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터 시드니 애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시드니 애덤스는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별의 스펙트럼 연구에 주력하여, 별의 스펙트럼 선과 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으며, 스펙트럼을 통해 별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1915년 시리우스의 동반성 연구를 통해 백색 왜성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금성의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이산화 탄소를 발견했다. 그는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브루스 메달 등을 수상했으며, 소행성 3145 월터 아담스와 화성, 달의 충돌구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타키아 출신 -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안티오키아의 마리아는 안티오키아 공국의 공주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로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와의 결혼 후 아들 알렉시우스 2세 콤네노스를 낳았으며, 남편 사후 섭정으로 활동하다 권력 투쟁 중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에 의해 살해된 비극적인 인물이다.
  • 안타키아 출신 - 괴크한 잔
    괴크한 잔은 터키의 전직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하타이스포르, 베식타시 JK, 갈라타사라이 SK 등에서 뛰었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으며, 2008년 UEFA 유로 2008에서 튀르키예 대표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고 터키 쉬페르리그, 터키 컵, 터키 슈퍼컵 등에서 우승했으며, 차나칼레 해협 방어전에 참전한 군인으로서의 이력도 가지고 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조지 스무트
    조지 스무트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학자로, COBE 위성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데이비드 베니오프
    데이비드 베니오프는 미국의 작가이자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자로, 소설 집필과 영화 각본 작업 외에 D.B. 와이스와 함께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쇼러너 및 각본가로, 넷플릭스 《삼체》 시리즈 제작으로도 유명하다.
월터 시드니 애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월터 시드니 애덤스
월터 시드니 애덤스
인물 정보
이름월터 시드니 애덤스
출생1876년 12월 20일
출생지튀르키예 안타키아
사망1956년 5월 11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국적미국
분야천문학
소속윌슨 산 천문대, 여키스 천문대
모교다트머스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수상왕립 천문 학회 금메달 (1917년)
헨리 드레이퍼 메달 (1918년)
발츠 상 (1923년)
브루스 메달 (1928년)
왕립 학회 회원 (1950년)

2. 생애와 업적

애덤스는 오스만 제국 안티오크에서 선교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8] 1885년에 미국으로 이주했다.[1] 1898년 다트머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시카고독일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천문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마운트 윌슨 천문대 대장을 역임했다.

그는 별의 스펙트럼 연구에 몰두하여 별의 절대 등급 측정 및 거성왜성 구분에 기여했으며, 시리우스의 동반성 연구를 통해 백색 왜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또한, 시리우스 B의 중력 적색 편이 측정과 금성 대기의 이산화 탄소 발견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애덤스는 79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파사데나에서 사망했다.

2. 1. 별의 스펙트럼 연구

애덤스의 주요 관심사는 별의 스펙트럼 연구였다. 그는 태양 분광학 연구를 진행했으며, 특정 스펙트럼 선의 상대적 세기와 별의 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를 공동으로 발견했다. 이 발견을 통해 그는 스펙트럼 분석만으로 별이 거성인지 왜성인지를 구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1915년, 애덤스는 시리우스의 동반성(시리우스 B)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시리우스 B의 크기가 지구보다 약간 클 뿐이지만, 표면의 단위 면적당 밝기는 태양보다 훨씬 밝고 질량은 태양과 거의 같다는 사실을 밝혀냈다.[9]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별들은 이후 백색 왜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25년에는 시리우스 B로 인해 발생하는 중력 적색 편이를 관측하여 보고했는데, 이는 당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로 여겨졌다. 다만, 현재 그의 측정값은 정확하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애덤스, 1910년 마운트 윌슨 천문대에서 열린 제4차 국제 태양 연구 협력 연합 회의에서

