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헴 본 홈버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폰 홈버그는 독일 출신의 배우, 프로레슬러, 권투 선수였다. 그는 1940년 베를린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의 나치 독일 시절의 경험과 복서, 레슬러로서의 이력을 거쳐 1960년대 미국에서 프로 레슬러로 활동했다. 폰 홈버그는 권투 선수로 전향하여 미국에서 21번의 경기를 치렀으며, 이후 독일로 돌아와 유럽 권투 연합(EBU) 라이트 헤비급 타이틀전에 출전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배우로 활동하며 영화 《다이 하드》, 《고스트버스터즈 2》 등에 출연했다. 그는 말년에는 노숙 생활을 하다가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소수자 프로레슬러 - 토니 스톰
토니 스톰은 오클랜드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며 여러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2023년부터는 "Timeless" 토니 스톰이라는 독특한 기믹을 선보이고 있다. - 성소수자 프로레슬러 - 소냐 드빌
소냐 드빌(다리아 베레나토)은 미국의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로, WWE 역사상 최초로 커밍아웃한 여성 레슬러이며, WWE에서 태그팀 활동 및 챔피언십 우승 경력이 있고, 현재 퓨어 퓨전 콜렉티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 양성애자 스포츠인 - 나딘 앙거러
나딘 앙거러는 독일의 은퇴한 여자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1996년 독일 여자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고, 2013년 UEFA 올해의 여자 선수, FIFA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골키퍼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양성애자 스포츠인 - 토니 스톰
토니 스톰은 오클랜드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며 여러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2023년부터는 "Timeless" 토니 스톰이라는 독특한 기믹을 선보이고 있다. - 독일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나딘 앙거러
나딘 앙거러는 독일의 은퇴한 여자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1996년 독일 여자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고, 2013년 UEFA 올해의 여자 선수, FIFA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골키퍼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독일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이자벨 케르쇼프스키는 독일 여자 축구 선수로, 프라우엔-분데스리가의 여러 클럽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회 우승 및 201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등의 업적을 달성했고, 2006년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MVP를 수상했다.
윌헴 본 홈버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노르베르트 그루페 |
개인 정보 | |
출생 | 1940년 8월 25일, 베를린, 독일 |
사망 | 2004년 3월 10일 (향년 63세), 푸에르토 발라르타, 멕시코 |
직업 | 권투 선수, 배우, 프로 레슬러 |
활동 기간 | 1960년−2000년 |
권투 정보 | |
별칭 | 빌헬름 폰 홈부르크 |
신장 | 6 ft 1 in |
체급 | 헤비급, 라이트 헤비급 |
스탠스 | 오소독스 스탠스 |
총 경기 수 | 47 |
승리 | 30 |
KO 승 | 24 |
패배 | 11 |
무승부 | 6 |
2. 생애
