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카는 마오리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날지 못하는 뜸부기류 조류를 가리킨다. 웨카는 네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 남섬과 북섬, 그리고 채텀 제도와 스튜어트 섬 등지에 분포한다. 잡식성으로 숲, 초원, 해안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곤충, 열매, 씨앗 등을 섭취한다. 웨카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포식, 서식지 파괴, 질병, 해충 방제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마오리족에게 식량, 도구, 의복 재료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2023년에는 한 리얼리티 쇼에서 웨카를 죽여 먹은 사건이 발생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6년 기재된 새 - 꼬마물떼새
몸길이 약 16cm의 작은 물떼새인 꼬마물떼새는 뚜렷한 노란색 눈테가 특징이며 유라시아 대륙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남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변화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자 독특한 번식 행동과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1786년 기재된 새 - 붉은머리독수리
붉은머리독수리는 인도 아대륙에서 발견되는 중형 구대륙 독수리로, 붉은 머리가 특징이나 서식지 파괴와 디클로페낙 중독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 뜸부기과 - 타카헤
타카헤는 뉴질랜드 고유종이자 현존하는 뜸부기과 조류 중 가장 큰 종으로,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재발견 후 뉴질랜드 정부의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멸종 위기에 처해 섬 보호구역과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 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 뜸부기과 - 레이산뜸부기
레이산뜸부기는 하와이 제도 레이산 섬의 고유종으로, 날지 못하고 무척추동물을 먹었으며, 서식지 파괴와 쥐의 유입으로 인해 1944년에 멸종되었다. - 날지 못하는 새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날지 못하는 새 - 타카헤
타카헤는 뉴질랜드 고유종이자 현존하는 뜸부기과 조류 중 가장 큰 종으로,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재발견 후 뉴질랜드 정부의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멸종 위기에 처해 섬 보호구역과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 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웨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allirallus australis |
속 | 웨카뜸부기속 |
종 | 웨카 |
명명자 | 스파르만, 1786 |
영어 이름 | Weka |
다른 이름 | 마오리 암탉 |
상태 | 취약 (VU) |
상태 기준 | IUCN 3.1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두루미목 |
과 | 뜸부기과 |
기타 | |
국제 조류 위원회 (IOC) 목록 | https://www.worldbirdnames.org/new/bow/flufftails/ |
2. 분포
웨카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고유종이다.[4] 1789년 안데르스 에리크손 스파르만에 의해 ''Rallus australis''로 명명되었다.[8] ''Australis''는 라틴어로 "남쪽의"를 의미한다. 1830년에 요한 게오르그 바글러가 제안한 속명 ''오키드로무스(Ocydromus)''가 한때 사용되었으나,[10] 현재는 ''갈리랄루스(Gallirallus)'' 속으로 분류된다. 웨카는 4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각 아종별 자세한 분포는 '아종별 분포'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아종별 분포
표준 아종(nominate subspecies)인 서부 웨카 (''G. a. australis'')는[17] 넬슨에서 피오르드랜드(Fiordland)까지 남섬의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가슴에 짙은 적갈색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는 서부 웨카는 두 가지 색상 단계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남쪽 범위의 것은 검은색이 더 많다.황갈색 웨카 (''Gallirallus australis hectori'')는[11] 이전에 남섬 동부 지역에 서식했지만, 현재는 1900년대 초에 도입된 채텀 제도와 피트 제도(Pitt Island)에 국한되어 있으며, 가을에 광범위하게 사냥되고 섭취된다(섬에 토착종이 아니기 때문).[12] 캔터베리로의 재도입은 지금까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2004년 와나카 호(Lake Wānaka)의 무 와호(Mou Waho) 섬으로, 그리고 거기서 2005/2006년 와카티푸 호(Lake Wakatipu)의 피전 섬과 피그 섬으로의 도입은 훨씬 더 성공적이었다. 다른 아종보다 전체적으로 색깔이 더 밝다.

