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는 1787년 독일에서 태어나 유리 세공 기술을 발전시키고, 태양 스펙트럼에서 어두운 선(프라운호퍼 선)을 발견한 독일의 광학 기술자이자 천문학자이다. 그는 광학 유리의 균질성을 높이고, 분광기를 제작했으며, 회절 격자를 개발하여 광학 기기 제작 기술을 혁신했다. 프라운호퍼는 렌즈 가공법을 개선하고 망원경을 제작하는 등 실용 광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은 천체 분광학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기사 - 파울 요한 안젤름 폰 포이어바흐 기사
    파울 요한 안젤름 폰 포이어바흐는 죄형법정주의를 주창하고 바이에른 형법 제정에 기여한 독일 법학자이자 형법 이론가이며, 카스파르 하우저 사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게 관심을 촉구했다.
  • 독일의 기사 - 빌헬름 폰 레프 기사
    빌헬름 폰 레프 기사는 독일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북부집단군 사령관으로 소련 침공에 참여하여 발트 3국을 점령하고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지휘했으나 히틀러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고,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곧 석방되어 군사적 능력과 전쟁 범죄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787년 출생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1787년 출생 - 쇼코왕
    쇼코왕은 류큐 왕국의 제1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의사 증원과 형법전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의 정신 질환과 대기근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1826년 사망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26년 사망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출생일1787년 3월 6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슈트라우빙
사망일1826년 6월 7일
사망지독일 연방 뮌헨
알려진 업적프라운호퍼 회절
프라운호퍼 선
프라운호퍼 거리
이름Joseph Ritter von Fraunhofer
국적
국적바이에른 왕국
학문 분야
분야물리학
수상
수상막시밀리안 요제프 기사 훈장

2. 생애

프라운호퍼는 1787년 슈트라우빙에서 유리 직공인 아버지 프란츠 하비에르 프라운호퍼의 11번째 자녀로 태어났다.[24][25] 11살에 부모를 잃고 뮌헨에 있는 유리 장인의 도제로 들어갔으나,[26][27] 1801년 작업장이 붕괴되어 잔해에 깔리는 사고를 겪었다.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가 구조 작업을 지휘할 정도로 이 사건은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28][29]

이후 막시밀리안 1세와 우츠슈나이더의 후원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1806년 베네딕트보이른 연구소에서 정밀한 광학 유리 제작 및 광학 분산 측정 방법을 익혔고, 피에르-루이 기낭(de)에게 유리 제조법을 배웠다.

프라운호퍼는 유리를 정밀하게 세공하는 기계와 분광기를 개발했고, 1814년경 태양 스펙트럼에서 324개의 검은 선(프라운호퍼 선)을 발견하여 천체 분광학의 기초를 다졌다.

1822년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24년 기사 작위와 뮌헨 명예 시민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중금속 중독으로 1826년 39세에 사망했다. 그의 무덤에는 "그는 우리를 별에 더 가깝게 이끌었다"라는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33]

2. 1. 어린 시절과 도제 생활

프라운호퍼는 1787년 슈트라우빙에서 유리 직공인 아버지 프란츠 하비에르 프라운호퍼의 11번째 자녀로 태어났다.[24][25] 11살에 부모를 잃고 뮌헨에 있는 유리 장인의 도제로 들어갔다.[26][27]

1801년, 17세에는 작업장이 붕괴되어 잔해에 깔리는 사고를 겪었다.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가 구조 작업을 지휘할 정도로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28][29] 막시밀리안은 사고 현장에 있던 요제프 우츠슈나이더를 통해 하사금을 전달했고, 우츠슈나이더의 도움으로 프라운호퍼는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30]

1806년, 우츠슈나이더는 자신이 일하던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프라운호퍼를 데려갔다. 프라운호퍼는 അവിടെ서 정밀한 유리 세공 기술을 익히고, 빛의 분산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도 알게 되었다.[31]

2. 2. 우츠슈나이더와의 만남과 광학 연구

1801년, 프라운호퍼가 일하던 작업장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선제후 막시밀리안 요제프가 직접 구조 작업을 지휘할 정도로 이 사건은 크게 보도되었다.[28][29] 막시밀리안 1세는 사고 현장에 있던 비밀 고문관 요제프 우츠슈나이더를 통해 프라운호퍼에게 하사금을 전달했고, 우츠슈나이더의 도움으로 프라운호퍼는 학업과 실무 훈련을 병행할 수 있었다.[30]