노르베르트 그루페는 1940년 8월 25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 리하르트 그루페(1915년 – 1988년 8월 5일)는 나치 독일에서 제빵사로 일했으며, 이후에는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복서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에서 근무한 지역 경찰관이 되었다.[3] 리하르트는 이 시기에 대해 "나는 결코 나치가 아니었다. 당에 가입한 적도 없다. 히틀러 유겐트에 있지도 않았다...나는 제과 기술자였다...유대인들과는 별로 인연이 없었다. 그러나 그들을 미워한 적은 결코 없다. 그들을 미워한 적은 없다. 히틀러가 유대인들에게 저지른 일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3]
전쟁 후 리하르트는 1946년부터 1952년까지 프로 복서로 활동하며 26승(20KO승), 8패, 6무의 전적을 기록했다.[3] 이후에는 레슬러로 유럽을 순회했다. 노르베르트는 리하르트의 여자친구에게서 태어났고, 리하르트의 첫 번째 부인은 그루페의 형제 빈프리트를 낳았다.[3] 리하르트의 두 번째 부인인 울슐라는 노르베르트 그루페와 나이가 더 가깝고 훨씬 어렸으며, 그루페의 여동생 로나를 낳았다. 울슐라는 5년 후에 가족을 떠났다.[3] 로나에 따르면, 그루페는 빈프리트에 대해 씁쓸한 질투심을 보였는데, 빈프리트의 어머니는 항상 옆에 있었지만, 그루페의 부재한 어머니는 그에게 말을 걸지도 않았기 때문이다.[3]
몇 년 후, 로나가 십 대 중반이 되었을 때, 리하르트는 1959년 어느 시점에, 로나가 태어나기 전해에 리하르트는 집을 비웠고, 아마 레슬링 여행을 갔으며, 울슐라는 집에 혼자 있었다고 말했다. 그루페는 화재 탈출구를 통해 집으로 들어가 그녀를 강간했다. 리하르트는 그루페가 로나의 생물학적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십 년 후, 리하르트가 죽기 전에 혼수상태에 빠졌을 때, 로나는 혈액 검사를 받았고, 리하르트가 그녀의 아버지임이 증명되었다.[3]
2. 1. 초기 생애 (1940-1960)
노르베르트 그루페는 1940년 8월 25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 리하르트 그루페(1915년 – 1988년 8월 5일)는 나치 독일에서 제빵사로 일했으며, 이후에는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복서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에서 근무한 지역 경찰관이 되었다.[3] 리하르트는 이 시기에 대해 "나는 결코 나치가 아니었다. 당에 가입한 적도 없다. 히틀러 유겐트에 있지도 않았다...나는 제과 기술자였다...유대인들과는 별로 인연이 없었다. 그러나 그들을 미워한 적은 결코 없다. 그들을 미워한 적은 없다. 히틀러가 유대인들에게 저지른 일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3]전쟁 후 리하르트는 1946년부터 1952년까지 프로 복서로 활동하며 26승(20KO승), 8패, 6무의 전적을 기록했다.[3] 이후에는 레슬러로 유럽을 순회했다. 노르베르트는 리하르트의 여자친구에게서 태어났고, 리하르트의 첫 번째 부인은 그루페의 형제 빈프리트를 낳았다.[3] 리하르트의 두 번째 부인인 울슐라는 노르베르트 그루페와 나이가 더 가깝고 훨씬 어렸으며, 그루페의 여동생 로나를 낳았다. 울슐라는 5년 후에 가족을 떠났다.[3] 로나에 따르면, 그루페는 빈프리트에 대해 씁쓸한 질투심을 보였는데, 빈프리트의 어머니는 항상 옆에 있었지만, 그루페의 부재한 어머니는 그에게 말을 걸지도 않았기 때문이다.[3]
몇 년 후, 로나가 십 대 중반이 되었을 때, 리하르트는 1959년 어느 시점에, 로나가 태어나기 전해에 리하르트는 집을 비웠고, 아마 레슬링 여행을 갔으며, 울슐라는 집에 혼자 있었다고 말했다. 그루페는 화재 탈출구를 통해 집으로 들어가 그녀를 강간했다. 리하르트는 그루페가 로나의 생물학적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십 년 후, 리하르트가 죽기 전에 혼수상태에 빠졌을 때, 로나는 혈액 검사를 받았고, 리하르트가 그녀의 아버지임이 증명되었다.[3]
2. 2. 프로레슬러 및 권투 선수 시절 (1960-1970)
