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울러스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울러스턴은 1659년에 태어나 1724년에 사망한 영국의 철학자이자 성직자이다. 그는 이성에 기반한 윤리 체계를 구축하려 시도했으며, 대표 저서인 《자연 종교론》에서 도덕적 악을 참된 명제의 부정으로, 도덕적 선을 긍정으로 정의하는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울러스턴은 1688년 런던에 정착하여 학문과 철학에 전념했으며, 그의 사상은 영국 이신론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드니 서식스 칼리지 동문 - 대니얼 레비 (기업인)
대니얼 레비는 잉글랜드 출신 기업인이자 ENIC 인터내셔널의 공동 설립자이며, 토트넘 홋스퍼 축구 클럽의 회장으로서 구단의 재정적 안정과 새로운 시설 건설을 주도했지만, 이적 협상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드니 서식스 칼리지 동문 -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며, 호국경으로 통치했으나 사후 부관참시를 당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1724년 사망 - 마에다 쓰나노리
마에다 쓰나노리는 에도 시대 가가번의 4대 번주로,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어 숙부의 섭정을 받으며 번정 개혁, 백성 중심 정책, 학문과 예술 장려를 통해 가가번의 문화를 융성시켰다. - 1724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1년부터 1724년까지 재임한 244대 교황으로, 클레멘스 11세 시대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포르투갈 교황 사절 시절 예수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받아 얀센파 반대, 중국 의례 논쟁 강경 입장 유지, 스페인 광장 스페인 계단 건설 지시 등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1659년 출생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659년 출생 - 민진후
민진후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민생 안정에 힘썼으며,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경종 묘정에 배향되고 충문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윌리엄 울러스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윌리엄 울러스턴 |
출생일 | 1659년 3월 26일 |
출생지 | 코톤-클랜포드, 스태퍼드셔, 잉글랜드 |
사망일 | 1724년 10월 29일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국적 | 잉글랜드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18세기 철학 |
학파/전통 | 계몽주의 합리주의 |
주요 관심사 | 윤리학 종교 철학 |
주요 사상 | 진리 준수에서 비롯된 종교 |
2. 생애
윌리엄 울러스턴은 1659년 3월 26일 스태퍼드셔주 코턴 클랜포드에서 태어나 1674년 시드니 서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에 입학했다.[2] 1681년 케임브리지를 떠난 후 성직을 받았고, 1688년 사촌으로부터 재산을 상속받아 런던에 정착했다.[4][5] 이후 학문과 철학에 전념하며 1722년 《자연 종교론》을 출판했다. 평생 허약한 건강으로 고생했으며, 1724년 10월 29일 사망하여 그레이트 핀보로에 묻혔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윌리엄 울러스턴은 1659년 3월 26일 잉글랜드 스태퍼드셔주 코턴 클랜포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태퍼드셔에 오랫동안 정착한 가문 출신으로, 런던 시장이었던 존 울러스턴 경과 먼 친척 관계였다.[1] 하지만 그의 집안은 부유하지 않았다.열 살 때, 스태퍼드셔 셴스톤에 새로 문을 연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여 시골 무료 학교에서 공부를 계속하다가 1674년 6월, 15세의 나이로 시드니 서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에 입학했다.[2] 그의 저술을 보면 그는 언어와 문학에 "매우 정통"한 훌륭한 학자였음이 분명하다.[3]
케임브리지에서의 마지막 해에 울러스턴은 ''전도서의 의도에 관하여, 또는 현재의 즐거움을 위한 인간의 끊임없는 다툼의 불합리함을 영어 시로 표현한 책''(런던, 1691)을 익명으로 출판했다.
2. 2. 성직자와 학자로서의 삶
1681년 9월 케임브리지를 떠난 후, 윌리엄 울러스턴은 버밍엄 킹 에드워드 학교에서 조교로 일하며 성직을 받았다.[2] 1684년부터 1686년까지 세인트 메리 교회, 모즐리의 종신 사제로 봉직했다.1688년 사촌 윌리엄 울러스턴으로부터 핀보로 매너, 레스터셔 셴턴 홀의 반환권을 포함한 재산을 상속받았다.[4][5] 같은 해 11월 런던에 정착한 울러스턴은 학문과 철학 연구에 전념하며, 공적인 직책은 맡지 않았다. 은퇴 후 1722년, 《자연 종교론》을 사적으로 출판했다. 언어, 철학, 종교, 역사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지만,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면서 대부분의 원고를 불태웠다.
2. 3. 말년
울러스턴은 평생 허약한 건강으로 고생했다. 《자연 종교론》을 완성한 직후 사고로 팔이 부러졌고, 체력이 쇠퇴하고 질병이 증가하여 1724년 10월 29일에 사망했다.[4] 그의 시신은 서퍽 그레이트 핀보로로 옮겨져 아내 곁에 묻혔다.3. 《자연 종교론》(The Religion of Nature Delineated)
The Religion of Nature Delineated영어는 계시된 종교에 의존하지 않고 윤리 체계를 만들려는 시도였다.[6] 울러스턴은 도덕적 악은 참된 명제의 실제적 부정이요, 도덕적 선은 그것의 긍정이라는 자신의 이론에 독창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수학을 사용하여 합리주의 윤리를 만들려는 시도는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는 것"이라고 썼다. 그는 "종교적 진리는 유클리드처럼 명백하며, 창조를 숙고하는 모든 사람에게 명확하다"고 주장했다.[6] 뉴턴이 물리 세계의 수학적 모델로부터 자연 법칙을 유도했던 것처럼, 울러스턴은 도덕 세계의 수학적 모델을 통해 도덕 법칙을 유도하려 했다.