1806년, 우츠슈나이더와 게오르크 폰 라이헨바흐는 프라운호퍼를 베네딕트보이른의 연구소로 데려갔다.[31] 그곳에서 프라운호퍼는 정밀한 광학 유리를 만드는 방법과 광학 분산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을 발견했다.[31] 또한, 이 연구소에서 스위스 유리 기술자인 피에르-루이 기낭(de)을 만나 유리 제조법을 배웠다.[20]

1809년까지 광학 연구소의 기계 부분은 주로 프라운호퍼가 담당했고, 그해 회사의 구성원이 되었다.[20] 1814년에는 기낭과 라이헨바흐가 회사를 떠났지만, 이후 기낭은 프라운호퍼와 함께 회사의 파트너가 되었고, 회사 이름은 우츠슈나이더-운트-프라운호퍼로 변경되었다.[20] 1818년, 프라운호퍼는 광학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20] 프라운호퍼가 개발한 훌륭한 광학 기기 덕분에 바이에른은 광학 산업의 중심지로 영국을 능가하게 되었으며, 마이클 패러데이조차 프라운호퍼와 같은 수준의 유리를 생산하지 못했다.[20]

1811년, 우츠슈나이더의 중재로 프라운호퍼가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유리를 공급받게 되었고, 결국 프라운호퍼가 공장의 모든 것을 관리하게 되었다.[20] 1813년경에는 프리즘 분광기를 제작하여 1814년경 윌리엄 울러스턴과는 별도로 태양 스펙트럼에서 약 700개의 암선(프라운호퍼 선)을 발견했다.[20] 1817년에는 태양 스펙트럼의 암선을 기준으로 유리의 굴절률을 측정했는데, 이는 광학 기술상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20]

2. 3. 광학 기기 제작과 프라운호퍼 선 발견

프라운호퍼는 유리를 정밀하게 세공하는 기계를 발명하여 대물렌즈 등의 광학 기구에 사용되는 유리 제작 기술을 혁신하였다.[32] 1814년에는 현대적인 분광기를 발명했다.[10] 그는 자신이 발명한 새로운 광학기기로 태양 스펙트럼을 관측하여 324개의 검은 선(프라운호퍼 선)이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한다.[32] 이후 실험을 통해 태양 스펙트럼에서 574개의 어두운 고정선을 발견했으며, 오늘날에는 수백만 개의 이러한 고정 흡수선이 알려져 있다.[7][11]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그린 태양 스펙트럼 그림과 그에게서 이름을 딴 검은 선들 (1987년 DBP의 프라운호퍼 탄생 200주년 기념 우표)


프라운호퍼는 여러 밝은 별의 스펙트럼에서도 어두운 선이 나타나는 것을 감지했지만, 약간 다른 배열로 나타났다. 그는 이러한 선들이 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고, 이러한 선들이 별과 태양의 본질에서 기원하며 빛의 근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고 결론지었다.[2] 그는 시리우스와 다른 1등성 별의 스펙트럼이 태양과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천체 분광학을 창시했다.[12]

이러한 어두운 고정선은 나중에 대부분 구스타프 키르히호프로베르트 분젠에 의해 1859년에 원자 흡수선으로 밝혀졌으며,[13] 나머지는 대기선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지구 대기의 산소 분자에 의한 흡수에서 기원한다. 이 선들은 그의 업적을 기려 여전히 ''프라운호퍼 선''이라고 불린다.[14]

1817년, 프라운호퍼는 태양 스펙트럼의 암선을 기준으로 유리의 굴절률을 측정하기로 하였으며, 이는 광학 기술상 특기할 만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1819년에는 유리에 금도금을 하여 300개/밀리미터의 평행선을 새긴 격자를 제작하여 빛의 회절을 연구했고, 당시 아직 확립되지 않았던 빛의 파동설을 지지했다.

