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삼은 중국에서 유래하여 통일 신라 시대에 한국에 도입된 의복으로, 조선 시대에 이르러 왕실 의례복으로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단령 형태에서 시작하여 점차 형태가 변화하였으며,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상과 장식이 달랐다. 현대에는 조선 왕실 의례 재현, 혼례복, 한국 전통 무용 공연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의상 - 치마저고리
치마저고리는 한국의 전통 여성 의복으로, 저고리와 치마로 구성되며, 조선시대에는 저고리 길이와 색깔이 신분을 나타냈고, 근대에는 개량 논쟁과 흰색 저고리, 검은색 통치마 유행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화했으며, 일부 재일 한국인 학교에서는 교복으로 채택되었으나 혐오 범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민속의상 - 파파하
파파하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성들의 정체성 상징으로 여겨지는 카라쿨 양가죽으로 만든 원통형 모피 모자이며, 러시아 군복으로 채택된 후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착용된다. - 조선의 복식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색동저고리
색동저고리는 여러 색깔의 천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옷으로, 주로 아이들이 명절에 입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색상으로 조화와 상생을 나타내고 어린이 인권 존중의 상징이기도 하다.
원삼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전통 의상 |
용도 | 예복 |
명칭 | |
한글 | 원삼 |
한자 | 圓衫 |
로마자 표기 | wonsam |
상세 정보 | |
특징 | 조선시대 예복의 일종으로, 겉옷에 해당한다. |
착용 계층 | 왕비, 비빈, 공주, 옹주, 사대부 부녀 |
색상 및 재료 |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상과 재료가 달랐다. |
종류 | 황원삼: 왕비, 황후 착용 홍원삼: 왕비, 왕세자비, 옹주, 반가 부녀 혼례복 녹원삼: 공주, 옹주, 반가 부녀 예복 |
2. 역사
원삼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 당나라 의복 중 하나로 한국에 도입되었다고 여겨진다.[1] 이후 한국의 국가적 관습의 일부가 되었다.[1]
조선 초기에는 중국에서 유래된 단삼(홑 겉옷)이라는 의복에서 원삼이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6] 명나라는 조선 왕비에게 의례용 의복과 일상복을 하사했는데, 여기에는 단삼이 포함되어 있었다.[5][6] 하사된 단삼은 처음에는 왕비의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때때로 원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후 원삼이라는 용어가 이 의복의 고정된 이름이 되었다.[5]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원삼의 형태와 모양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형성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눌 수 있다.[7]
시기 | 특징 |
---|---|
15~16세기 | 단령과 유사한 형태, 단령 깃, 여러 번 안으로 접힌 옆 주름(무), 원통형의 곧은 소매, 허리띠[7] |
17세기 초~17세기 중반 (과도기적 원삼) | 단령과 원삼의 복합적 조합, 다양한 형태와 모양, 후기 원삼 발달의 발판[7] |
17세기 중반~19세기 | 서로 마주 보는 깃, 여러 색상의 줄무늬가 있는 크고 넓은 소매, 한삼(둥근 가장자리 옆선), 안으로 접히지 않은 옆 주름(무), 홑겹에서 겹으로, 짙은 청색에서 녹색으로 변화[7] |
19세기 후반~20세기 | 특징과 직물 표준화, 궁중 의례복과 평민 결혼식 의례복의 두 유형[7] |
2. 1. 기원
원삼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 한국에 도입된 당나라 의복 중 하나로 여겨진다.[1] 이후 한국의 국가적 관습의 일부가 되었다.[1]홍나영에 따르면, 원삼은 조선 초기에 사용되었고 중국에서 유래된 단삼(홑 겉옷)이라는 또 다른 의복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6] 중국 명나라는 문종부터 선조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왕이 즉위할 때마다 조선 왕비에게 의례용 의복과 일상복을 하사했는데, 여기에는 오, 군, 단삼이 포함되었다.[5][6] 하사된 단삼은 처음에는 왕비가 일상복으로 착용했으며, 때때로 원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후 원삼이라는 용어가 이 의복의 고정된 이름이 되었다.[5]
2. 2. 발전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원삼의 형태와 모양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형성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눌 수 있다.[7]시기 | 특징 |
---|---|
15~16세기 | 단령과 유사한 형태, 단령 깃, 여러 번 안으로 접힌 옆 주름(무), 원통형의 곧은 소매, 허리띠[7] |
