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정아르마딜로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정아르마딜로과는 빈치상목 피갑목에 속하는 아르마딜로과의 하위 분류이다. 큰요정아르마딜로속과 애기아르마딜로속을 포함하는 요정아르마딜로아과, 긴털아르마딜로속, 여섯띠아르마딜로속, 피치아르마딜로속을 포함하는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멸종된 글립토돈아과, 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속, 왕아르마딜로속, 세띠아르마딜로속을 포함하는 세띠아르마딜로아과로 나뉜다. 요정아르마딜로과는 아르마딜로과와 마찬가지로 빈치목 내의 기저 분류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마딜로 - 아홉띠아르마딜로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갑각에 아홉 개의 띠를 가진 아르마딜로의 일종으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미국 남부에서 서식지를 넓혀가며 나병 연구에 기여하는 등 인간과도 관련이 있다.
  • 아르마딜로 - 여섯띠아르마딜로
    여섯띠아르마딜로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6~7개의 띠가 있는 등딱지를 가진 주머니아르마딜로과 Euphractus 속의 유일한 종으로,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잡식성 식단을 섭취하고 굴을 파는 습성이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로드킬로 인해 IUCN 관심 필요 대상으로 분류되어 개체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요정아르마딜로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방세띠아르마딜로 ''(Tolypeutes matacus)''
남방세띠아르마딜로 (Tolypeutes matacus)
''[[도에디쿠루스]] clavicaudatus''의 골격 삽화
도에디쿠루스 clavicaudatus의 골격 삽화
학명Chlamyphoridae
명명자Bonaparte, 1850
모식속Chlamyphorus
모식속 명명자Harlan, 1825
화석 범위중기 에오세 ~ 현재
분포 지도
하위 분류
아과Chlamyphorinae
Euphractinae
†Glyptodontinae
†Pampatheriinae
Tolypeutinae

2. 하위 분류

요정아르마딜로과는 크게 네 아과로 나뉜다.

2. 1. 요정아르마딜로아과 (Chlamyphorinae)


  • 큰요정아르마딜로속 (''Calyptophractus'')
  • * 큰요정아르마딜로 (''Calyptophractus retusus'')
  • 애기아르마딜로속 (''Chlamyphorus'')
  • * 분홍요정아르마딜로 (''Chlamyphorus truncatus'')

2. 2.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Euphractinae)


  • 긴털아르마딜로속 (''Chaetophractus'')
  • 여섯띠아르마딜로속 (''Euphractus'')
  • 피치아르마딜로속 (''Zaedyus'')

  • ---

여섯띠아르마딜로 (''Euphractus sexcinctus'')

  • ** 피치아르마딜로속 (''Zaedyus'')

피치 (''Zaedyus pichiy'')

  • ** 긴털아르마딜로속 (''Chaetophractus'')

울부짖는털아르마딜로 (''Chaetophractus vellerosus'')
큰털아르마딜로 (''Chaetophractus villosus'')
안데스털아르마딜로 (''Chaetophractus nationi'')

2. 3. 세띠아르마딜로아과 (Tolypeutinae)


  • 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속 (''Cabassous'')
  • * 큰꼬리없는아르마딜로 ('Cabassous tatouay'')
  • * 차코꼬리없는아르마딜로 (''Cabassous chacoensis'')
  • * 북부꼬리없는아르마딜로 (''Cabassous centralis'')
  • * 남부꼬리없는아르마딜로 (''Cabassous unicinctus'')
  • 왕아르마딜로속 (''Priodontes'')
  • * 자이언트아르마딜로 (''Priodontes maximus'')
  • 세띠아르마딜로속 (''Tolypeutes'')
  • * 남방세띠아르마딜로 (''Tolypeutes matacus'')
  • * 브라질세띠아르마딜로 (''Tolypeutes tricinctus'')

2. 4. † 글립토돈아과 (Glyptodontinae)


  • † 글립토돈아과

3. 계통 분류

2017년 현재, 빈치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15]

{| class="wikitable"

|-

! 빈치상목

|-

|

{| class="wikitable"

|-

! 피갑목

|-

|

{| class="wikitable"

|-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

|

† Pampatheriidae
요정아르마딜로과



|}

|-

! 유모목

|-

|

{| class="wikitable"

|-

! 개미핥기아목

|-

|



|-

! 나무늘보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Megatheriidae

|-

|

† Nothrotheriidae
세발가락나무늘보과



|}

|-

|

{| class="wikitable"

|-

|



|}

|}

|}

|}

|}

요정아르마딜로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

{| class="wikitable"

|-

! 요정아르마딜로과

|-

|

{| class="wikitable"

|-

!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

|

{| class="wikitable"

|-

| 여섯띠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큰긴털아르마딜로

|-

|



|}

|}

|-

|

{| class="wikitable"

|-

| † 글립토돈아과

|-

|

{| class="wikitable"

|-

! 요정아르마딜로아과

|-

|



|-

! 세띠아르마딜로아과

|-

|

{| class="wikitable"

|-

| 왕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큰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차코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

|



|}

|}

|}

|}

|}

|}

|}

3. 1. 빈치상목 계통 분류 (2017년)

2017년 현재, 빈치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15]