2. 4. 말년과 죽음

1822년,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3] 1823년에는 교수직을[20], 1824년에는 바이에른 왕관 공로 훈장 기사로 막시밀리안 1세 왕에 의해 임명되어 개인 귀족("Ritter von", 즉 기사 칭호)으로 승격되었다.[33] 같은 해에 뮌헨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다.[33]

그러나 당시 많은 유리 제조자들처럼 중금속 증기에 중독되어 1826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3] 프라운호퍼의 가장 가치 있는 유리 제조법은 그와 함께 무덤으로 갔다고 여겨진다.[33] 그의 무덤에는 "그는 우리를 별에 더 가깝게 이끌었다"라고 적혀있다.[33] 사인은 폐결핵이라는 설과 중금속 중독[22]이라는 설이 있다.

3. 과학적 업적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는 분광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광학 기기 제작 기술을 혁신한 과학자이다.

프라운호퍼는 1814년 현대적인 분광기를 발명하여 프라운호퍼 선을 발견하고, 1821년에는 회절 격자를 개발하여 스펙트럼 선의 파장을 측정했다. 또한, 대형 대물렌즈의 구면을 정확하게 연마하는 기계를 발명하고, 유리 제조 기술을 개선하여 고품질 광학 유리를 생산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한 광학 기기들을 제작했다.

프라운호퍼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분야내용
프라운호퍼 선 발견- 1814년, 현대적인 분광기 발명[10]
- 태양 스펙트럼에서 574개의 어두운 선 발견[7][11]
- 천체 분광학 창시[12]
회절 격자 개발- 1821년, 회절 격자 개발[15][16]
- 회절 격자로 스펙트럼 선의 파장 측정
광학 기기 제작 기술 혁신- 대형 대물렌즈의 구면을 정확하게 연마하는 기계 발명[7]
- 유리 제조 기술 개선, 균질한 플린트 유리 대량 생산 성공[7]
- 뉴턴 링을 이용한 간섭 무늬 관찰로 렌즈 표면 검사 간소화
- 기계 부품 가공 정밀도 향상
망원경 제작- 별의 시차 측정을 위한 프라운호퍼 도르파트 굴절 망원경, 베셀의 헬리오미터 제작[8]
- 해왕성 발견에 기여한 베를린 천문대 망원경 제작 (메르츠 운트 마르허)
- 독일식 적도의 고안


3. 1. 프라운호퍼 선 발견

1814년, 프라운호퍼는 현대적인 분광기를 발명했다.[10] 실험 과정에서 그는 불빛으로 생성된 스펙트럼의 주황색 영역에서 밝은 선을 발견했는데, 이 선을 통해 다양한 물질의 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후 태양 스펙트럼에서도 같은 위치에 밝은 선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통해, 그는 태양 스펙트럼에서 574개의 어두운 선들을 발견했다. 오늘날에는 수백만 개의 이러한 흡수선이 알려져 있다.[7][11]

프라운호퍼는 여러 밝은 별들의 스펙트럼에서도 어두운 선들이 나타나지만, 배열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는 이 선들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왜냐하면 대기에 의한 것이라면 선들의 배열이 다르게 나타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 선들이 별과 태양 자체의 특성에서 비롯되며, 빛의 근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결론지었다.[2] 그는 시리우스를 비롯한 다른 1등성 별들의 스펙트럼이 태양과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고, 천체 분광학을 창시했다.[12]

이 어두운 선들은 나중에 대부분 구스타프 키르히호프로베르트 분젠에 의해 1859년에 원자 흡수선으로 설명되었고,[13] 나머지는 지구 대기의 산소 분자에 의한 흡수인 대기선으로 밝혀졌다. 이 선들은 그의 업적을 기려 여전히 ''프라운호퍼 선''이라고 불린다. 그의 발견은 1802년 윌리엄 하이드 월러스턴이 언급했던 태양 스펙트럼의 불연속적인 구분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14]

3. 2. 회절 격자 개발

프라운호퍼는 1821년에 회절 격자를 개발했다. 이는 제임스 그레고리가 회절 격자 현상을 발견하고, 미국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리텐하우스가 1785년에 최초의 인공 회절 격자를 발명한 이후였다.[15][16] 프라운호퍼는 회절 격자를 사용하여 선 스펙트럼을 얻고, 회절 격자로 스펙트럼 선의 파장을 측정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그의 주된 열정은 여전히 실용 광학이었다. 그는 "시간 부족으로 인해 모든 실험에서 실용 광학에 관련된 문제에만 주의를 기울일 수 있었다"고 썼다.[17]