17세기 초~17세기 중반 (과도기적 원삼) | 단령과 원삼의 복합적 조합, 다양한 형태와 모양, 후기 원삼 발달의 발판[7] |
17세기 중반~19세기 | 서로 마주 보는 깃, 여러 색상의 줄무늬가 있는 크고 넓은 소매, 한삼(둥근 가장자리 옆선), 안으로 접히지 않은 옆 주름(무), 홑겹에서 겹으로, 짙은 청색에서 녹색으로 변화[7] |
19세기 후반~20세기 | 특징과 직물 표준화, 궁중 의례복과 평민 결혼식 의례복의 두 유형[7] |
2. 2. 1. 15~16세기
조선 초기인 15~16세기의 원삼은 단령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시기 원삼은 단령 깃, 여러 번 안으로 접힌 옆 주름(무), 원통형의 곧은 소매, 그리고 원삼과 함께 묶는 허리띠를 포함했다.[7]2. 2. 2. 17세기 초~17세기 중반
조선 초기 원삼은 단령 형태와 17세기 원삼의 복합적인 조합이었다. 이 시기에는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형태와 모양의 원삼이 나타났다.[7] 이러한 과도기적 원삼은 이후 원삼 발달의 기반이 되었다.[7]2. 2. 3. 17세기 중반~19세기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원삼의 형태와 모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17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원삼은 서로 마주 보는 깃과 여러 색상의 줄무늬가 있는 크고 넓은 소매를 가졌다.[7] 또한 ''한삼''(즉, 둥근 가장자리 옆선)과 여러 번 안으로 접히지 않은 옆 주름(무)이 특징이었다.[7] 의복은 홑겹에서 겹으로 바뀌었고, 짙은 청색에서 녹색으로의 새로운 색상이 나타났다.[7]2. 2. 4. 19세기 후반~20세기
19세기 후반~20세기 원삼에 사용되는 특징과 직물은 더욱 표준화되었으며, 두 가지 유형의 원삼이 있었다. (1) 궁중에서 사용되는 의례복, (2) 평민이 결혼식에서 의례복으로 사용한 원삼.[7]3. 디자인 및 구성
원삼의 가슴, 어깨, 등 부분의 색상과 장식은 착용자의 품계를 나타낸다.[2] 황후는 노란색, 왕비는 붉은색, 후궁과 공주는 자적색(마젠타), 공주와 양반 계급의 여성은 녹색 원삼을 입었다.[4][8][9] 왕족이 주로 입던 원삼은 평민에게는 결혼식에 한해 녹색 원삼만 허용되었다.[10][2]
원삼은 15세기에 착용했던 여성용 반소매 둥근 깃 로브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병자호란 이후 소매가 길어지고 넓어졌다. 좁은 소매를 가진 한국 고유의 외투인 포와는 다르게, 원삼은 원형 모델에서 변형되어 점차 한국 전통 의복의 특징적인 형태로 진화했다.[8]
3. 1. 재료
원삼은 다양한 종류의 비단으로 만들어졌다. 겨울용 원삼은 광택이 나는 두꺼운 견인 단(緞)으로,[11] 여름용 원삼은 헐겁게 짠 비단인 사(紗)로 제작되었다.[12]4. 현대의 원삼
오늘날 원삼은 주로 조선 왕실 의례의 재현과 혼례복으로 착용되며, 한국 전통 무용을 공연할 때에는 훨씬 간소화된 형태로 착용된다.[13][14]
5. 사진 자료
- -|]]
- -|]]
- -|]]
참조
[1]
논문
A Study on the Items and Shapes of Korean Shrouds
https://www.koreasci[...]
2000
[2]
웹사이트
Official/Court clothing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3]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Britannica
[4]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5]
웹사이트
원삼 ( 圓衫 )
https://folkency.nfm[...]
2022-04-02
[6]
웹사이트
원삼(圓衫)
https://folkency.nfm[...]
2022-04-02
[7]
논문
A Study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Wonsam in the Joseon Dynasty
http://koreascience.[...]
2013
[8]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9]
서적
Color and design
https://www.worldcat[...]
Berg Publishers
2012
[10]
서적
우리옷 만들기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2004
[11]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Britannica
[12]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13]
웹사이트
Hanbok
http://www.koreancul[...]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14]
웹사이트
Dongnae Gomu(Dongnae Drum Dance)
http://eng.pusanmins[...]
Busan Folklore Conservation Association
[15]
웹사이트
Traditional Korean Wedding Dress to be Exhibited at Smithsonian Museum
http://www.dynamic-k[...]
[16]
서적
우리옷 만들기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17]
서적
조선 왕실과 외척
김영사
2003
[18]
서적
규방공예
컬처라인
2000
[19]
서적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북스
2004
[20]
뉴스
'한복'에 귀하게 사용된 색이 따로 있다는데…
http://osen.mt.co.kr[...]
2011-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