북섬 웨카 (''G. a. greyi'')는[13] 노스랜드와 포버티 베이(Poverty Bay)의 원래 개체군과 그 개체군에서 다른 곳으로 이주한 개체군으로 대표된다. 이 아종은 회색빛 아랫부분과 적갈색이 아닌 갈색 다리로 구별된다.[14] 더니든(Dunedin) 지역 주변의 개별 관찰은 남동부 남섬에 몇몇 개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데, 은밀하거나 우발적인 도입이거나, 이전에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던 개체군의 잔재일 가능성이 있다.[15][16]
스튜어트 섬 웨카 (''G. a. scotti'')는 다른 아종보다 작으며, 서부 웨카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색상 단계를 가지고 있다. 밤색 형태는 밤색 단계의 서부 웨카와 유사하며, 검은색 형태는 서부 웨카의 검은색보다 어둡지 않다. 재도입 개체군은 스튜어트 섬/라키우라(Stewart Island / Rakiura)와 외딴 지역[18] 및 도입된 카피티 섬(Kapiti Island)에 국한되어 있다.[14]
3. 형태
웨카는 큰 뜸부기류 새로, 몸 전체가 검정과 회색이 섞인 진한 갈색을 띤다. 아종에 따라 갈색 농도는 차이가 있다. 수컷은 몸길이 50cm~60cm, 몸무게 532g~1605g이며, 암컷(몸길이 46cm~50cm, 몸무게 350g~1035g)보다 크다. 날개폭은 50cm~60cm이다.[5]
붉은 갈색 부리는 길이 약 5cm로 굵고 뾰족하며 무기로 사용된다. 뾰족한 꼬리는 거의 항상 움직이는데, 이는 뜸부기과의 특징적인 불안 신호이다. 웨카는 튼튼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가지고 있다.[6][7]
3. 1. 특징
웨카는 큰 뜸부기류이다. 주로 검정색과 회색이 섞인 진한 갈색이며, 아종에 따라 갈색의 농도는 연한색에서 진한색까지 다양하다. 수컷은 몸길이 50cm~60cm, 몸무게 532g~1605g이며, 암컷보다 크다. 암컷은 몸길이 46cm~50cm, 몸무게 350g~1035g이다. 날개폭은 50cm~60cm 정도로 작다.[5]비교적 크고 붉은 갈색의 부리는 길이 약 5cm 정도이며, 굵고 뾰족하며 무기로 사용된다. 뾰족한 꼬리는 거의 끊임없이 움직이는데, 이는 뜸부기과의 특징적인 불안의 신호이다. 웨카는 튼튼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가지고 있어 날 수 없다.[6][7]
4. 생태
웨카는 숲, 아고산 초원, 사구, 암석 해안 및 변형된 준도시 환경과 같은 지역에 서식한다.
4. 1. 행동
웨카는 잡식성이며, 식단의 30%는 동물성, 70%는 식물성 식품으로 구성된다. 동물성 식품에는 지렁이, 유충, 딱정벌레, 웨타, 개미, 잔디 애벌레, 민달팽이, 달팽이, 곤충 알, 쥐며느리, 개구리, 거미, 쥐, 생쥐 및 작은 새가 포함된다. 스튜어트 섬 웨카(''G. a. scotti'')는 검은머리바다제비(''Puffinus griseus'')의 알과 새끼를 포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19]식물성 식품에는 잎, 풀, 열매 및 씨앗이 포함된다. 웨카는 씨앗을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은 열매를 먹는 새보다 더 큰 씨앗을 분산시킨다.[20] 웨카가 비교적 흔한 곳에서는, 은밀한 호기심 때문에 집과 캠프 주변에서 음식물 쓰레기나 생소하고 운반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다닌다.[6] 특히 반짝이는 물건을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주로 초지와 관목림의 덤불을 서식지로 삼는다. 달리는 속도가 빠르며, 필요하다면 수영도 할 수 있다. 지상성 조류의 둥지를 습격하여 알이나 새끼를 포식하기도 한다. 뜸부기류로서는 비교적 경계심이 적은 편이다.
4. 2. 번식
번식기는 다양하지만, 먹이가 풍부할 경우 웨카는 일년 내내 최대 4번까지 새끼를 키울 수 있다. 둥지는 빽빽한 식물 아래 보호되는 지면에 만들어지며, 풀(또는 유사한 재료)을 이용하여 약 4개의 알을 품을 수 있는 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평균적으로 암컷 웨카는 갈색과 연보라색 얼룩이 있는 크림색 또는 분홍색 알을 3개 낳는다. 수컷과 암컷 모두 알을 품는다. 새끼는 한 달 후에 부화하며, 6~10주가 될 때까지 부모 모두에게 먹이를 받는다.[6][7]5. 인간과의 관계
웨카는 호기심 많고 사나운 성격으로 인해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어, 일부 마오리 부족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마오리족은 웨카를 식량, 향수, 염증 치료에 쓰이는 기름, 옷에 사용되는 깃털, 그리고 개를 잡는 미끼로 활용했다.[26] 초기 유럽 탐험가와 정착민들도 웨카를 자주 만나 "덤불 닭"이라고 부르며 이용했다.[27]
5. 1. 보존 상태
웨카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1999년에 승인된 뉴질랜드 보존부의 웨카 복원 계획은 멸종 위기에 처한 웨카의 보존 상태를 개선하고, 자료 부족으로 상태가 불명확한 웨카의 상태를 명확히 하며, 다른 웨카의 비멸종 위기 상태를 유지하고, 궁극적으로 모든 웨카를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전통적인 서식 범위로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웨카는 보존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특히 자연적으로 서식하지 않는 섬에 도입되었을 때, 해안 섬의 다른 멸종 위기 야생 동물에게 문제가 되기도 한다.[23] 웨카는 북섬과 남섬에서 현재 직면하고 있는 압력을 견딜 수 없다. 그러나 좋은 조건과 풍부한 먹이가 있으면 매우 생산적일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연중 번식이 기록되었으며, 연간 최대 14마리의 새끼를 낳기도 한다. 웨카 개체군은 크게 변형된 서식지에서도 지속될 수 있지만, 이전 서식 범위의 광대한 지역에서 사라졌다는 것은 다양한 조건에 적응할 수 있지만 특히 위협에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한다.[22]