3. 3. 광학 기기 제작 기술 혁신

프라운호퍼 시대에 실용 광학에서 가장 어려운 작업 중 하나는 대형 대물렌즈의 구면을 정확하게 연마하는 것이었다. 프라운호퍼는 기존의 연삭보다 더 정확하게 표면을 만들 수 있는 기계를 발명했다. 그는 또한 다른 연삭 및 연마 기계를 발명했으며, 광학 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리 제조에 많은 개선을 도입했는데, 그는 항상 여러 종류의 결함과 불규칙성을 발견했다.[7]

1811년에 그는 새로운 종류의 유리 제조 가마를 건설했고, 두 번째 용해에서 다량의 유리를 녹이면서 대략 약 101.60kg의 유리가 담긴 용기의 바닥에서 꺼낸 플린트 유리가 표면에서 꺼낸 유리와 동일한 굴절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영국 크라운 유리와 독일 식탁 유리가 모두 불규칙한 굴절을 유발하는 결함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두껍고 더 큰 유리에서는 그러한 결함이 더 많았고, 따라서 더 큰 망원경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유리가 대물렌즈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프라운호퍼는 자체 크라운 유리를 만들었다.[7]

특정 매질이 빛의 광선을 굴절시켜 그 안에 포함된 여러 색상을 분리하는 능력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은 스펙트럼색상 사이에 정확한 경계가 없어서 굴절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프라운호퍼는 단색광을 인위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으며,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었기 때문에 램프와 프리즘을 사용했다.[7]

프라운호퍼는 1821년에 회절 격자를 개발했는데, 이는 제임스 그레고리가 회절 격자 현상을 발견한 이후이자, 미국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리텐하우스가 1785년에 최초의 인공 회절 격자를 발명한 이후였다.[15][16] 프라운호퍼는 회절 격자를 사용하여 선 스펙트럼을 얻고, 회절 격자로 스펙트럼 선의 파장을 측정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결국, 그의 주된 열정은 여전히 실용 광학이었다. 그는 "시간 부족으로 인해 모든 실험에서 실용 광학에 관련된 문제에만 주의를 기울일 수 있었다"고 썼다.[17]

프라운호퍼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플린트 유리의 균질한 대량 생산에 성공했다.
  • 프라운호퍼 선을 이용하여 광학 유리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색을 특정했다.
  • 렌즈 설계에 삼각 추적법을 채용했다.
  • 렌즈 가공법을 현저하게 개선했다.
  • 뉴턴 링으로 간섭 무늬를 관찰하여 누구나 쉽게 렌즈 표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했다.
  • 기계 부품의 가공 정밀도를 높였다.
  • 독일식 적도의를 고안했다.

3. 4. 망원경 제작

프라운호퍼는 자신의 회사를 위해 다양한 광학 기기를 제작했다.[8] 별의 시차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 슈트루베의 프라운호퍼 도르파트 굴절 망원경(1824년 도르파트 천문대에 인도)과 베셀의 헬리오미터(사후 인도) 등이 대표적이다. 메르츠 운트 마르허는 프라운호퍼 회사의 후계자로, 새로운 베를린 천문대를 위해 망원경을 제작했으며, 이 망원경은 해왕성 발견에 기여했다.
해왕성이 발견된 9인치 굴절 망원경
프라운호퍼가 제작한 마지막 대물렌즈는 에든버러 시립 천문대의 경위선 망원경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8] 이 망원경은 프라운호퍼 사후 함부르크의 렙솔트가 완성했다.