2. 2. 백색왜성 발견

애덤스의 주요 관심사는 별의 스펙트럼 연구였다. 그는 특정 스펙트럼 선의 상대적 세기와 별의 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를 공동 발견했으며,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별이 거성인지 왜성인지를 구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1915년, 애덤스는 시리우스의 동반성인 시리우스 B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결과, 시리우스 B는 크기가 지구보다 약간 클 뿐이지만, 별 표면의 단위 면적당 밝기는 태양보다 더 밝고 질량은 태양 질량과 거의 같다는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9]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별들은 이후 백색 왜성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천체로 분류되었다. 이 발견은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또한 1925년, 애덤스는 시리우스 B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 적색 편이를 관측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당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현재 그의 측정값은 정확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3. 시리우스 B의 중력 적색 편이 측정 (논란)

애덤스는 1915년부터 시리우스의 동반성(시리우스 B)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 백색 왜성으로 알려지게 되는 천체 연구의 중요한 시작점이었다.[9] 1925년, 그는 시리우스 B에서 방출되는 빛이 강한 중력의 영향으로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 즉 중력 적색 편이를 관측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견은 당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한 효과를 실험적으로 증명한 중요한 사례로 여겨졌다.

그러나 후속 연구와 더 정밀한 관측을 통해, 애덤스가 1925년에 보고한 측정값은 실제 중력 적색 편이 값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그의 측정 결과는 현재 과학계에서 정확한 값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 4. 금성의 이산화탄소 발견

테오도어 던햄과 함께 금성적외선 스펙트럼에서 이산화 탄소가 강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3. 수상 및 영예

연도내용
1915미국 철학 학회 회원 선출
1917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수상
1917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1918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헨리 드레이퍼 메달 수상
1922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1923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발즈 상 수상
1926프랑스 천문학회 최고상인 쥘 얀센 상 수상
1928브루스 메달 수상
1934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얀센 메달 수상
1947헨리 노리스 러셀 강좌 진행
1950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선출


4. 그의 이름을 딴 것


  • 소행성 3145 월터 아담스
  • 화성충돌구인 아담스
  • 충돌구인 아담스 (그와 존 카우치 애덤스, 찰스 히치콕 애덤스의 이름을 공동으로 따서 명명됨)

참조

[1] 간행물 Walter Sydney Adams 1876-1956
[2] 문서 Walter Sydney Adams
[3] MNRAS 117 (1957) 243 http://adsabs.harvar[...]
[4] Obs 76 (1956) 139 http://adsabs.harvar[...]
[5] PASP 68 (1956) 285 http://adsabs.harvar[...]
[6] 백과사전 Adams, Walter Sydney Charles Scribner's Sons
[7] 웹사이트 Walter Adams https://www.britanni[...] 2023-05-02
[8] 웹사이트 Walter Sydney Adams Papers http://www.amphilsoc[...]
[9] 뉴스 A comment on Adams's measurement of the gravitational redshift of Sirius B http://adsabs.harvar[...] Royal Astronomical Society, Quarterly Journal 1985-09
[1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10-31
[11] 뉴스 Awarding of RAS gold medal http://adsabs.harvar[...]
[12] 웹사이트 Walter Adams https://www.nasonlin[...] 2023-10-31
[13] 웹사이트 Henry Draper Meda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19
[14]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06
[15] 간행물 Prix Benjamin Valz http://gallica.bnf.f[...] 1923-12-17
[16] Bruce Medal page Bruce Medal page http://www.phys-astr[...]
[17] Awarding of Bruce Medal Awarding of Bruce Medal http://adsabs.harvar[...]
[18] 웹사이트 Honorary Member: Walter Sydney Adams https://www.rasc.ca/[...]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2012-05-11
[19] 문서 http://www.amphilsoc[...]
[20] 간행물 Walter Sydney Adams 1876-1956
[21] 웹사이트 (3145) Walter Adams = 1955 RY = 1955 SY1 = 1955 TD = 1981 RS2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3
[22] 문서 ジョン・クーチ・アダムズとチャールズ・ヒッチコック・アダムズとの功績を記念し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