어린 시절 그루페는 정육점 노동자, 정육점 점원, 부두 노동자, 웨이터로 일했다. 10세에 권투 훈련을 시작한 그루페는 학교를 마칠 즈음 몇 차례의 아마추어 권투 시합에서 우승했다. 1960년경, 리하르트는 레슬링 경력을 쌓기 위해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키 190cm에 몸무게 103kg에 달했던 그루페는 곧 캘리포니아의 유명한 베니스 웨이트 펜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미래의 영화 배우 아놀드 슈워제네거와 친분을 쌓았다.[3][4] 부자 듀오는 바이킹 의상을 입고, 더 바이킹스라는 이름으로 태그팀을 결성하여 로스앤젤레스 콜리세움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레슬링을 했다. 이후 그들은 폰 홈부르크 형제로 이름을 바꾸고, 악역으로 활동하며 하룻밤에 총 100달러도 안 되는 돈을 받았다.[3][4] 그루페는 자신의 성이 "groupie"라는 단어와 너무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프린스 빌헬름 폰 홈부르크로 이름을 바꿨다. 그는 때때로 외알 안경과 독일의 독수리를 착용했다. 그는 나중에 할리우드에서 그것을 사용한 것을 후회하며 "유대인들이 지배하는 산업에서 스스로를 '폰 홈부르크'라고 부르는 것은 정말 멍청한 짓이었어요. 그들이 누군 줄 알겠어요? 나치 귀족이요."라고 말했다. 레슬링 파트너십이 끝난 후, 부자는 서로 소원해졌다.[3][4]1962년, 폰 홈버그는 레슬러 시절에 갈고 닦았던 쇼맨십과 허풍, 건방진 모습을 십분 활용하여 권투 선수로 전향했다. 그는 미국에서 21번의 프로 경기를 치러 16번을 승리했으며,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라이트 헤비급 선수로 활약했다.[3] 이후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다가 고국인 독일로 돌아가서는 모피 코트를 입고, 시가를 피우며, 심판과 관중을 조롱하는 등, 평소 점잖은 독일 권투계가 충격받을 만한 행동을 보였다. 한 언론인 슈피겔지 기자는 폰 홈버그를 세계 7위로 평가했다. 그는 금발 머리를 귀 위까지 기르면서 "비틀스 복서"라는 별명을 얻었다.[3]
폰 홈버그는 1966년, EBU 지역 라이트 헤비급 타이틀을 놓고 피에로 델 파파와 베를린에서 첫 챔피언십 경기를 치렀다. 폰 홈버그는 11라운드에 델 파파를 KO시켰지만, 심판이 폰 홈버그의 미세한 머리 움직임을 반칙인 머리 부딪히기로 선언하면서 실격 처리되었다.[3] 이 경기는 폰 홈버그의 평생의 한이 되었으며, 그는 심판의 편견을 탓하며 "나는 당시 독일 권투계 최고의 선수였는데, 70세 된 프랑스인이 심판을 봤다. 우리는 모두 독일이 그의 부모와 여동생에게 무슨 짓을 했는지 알고 있다"고 말했다.[3]
폰 홈버그는 권투 선수 생활 동안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쇼에 단역으로 출연했으며, 주로 빌헬름 폰 홈버그라는 이름으로 출연했다. 예를 들어, 1964년 4월 25일 방영된 ''건스모크''의 "홍보업자" 에피소드에서는 경기를 조작하라는 거액의 뇌물을 받는 오토라는 권투 선수 역을 맡았다.[3]
이후 세 번의 경기에서 연달아 패배한 폰 홈버그는 1970년 30세의 나이로 권투에서 은퇴했다.[3]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 날짜 | 장소 | 비고 |
---|---|---|---|---|---|---|---|
패 | 30–11–6 | 뤼디거 슈미트케/뤼디거 슈미트케de | 판정패 | 10 | 1970년 12월 11일 | 쾰른de,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패 | 30–10–6 | 위르겐 블린/위르겐 블린de | 판정패 | 10 | 1969년 12월 12일 | 쾰른 슈포르트할레/슈포르트할레 쾰른de, 쾰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패 | 30–9–6 | 뤼디거 슈미트케/뤼디거 슈미트케de | 판정패 | 10 | 1969년 11월 14일 | 프랑크푸르트 페스트할레/페스트할레 프랑크푸르트de, 프랑크푸르트, 헤센 | |
패 | 30–8–6 | 오스카 보나베나/오스카 보나베나es | TKO | 3 | 1969년 6월 20일 | 베를린 스포츠 궁전/슈포르트팔라스트de, 쇠네베르크, 서베를린 | |
승 | 30–7–6 | 줄리오 리날디/줄리오 리날디it | TKO | 7 | 1969년 4월 2일 | 베를린 스포츠 궁전, 쇠네베르크, 서베를린 | |
패 | 29–7–6 | 줄리오 리날디/줄리오 리날디it | 판정패 | 10 | 1969년 2월 14일 | 에른스트 메르크 홀/에른스트 메르크 홀레de, 함부르크 | |
승 | 29–6–6 | 줄리오 리날디/줄리오 리날디it | TKO | 5 | 1969년 1월 3일 | 베를린 스포츠 궁전, 쇠네베르크, 서베를린 | |
