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턱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턱신경은 삼차신경의 한 가지로, 얼굴 중간 부분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이다. 해면정맥굴을 지나 원형구멍을 통과하여 머리뼈를 빠져나온 후, 날개입천장신경절로 가지를 낸다. 이후 눈확으로 들어가 눈확아래구멍을 통해 아래눈꺼풀가지, 가쪽코가지, 윗입술가지로 나뉜다. 위턱신경은 부교감신경계 섬유를 운반하며, 뇌막, 날개입천장오목, 눈확아래관, 얼굴 부위에서 여러 가지 신경으로 분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차신경 - 아래턱신경
아래턱신경은 삼차신경의 가지로, 턱과 구강 부위의 감각 및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뇌막가지, 깨물근신경, 볼신경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로 나뉜다. - 삼차신경 - 빛 재채기 반사
빛 재채기 반사는 밝은 빛에 노출될 때 나타나는 억제할 수 없는 재채기 현상이며, 삼차 신경과 시신경의 상호작용, 유전적 요인 등과 관련되어 있고,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는 가능하다. - 두경부 신경 - 가로막신경
가로막신경은 목 척수에서 시작하여 횡격막의 운동 및 섬유심장막 등의 감각 기능을 담당하며 호흡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손상 시 딸꾹질이나 가로막 마비 등을 유발하며 팔신경얼기 손상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 두경부 신경 - 위후두신경
위후두신경은 속목동맥 뒤에서 갈라져 반지방패근을 지배하고 후두 점막의 감각 정보를 전달하며, 손상 시 목소리 변화, 기침 반사 소실 등을 유발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위턱신경 | |
---|---|
개요 | |
라틴어 | nervus maxillaris |
기원 | 삼차신경 |
분지 | 눈확아래신경 광대신경 입천장신경 코입천장신경 나비입천장신경절 |
관할 영역 | 얼굴 중간 부위 |
세부 가지 | |
경질막가지 | 경질막에 분포 |
광대신경 | 광대 부위 감각 담당 |
날개입천장신경 | 눈물신경 코가지 큰입천장신경 작은입천장신경 위뒤잇몸신경 |
위턱신경절가지 | 날개입천장신경절과 연결 |
눈확아래신경 | 아래눈꺼풀가지 코가지 위입술가지 |
위뒤이틀가지 | 위쪽 어금니와 잇몸에 분포 |
관련 질환 | |
삼차신경통 | 위턱신경 영역 통증 유발 가능 |
그림 | |
![]() | |
![]() | |
메시(MeSH) | |
메시 이름 | Maxillary Nerve |
메시 번호 | A08.800.800.120.760.550 |
2. 구조
위턱신경은 삼차신경절의 중간에서 시작하여 해면정맥굴의 가쪽 벽을 따라 주행한다. 원형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빠져나간 후, 날개입천장오목을 가로질러 위턱뼈 뒤쪽에서 가쪽으로 올라간다. 이후 아래눈확틈새를 통해 눈확으로 들어가 눈확 바닥을 따라 앞쪽으로 주행하며, 눈확아래고랑과 눈확아래관을 지나 눈확아래구멍을 통해 얼굴로 나온다. 위턱동맥의 눈확아래가지와 동반 정맥이 위턱신경과 함께 주행한다.
2. 1. 가지
위턱신경의 가지는 분지되는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머리뼈 안 | 날개입천장오목 안 | 눈확아래관 | 얼굴 |
---|---|---|---|
중간뇌막신경 | 광대신경, 코입천장신경, 뒤위이틀신경, 큰입천장신경, 작은입천장신경, 인두신경 | 중간위이틀신경, 앞위이틀신경, 눈확아래신경 | 아래눈꺼풀신경, 윗입술신경, 가쪽코신경 |
2. 1. 1. 머리뼈 안
뇌막의 중간뇌막신경[1]2. 1. 2. 날개입천장오목 안
광대신경은 아래눈확틈새를 통해 나오며, 광대관자신경과 광대얼굴신경은 광대신경의 가지이다. 코입천장신경은 나비입천장구멍을 통해 나온다. 뒤위이틀신경, 큰입천장신경, 작은입천장신경, 인두신경도 이 위치에서 갈라져 나온다.
2. 1. 3. 눈확아래관
중간위이틀신경, 앞위이틀신경, 눈확아래신경이 눈확아래관에서 갈라져 나온다.2. 1. 4. 얼굴
아래눈꺼풀신경, 윗입술신경, 가쪽코신경이 얼굴에서 위턱신경의 가지로 나온다.[1]
3. 기능
위턱신경은 얼굴 중간 부분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 또한 부교감신경계의 신경절 이전 섬유(나비입천장신경)와 신경절 이후 섬유(광대신경, 큰입천장신경, 아래입천장신경, 코입천장신경)를 날개입천장신경절로부터, 또는 날개입천장신경절로 운반하여,[1] 눈물샘, 코샘, 입천장샘의 분비 기능을 조절한다.
4.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Synopsis of cranial nerves
2006
[2]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3]
서적
Synopsis of cranial nerves
2006
[4]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