프라운호퍼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플린트 유리의 균질한 대량 생산 성공
  • 프라운호퍼 선을 이용한 광학 유리 굴절률 측정
  • 렌즈 설계에 삼각 추적법 채용
  • 렌즈 가공법의 획기적 개선
  • 뉴턴 링을 이용한 간섭 무늬 관찰로 렌즈 표면 검사 간소화
  • 기계 부품 가공 정밀도 향상
  • 독일식 적도의 고안

참조

[1] 데이터베이스 Fraunhofer, Joseph von (bayerischer Personaladel 1824)
[2] 웹사이트 The Glassmaker Who Sparked Astrophysics http://nautil.us/iss[...] Nautilus (science magazine) 2014-03-20
[3] 웹사이트 Society of Catholic Scientists https://www.catholic[...] 2022-06-16
[4]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Publishing 2009
[5] 서적 Spectrum of Belief: Joseph Von Fraunhofer and the Craft of Precision Optics MIT Press 2000
[6] 서적 Wissenschaftliche Instrumente in ihrer Zeit. Band 4: Perfektion von Optik und Mechanik Cologne 2010
[7] 백과사전 Fraunhofer, Joseph von 1920
[8] 웹사이트 Fraunhofer, Joseph von (1787–1826) http://www.plicht.de[...] plicht.de 2000
[9] 저널 The Master of Dispersion 2005
[10] 서적 Lines of Light: The Sources of Dispersive Spectroscopy, 1800–1930 Gordon and Breach Publishers 1995
[11] 논문 Bestimmung des Brechungs- und des Farben-Zerstreuungs – Vermögens verschiedener Glasarten, in Bezug auf die Vervollkommnung achromatischer Fernröhre https://books.google[...] 1814-1815
[12] 논문 Ich habe auch mit derselben Vorrichtung Versuche mit dem Lichte einiger Fixsterne erster Grösse gemachte. Da aber das Licht dieser Sterne noch vielmal schwächer ist, als das der Venus, so ist natürlich auch die Helligkeit des Farbenbildes vielmal geringer. Demohngeachtet habe ich, ohne Täuschung, im Farbenbilde vom Lichte des Sirius drey breite Streifen gesehen, die mit jenen vom Sonnenlichte keine Aehnlichkeit zu haben scheinen; einer dieser Streifen ist im Grünen, und zwey im Blauen. Auch im Farbenbilde vom Lichte anderer Fixsterne erster Grösse erkennt man Streifen; doch scheinen diese Sterne, in Beziehung auf die Streifen, unter sich verschieden zu seyn. https://books.google[...] 1814-1815
[13] 논문 Ueber die Fraunhofer'schen Linien https://books.google[...] 1859
[14] 논문 A method of examining refractive and dispersive powers, by prismatic reflection http://rstl.royalsoc[...] 1802
[15] 논문 Neue Modifikation des Lichtes durch gegenseitige Einwirkung und Beugung der Strahlen, und Gesetze derselben https://books.google[...] 1821
[16] 저널 A geological history of reflecting optics 2005-03
[17] 서적 Prismatic and Diffraction Spectra: Memoirs 1899
[18] 웹사이트 A Guide to Edinburgh's Popular Observatory http://www.astronomy[...] Astronomical Society of Edinburgh
[19] 문서 Brief outline of the life-story of Dr. Joseph von Fraunhofer
[20] 서적 天文アマチュアのための望遠鏡光学・屈折編
[21] 서적 図解雑学よくわかる量子力学 ナツメ社 2009
[22] 문서 당시 유리 세공인들에게 많이 나타났던 증상
[23] 웹사이트 https://www.findagra[...]
[24] 웹사이트 Society of Catholic Scientists https://www.catholic[...] 2022-06-16
[25]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Publishing 2009
[26] 서적 Spectrum of Belief: Joseph Von Fraunhofer and the Craft of Precision Optics MIT Press 2000
[27] 저널 The Master of Dispersion 2005
[28] 서적 Spectrum of Belief: Joseph Von Fraunhofer and the Craft of Precision Optics MIT Press 2000
[29] 저널 The Master of Dispersion 2005
[30] 서적 Wissenschaftliche Instrumente in ihrer Zeit. Band 4: Perfektion von Optik und Mechanik Cologne 2010
[31] 서적 Wissenschaftliche Instrumente in ihrer Zeit. Band 4: Perfektion von Optik und Mechanik Cologne 2010
[32] 백과사전 Fraunhofer, Joseph von 1920
[33] 서적 Spectrum of Belief: Joseph Von Fraunhofer and the Craft of Precision Optics MIT Pres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