승 | 28–6–6 | 게르하르트 체흐/게르하르트 체흐de | 판정승 | 10 | 1968년 11월 8일 | 에른스트 메르크 홀, 함부르크 | 독일 BDB 헤비급 타이틀 결정전. |
승 | 27–6–6 | 프랭클린 아린델/프랭클린 아린델nl | KO | 3 | 1968년 9월 18일 | 호에 바르테 경기장/호에 바르테 스타디움de, 빈 | |
승 | 26–6–6 | 루돌프 네링/루돌프 네링de | TKO | 8 | 1968년 8월 30일 | 베를린 스포츠 궁전, 쇠네베르크, 서베를린 | |
패 | 25–6–6 | 데이비드 E. 베일리/데이비드 E. 베일리영어 | 판정패 | 10 | 1968년 4월 11일 | 베를린 스포츠 궁전, 쇠네베르크, 서베를린 | |
승 | 25–5–6 | 폴 루 | KO | 5 | 1967년 12월 15일 | 서커스 크론 빌딩/크로네 서커스de, 뮌헨, 바이에른 | |
무승부 | 24–5–6 | 레이 패터슨 | 판정 | 10 | 1967년 5월 3일 | 베스트팔렌 경기장/베스트팔렌할렌de, 도르트문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승 | 24–5–5 | 아치 맥브라이드/아치 맥브라이드영어 | KO | 9 | 1966년 12월 9일 | 프랑크푸르트 페스트할레, 프랑크푸르트, 헤센 | |
패 | 23–5–5 | 피에로 델 파파/피에로 델 파파it | 실격 | 11 | 1966년 11월 19일 | 도이칠란트 경기장/도이칠란트할레de, 샬로텐부르크, 서베를린 | 유럽 복싱 연맹(EBU) 라이트 헤비급 타이틀. |
무승부 | 23–4–5 | 에리히 쇨프너/에리히 쇨프너de | 판정 | 10 | 1966년 5월 14일 | 베스트팔렌 경기장, 도르트문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무승부 | 23–4–4 | 아치 맥브라이드/아치 맥브라이드영어 | 판정 | 10 | 1965년 5월 28일 | 도이칠란트 경기장, 샬로텐부르크, 서베를린 | |
승 | 23–4–3 | 바스 판 다이벤보데/바스 판 다이벤보데nl | KO | 4 | 1965년 4월 29일 | 뉴 스포츠 홀/노이에 슈포르트할레de, 하노버, 니더작센 | |
승 | 22–4–3 | 호세 앙헬 만주르/호세 앙헬 만주르es | TKO | 8 | 1965년 4월 2일 | 슈타트할레/비너 슈타트할레de, 빈 | |
승 | 21–4–3 | 울리 리터/울리 리터de | TKO | 6 | 1965년 2월 20일 | 발트해 홀/오스트제할레de, 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
패 | 20–4–3 | 피에로 토마소니/피에로 토마소니it | 판정패 | 10 | 1965년 1월 16일 | 베스트팔렌 경기장, 도르트문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승 | 20–3–3 | 조셉 시오즈/조셉 시오즈프랑스어 | TKO | 10 | 1964년 12월 5일 | 쾰른 슈포르트할레, 쾰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승 | 19–3–3 | 폴 크라우스 | KO | 3 | 1964년 11월 27일 | 발트해 홀, 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
승 | 18–3–3 | 라르스 올라프 노를링/라르스 올라프 노를링sv | TKO | 9 | 1964년 11월 6일 | 에른스트 메르크 홀, 함부르크 | |
승 | 17–3–3 | 장 위반/장 위반프랑스어 | KO | 6 | 1964년 5월 29일 | 베저-엠스 홀/베저-엠스 할레de, 올덴부르크, 니더작센 | |
무승부 | 16–3–3 | 울리 리터/울리 리터de | 판정 | 10 | 1964년 5월 8일 | 에른스트 메르크 홀, 함부르크 | |
승 | 16–3–2 | 로이 크리어/로이 크리어영어 | KO | 5 | 1964년 4월 7일 | 스톡야드 콜로세움/오클라호마 시티#스톡야드 시티의 인접 지역영어, 오클라호마 시티 | |
승 | 15–3–2 | 밥 맥키니 | TKO | 9 | 1964년 1월 6일 | 뉴욕 콜로세움/뉴욕 콜로세움영어, 브롱크스, 뉴욕 | |
승 | 14–3–2 | 먼로 랫리프/먼로 랫리프영어 | SD | 10 | 1963년 11월 18일 | 산타 모니카 시빅 오디토리움/산타 모니카 시빅 오디토리움영어, 산타 모니카, 캘리포니아 | 7–3, 8–1, 3–6. |
패 | 13–3–2 | 빌리 스테판/빌리 스테판영어 | 판정패 | 10 | 1963년 9월 19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올림픽 오디토리움영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4–7. |
