어와 문화L'Harmattan파리19892-7384-0383-2
팔루 응곰(Fallou Ngom)볼로프어LINCOM뮌헨20033-89586-616-4
아마르 삼브(Amar Samb)볼로프어 문법 입문다카르 대학교 아프리카 기본 연구소Ifan-다카르1983


  • 사전

저자제목출판사출판 위치출판 연도ISBN
마마두 시세(Mamadou Cissé)프랑스어-볼로프어 사전L’Asiathèque파리19982-911053-43-5
아람 팔(Arame Fal), 로진 산투스(Rosine Santos), 장 레옹스 도뇌(Jean Léonce Doneux)볼로프어-프랑스어 사전 (프랑스어-볼로프어 색인 포함)Karthala파리19902-86537-233-2
파멜라 먼로(Pamela Munro), 디에나바 가예(Dieynaba Gaye)Ay Baati Wolof – 볼로프어 사전UCLA 언어학 논문집로스앤젤레스1997
감비아 평화봉사단볼로프어-영어 사전반줄1995
니마 칸토레크(Nyima Kantorek)볼로프어 사전 및 구어체Hippocrene Books20050-7818-1086-8
사나 카마라(Sana Camara)볼로프어 어휘 및 문법NALRC Press2006978-1-59703-012-0


  • 공식 문서

기관문서 제목날짜비고
세네갈 정부국가 언어 표기 관련 1971년 5월 21일자 제71-566호 법령1971년 5월 21일1972년 6월 16일자 제72-702호 법령으로 개정
세네갈 정부볼로프어의 철자 및 단어 분리와 관련된 1975년 10월 10일자 제75-1026호 법령 및 1985년 11월 20일자 제85-1232호 법령1975년 10월 10일
세네갈 정부볼로프어의 철자 및 단어 분리와 관련된 2005년 10월 21일자 제2005-992호 법령2005년 10월 21일


참조

[1] OED Wolof
[2] 웹사이트 Wolof Brochure http://nalrc.indiana[...] 2018-06-10
[3] 웹사이트 banana http://www.etymonlin[...] 2016-03-06
[4] 서적 Diksyonner Kreol-Franse / Dictionnaire Créole Seychellois – Français Helmut Buske Verlag 1982
[5] 서적 The Clause Structure of Wolof: Insights Into the Left Periphery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3
[6] 간행물 Ethnologue 16/17/18th edi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nline appendices 2015
[7] 웹사이트 Orthographe et prononciation du wolof {{!}} Jangileen http://jangileen.kal[...] 2017-05-30
[8] 서적 Dictionnaire wolof-français et français-wolof Karthala 2003
[9] 서적 J'apprends le wolof Damay jàng wolof Karthala 1991-01-01
[10] 웹사이트 Proposal to add Arabic script characters for African and Asian languages http://www.dkuug.dk/[...] 2010-08-12
[11] 웹사이트 ORTHOGRAPHE WOLOFAL http://currah.downlo[...] 2015-08-26
[12] 웹사이트 Proposal to add Arabic script characters for African and Asian languages http://www.dkuug.dk/[...] 2010-08-12
[13]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Garay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UC Berkeley Script Encoding Initiative (Universal Scripts Project)/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5-07-05
[14] 웹사이트 Wolof https://www.omniglot[...] 2019-12-19
[15] 간행물 2009
[16] 간행물 2013
[17] 간행물 2013
[18] 서적 Wolof Phonology and Morphology 1994
[19] 기타 n̈
[20] 서적 Practical Cours in / Cours Practique en Wolof: An Audio–Aural Approach
[21] 기타 2009
[22] 간행물 2009
[23] 웹사이트 Wollof - English Dictionary http://resourcepage.[...] Peace Corps The Gambia 2018-10-23
[24] 서적 Wolof https://books.google[...] Lincom 2003-01-01
[25] 서적 The Concise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26] 웹사이트 Learn Wolof with uTalk https://utalk.com/en[...]
[27] 웹사이트 Biblewolof.com http://www.biblewolo[...] Biblewolof.com 2013-04-15
[28]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Literature
[29] 서적 Wit and Wisdom from West Africa https://archive.org/[...] 1865
[30] 서적 Wit and Wisdom from West Africa https://archive.org/[...] 1865
[31] 서적 Grammaire Wolofe https://archive.org/[...] 1826
[32] 웹사이트 Obituary for Emil Anthony (Terry) Magel, 1945-2024 https://www.harrodbr[...] 2024-07-23
[33] 서적 Folktales from the Gambia: Wolof Fictional Narratives https://archive.org/[...] 1984
[34] 서적 Folktales from the Gambia: Wolof Fictional Narratives https://archive.org/[...] 1984
[35] 웹사이트 Boilat, David, abbé (1814—1901) https://www.oxfordre[...] 2024-07-23
[36] 서적 Grammaire de la Langue Woloffe https://archive.org/[...] 1858
[37] 서적 Du Tieddo au Talibé: Contes et Mythes Wolof https://archive.org/[...] 1989
[38] 서적 (프랑스어로 쓰여진)Wolof 문법 및 학습 서적 목록 1971, 1989, 2004 등
[39] 서적 ポストコロニアル国家と言語―フランス語公用語国セネガルの言語と社会 三元社 2007
[40] 서적 ウォロフ語入門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94
[41] 서적 Dictionnaire wolof-français (suivi d'un dictionnaire français-wolof) Karthala 2011
[42] 서적 ウォロフ語入門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94
[43] 서적 ウォロフ語入門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94
[44] 서적 ウォロフ語入門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94
[45] 서적 ウォロフ語入門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94
[46] 논문 Deitic space in Wolof: Discourse, syntax and the importance of absence https://benjamins.co[...]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