뉴질랜드 보존부는 웨카에 대한 주요 위협 요소로 여덟 가지를 제시한다. 족제비, 고양이, 개에 의한 포식은 성체 웨카에 위협이 되며,[24] 흰족제비와 족제비는 새끼 웨카에, 흰족제비와 쥐는 알에 위협이 된다. 웨카는 도입종과 과일과 무척추동물을 두고 경쟁하며, 초식동물이 숲의 구성과 재생에 미치는 영향으로 고통받는다. 숲과 습지의 변형과 훼손으로 서식지 감소가 발생한다. 질병과 기생충이 개체수 감소와 관련이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가뭄은 일부 지역에서 웨카가 사라진 것과 관련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동차가 상당한 로드킬 사망 원인이 된다. 해충 방제 작업은 때때로 웨카를 죽이는데, 웨카는 지상에서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에 독극물 미끼에 취약하고, 웨카가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올무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세대를 거치면서 유전자 전달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상실되어 고립된 개체군에 영향을 미친다.[25]
5. 2. 기타
2023년 10월, 한 리얼리티 쇼에 출연한 2인조 팀이 웨카 한 마리를 죽여 먹은 후 실격 처리되었다. 한 출연자는 절박한 상황에서의 행동이었다고 주장했지만, 웨카가 보호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다. 이들은 또한 보존부(Department of Conservation)로부터 경고장을 받았다.[28][29][30]참조
[1]
IUCN
Gallirallus australis
2021-11-12
[2]
웹사이트
Māori hen
https://www.collinsd[...]
Collins English Dictionary
2020-07-04
[3]
웹사이트
Finfoots, flufftails, rails, trumpeters, cranes, Limpkin – IOC World Bird List
https://www.worldbir[...]
2022-08-24
[4]
논문
Closing the gap: Avian lineage splits at a young, narrow seaway imply a protracted history of mixed population response
2017-00-00
[5]
웹사이트
Facts Weka
http://www.arkive.or[...]
Arkive.org
2012-03-14
[6]
웹사이트
WEKA – 1966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http://www.teara.gov[...]
Teara.govt.nz
2010-10-16
[7]
웹사이트
Large forest birds – Weka –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nd
http://www.teara.gov[...]
Teara.govt.nz
2010-10-16
[8]
서적
Museum Carlsonianum
https://www.biodiver[...]
Holmiae :Ex Typographia Regia
2016-09-06
[9]
논문
The extant type specimens of birds from New Zealand and the Society Islands collected on Cook's second voyage and described by Anders Sparrman in Museum Carlsonianum (1786–1789)
http://notornis.osnz[...]
[10]
백과사전
Ocydrome
[11]
웹사이트
Holotype and specimens of Gallirallus australis hectori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6
[12]
웹사이트
What's the story with weka?
https://chathams.co.[...]
Chatham Islands Community
2020-07-04
[13]
웹사이트
Specimens of Gallirallus australis greyi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6
[14]
서적
Penguin Pocket Guides: New Zealand's Native Birds of Bush and Countryside
Penguin Books
1996-00-00
[15]
뉴스
Mystery over weka found at Brighton
https://www.odt.co.n[...]
2024-12-20
[16]
뉴스
Weka wanders into student flat
https://www.odt.co.n[...]
2024-12-20
[17]
웹사이트
Specimens of Gallirallus australis australis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6
[18]
웹사이트
Weka New Zealand Birds Online
http://nzbirdsonline[...]
2016-05-29
[19]
논문
Weka (Gallirallus australis) depredation of sooty shearwater/titi (Puffinus griseus) chicks
https://www.birdsnz.[...]
2024-07-27
[20]
웹사이트
DOC, Facts about Weka
http://www.doc.govt.[...]
Doc.govt.nz
2010-10-16
[21]
서적
Visitor's Guide: New Zealand
https://books.google[...]
MPC
1996-00-00
[22]
웹사이트
DOC's work with weka: Native land birds conservation
http://www.doc.govt.[...]
Doc.govt.nz
2010-10-16
[23]
웹사이트
Facts: Weka: Native land birds: Conservation
http://www.doc.govt.[...]
Doc.govt.nz
2010-10-16
[24]
웹사이트
Dog owner prosecuted over weka killing
http://www.nzherald.[...]
Nzherald.co.nz
2010-10-16
[25]
웹사이트
Threats: Weka
http://www.doc.govt.[...]
Doc.govt.nz
2010-10-16
[26]
웹사이트
Kahu weka (weka feather cloak)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6
[27]
서적
Weka (Gallirallus australis) recovery plan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New Zealand
[28]
뉴스
US reality show contestant kills and eats protected bird in New Zealand
https://edition.cnn.[...]
CNN
2024-07-24
[29]
뉴스
TV contestant killed and ate protected bird - NZ media
https://www.bbc.com/[...]
BBC World Service
2024-07-24
[30]
뉴스
US reality contestant kills and eats protected bird on NZ-filmed TV show
https://www.abc.net.[...]
ABC News
2024-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