  • '''빈치상목'''
  • 피갑목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 요정아르마딜로과
  • † Pampatheriidae
  • 유모목
  • 개미핥기아목
  • 애기개미핥기과
  • 큰개미핥기과
  • 나무늘보아목
  • † Megatheriidae
  • † Nothrotheriidae
  • 세발가락나무늘보과
  • † Mylodontidae
  • 두발가락나무늘보과

3. 2. 요정아르마딜로과 계통 분류

2017년 기준 빈치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15]

{| class="wikitable"

|-

! 빈치상목

|-

|

{| class="wikitable"

|-

! 피갑목

|-

|

{| class="wikitable"

|-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

|

† Pampatheriidae
요정아르마딜로과



|}

|-

! 유모목

|-

|

{| class="wikitable"

|-

! 개미핥기아목

|-

|



|-

! 나무늘보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Megatheriidae

|-

|

† Nothrotheriidae
세발가락나무늘보과



|}

|-

|

{| class="wikitable"

|-

|



|}

|}

|}

|}

|}

요정아르마딜로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

{| class="wikitable"

|-

! 요정아르마딜로과

|-

|

{| class="wikitable"

|-

!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

|

{| class="wikitable"

|-

| 여섯띠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큰긴털아르마딜로

|-

|



|}

|}

|-

|

{| class="wikitable"

|-

| † 글립토돈아과

|-

|

{| class="wikitable"

|-

! 요정아르마딜로아과

|-

|



|-

! 세띠아르마딜로아과

|-

|

{| class="wikitable"

|-

| 왕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큰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

|

{| class="wikitable"

|-

| 차코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

|



|}

|}

|}

|}

|}

|}

|}

요정아르마딜로과는 아르마딜로과와 마찬가지로, Cingulata 내의 기저 분류군이다.

Cingulata 계통도[5][7][8]

{| class="wikitable"

|-

! Cingulata

|-

|

{| class="wikitable"

|-

! '''요정아르마딜로과'''

|-

|

{| class="wikitable"

|-

! Euphractinae

|-

|

{| class="wikitable"

|-

|

Euphractus
Euphractus sexcinctus|E. sexcinctusla



|-

! ''Zaedyus''

|-

| Zaedyus pichiy|Z. pichiyla

|-

! ''Chaetophractus''

|-

|

{| class="wikitable"

|-

| Chaetophractus villosus|C. villosusla

|-

|

Chaetophractus nationi|C. nationila
Chaetophractus vellerosus|C. vellerosusla



|}

|}

|-

|

{| class="wikitable"

|-

| †영어 Glyptodontinae

|-

|

{| class="wikitable"

|-

|

영어Doedicurus|D. clavicaudatusla



|-

| †영어(31 개의 멸종된 다른 속)

|}

|-

! Chlamyphorinae

|-

|

Chlamyphorus truncatus|C. truncatusla
Calyptophractus retusus|C. retususla



|-

! Tolypeutinae

|-

|

{| class="wikitable"

|-

|

Priodontes
Priodontes maximus|P. maximusla



|-

|

{| class="wikitable"

|-

! ''Tolypeutes''

|-

|

Tolypeutes tricinctus|T. tricinctusla
Tolypeutes matacus|T. matacusla



|-

! ''Cabassous''

|-

|

{| class="wikitable"

|-

|

Cabassous tatouay|C. tatouayla



|-

|

{| class="wikitable"

|-

| Cabassous chacoensis|C. chacoensisla

|-

|

Cabassous centralis|C. centralisla
Cabassous unicinctus|C. unicinctusla



|}

|}

|}

|}

|}

|}

|}

|-

! Dasypodida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Dasypus
(7 개의 현존 종)



|-

| †영어(26 개의 멸종된 속)

|}

|}

|}

|}

참조

[1] 논문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1945
[2] 간행물 Ordre des édentés 1955
[3] 서적 The phylogeny of the Xenarthra. The evolution and ecology of armadillos, sloths, and vermilingua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1985
[4] 서적 '6 The Phylogeny of Living and Extinct Armadillos (Mammalia, Xenarthra, Cingulata): A Craniodental Analysis. Amniote Paleobiology: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 of Mammals, Birds, and Repti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2006
[5] 간행물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https://hal.archives[...] 2016-02-22
[6] 간행물 Shotgun Mitogenomics Provides a Reference Phylogenetic Framework and Timescale for Living Xenarthrans
[7] 간행물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2019
[8] 간행물 Shotgun mitogenomics provides a reference phylogenetic framework and timescale for living xenarthrans
[9] 논문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1945
[10] 간행물 Ordre des édentés 1955
[11] 서적 The phylogeny of the Xenarthra. The evolution and ecology of armadillos, sloths, and vermilingua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1985
[12] 서적 '6 The Phylogeny of Living and Extinct Armadillos (Mammalia, Xenarthra, Cingulata): A Craniodental Analysis. Amniote Paleobiology: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 of Mammals, Birds, and Repti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2006
[13] 간행물 Shotgun Mitogenomics Provides a Reference Phylogenetic Framework and Timescale for Living Xenarthrans
[14]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extinct and extant sloths: the evidence of mitogenomes and retroviruses 2016
[15]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2016
[16] 간행물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2016-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