3. 1. 핵심 주장
The Religion of Nature Delineated영어는 계시된 종교에 의존하지 않고 윤리 체계를 만들려는 시도였다.[6] 그는 도덕적 악은 참된 명제의 실제적 부정이요, 도덕적 선은 그것의 긍정이라는 자신의 이론에 독창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수학을 사용하여 합리주의 윤리를 만들려는 시도는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는 것"이라고 썼다. 울러스턴은 "종교적 진리는 유클리드처럼 명백하며, 창조를 숙고하는 모든 사람에게 명확하다"고 주장했다.[6] 뉴턴은 물리 세계의 수학적 모델로부터 자연 법칙을 유도했고, 이와 유사하게 울러스턴은 도덕 세계의 수학적 모델을 통해 도덕 법칙을 유도하려 했다.3. 2. 영향 및 평가
1724년 초판 발행 후 불과 몇 년 만에 1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고,[6] 1800년 이전까지 15번 인쇄되었다.[7] 윌리엄 울러스턴의 계시 없는 자연 종교에 대한 생각은 영국에서 이신론 운동에 영감을 주었고 부활시켰다. 오늘날 일부는 그를 "기독교 이신론자"로 간주하지만,[8] 다른 이들은 "윌리엄 울러스턴이 다소 정통적인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상당한 증거가 없다"고 지적한다.[9]울러스턴의 사상은 스코틀랜드 상식 실재론[10]과 공리주의[11]를 예견했다고 평가받지만, 후기 철학 학파의 지지자들은 울러스턴을 비판하고 때로는 조롱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프랜시스 허치슨, 데이비드 흄, 리처드 프라이스, 제레미 벤담이 포함되었다.[12]
1759년 이후 그의 작품은 그 세기 동안 더 이상 출판되지 않았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1726년 판의 조판공으로 일했으며, 이에 대한 답변으로 ''자유와 필연성, 쾌락과 고통에 대한 논문''을 썼다. 그러나 나중에 그는 자신의 팸플릿이 "너무 얕고 설득력이 없어 당혹스럽다"[13]고 생각하여 찾을 수 있는 모든 사본을 불태웠다. 그는 이신론을 거부했지만,[14] 선행을 하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 하나님을 가장 잘 섬기는 것이라고 믿으며 "행복의 추구"에 대한 애정을 유지했다.
새뮤얼 존슨 목사의 대학 철학 교과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실천과 사색에 대한 초점은 더 성숙한 프랭클린을 매료시켰고, 그는 1752년 존슨의 교과서 ''철학의 원리''를 의뢰하여 출판한 다음 필라델피아 대학에서 이를 홍보했다.[15]
4. 가족
1689년 11월 26일, 울러스턴은 캐서린 찰튼(1720년 7월 21일 사망)과 결혼했다. 슬하에 11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4명은 생전에 사망했다.
이름 | 설명 |
---|---|
찰튼 | 장남, 1729년 미혼으로 사망 |
윌리엄 | 입스위치 국회의원 |
프랜시스 | 셋째 아들, FRS (1694–1774) |
존 | 다섯째 아들, 1720년 사망 |
참조
[1]
문서
"A Preface ''containing'' A General Account of the Life, Character, and Writings of the ''Author''"
http://fair-use.org/[...]
John Clarke (dean of Salisbury)
[2]
문서
Wollaston, William
[3]
논문
"William Wollaston (1659–1724): English Deist and Rabbinic Scholar"
1945–1951
[4]
문서
Will of William Wollaston of Shenton, Leicestershire (P.C.C. 1688, Exton quire).
[5]
문서
Shenton Hall was devised to his benefactor's widow until her death (in 1717)
https://archive.org/[...]
Genealogical Memoirs of the Extinct Family of Chester of Chicheley, Their Ancestors and Descendants
1878
[6]
서적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The Untold Story of the British Enlightenment
W. W. Norton & Company
2001
[7]
웹사이트
English Short Title Catalog
http://estc.bl.uk/
[8]
문서
p. 112
[9]
서적
The Enlightenment and Religion: The Myths of Moderni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
[10]
문서
His view that science and math could define a morality based on nature predated the scientific morality of Scottish Common Sense Realism
[11]
문서
Wollaston also held that a person is happy when the sum total of pleasure exceeds pains
[12]
서적
Encyclopedia of Ethics
Taylor & Francis US
2001
[13]
서적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
Simon and Schuster
2004
[14]
문서
p. 46
[15]
서적
Samuel Johnson, President of King's College: His Career and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29
[16]
웹사이트
Wollaston, William
[17]
문서
Wollaston, Francis
[18]
문서
Wollaston, John
[19]
서적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 the untold story of the British Enlightenment
https://www.worldcat[...]
W.W. Norton
2000
[20]
저널
William Wollaston
https://en.wikipedia[...]
2019-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