패 | 13–2–2 | 척 레슬리/척 레슬리영어 | 판정패 | 10 | 1963년 7월 23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
승 | 13–1–2 | 바비 샌드/바비 샌드영어 | TKO | 9 | 1963년 6월 24일 | 물랑 루즈,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심판은 9라운드 1분 9초에 경기를 중단시켰다. |
무승부 | 12–1–2 | 토미 메릴/토미 메릴영어 | 판정 | 6 | 1963년 6월 1일 |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영어, 라스베이거스, 네바다 | |
승 | 12–1–1 | 바비 샌드/바비 샌드영어 | TKO | 9 | 1963년 5월 20일 | 물랑 루즈,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심판은 9라운드 2분 29초에 경기를 중단시켰다. |
승 | 11–1–1 | 피트 곤잘레스/피트 곤잘레스영어 | KO | 3 | 1963년 3월 25일 | 물랑 루즈,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
승 | 10–1–1 | 거스 칼프 로브/거스 칼프 로브영어 | KO | 6 | 1963년 2월 25일 | 물랑 루즈,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
승 | 9–1–1 | 클리포드 그레이 | TKO | 1 | 1963년 2월 19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심판은 1라운드 2분 35초에 경기를 중단시켰다. |
승 | 8–1–1 | 밥 멈포드/밥 멈포드영어 | KO | 6 | 1963년 2월 15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승 | 7–1–1 | 얀시 D. 스미스/얀시 D. 스미스영어 | UD | 8 | 1963년 1월 22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5–2, 5–2, 6–2. |
승 | 6–1–1 | 얀시 D. 스미스/얀시 D. 스미스영어 | 판정 | 8 | 1963년 1월 15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6–3. |
승 | 5–1–1 | 클리포드 그레이 | 판정 | 6 | 1962년 12월 18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
승 | 4–1–1 | 존 L. 데이비/존 L. 데이비영어 | 판정 | 6 | 1962년 12월 14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패 | 3–1–1 | 프리먼 하딘/프리먼 하딘영어 | KO | 3 | 1962년 10월 25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승 | 3–0–1 | 알 커밍스/알 커밍스영어 | KO | 3 | 1962년 9월 21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승 | 2–0–1 | 토니 펀/토니 펀영어 | KO | 3 | 1962년 8월 24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승 | 1–0–1 | 밥 브라운 | KO | 2 | 1962년 8월 16일 | 샌디에고 콜로세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 |
무승부 | 0–0–1 | 샘 와이어트/샘 와이어트영어 | 판정 | 4 | 1962년 7월 20일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로스앤젤레스 스포츠 아레나영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2. 3. 배우 활동 (1965-2002)
베르너 헤어조크 감독의 1977년 영화 ''스트로셰크''에서 폭력적인 포주 역을 맡았다. 1988년 액션 스릴러 영화 ''다이 하드''에서 한스 그루버의 부하 중 한 명인 제임스 역을 맡았다. 1989년 코미디 속편 ''고스트버스터즈 2''에서 16/17세기 폭군이자 마법사 비고 카르파티안 역을 맡았다.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5 | 서부를 향해 달려라 | ||
1968 | 코만도 전략 | ||
1969 | 렉킹 크류 | ||
1977 | 스트로스첵 | 포주 | |
1988 | 다이 하드 | 제임스 | |
1989 | 고스트버스터즈 2 | 비고 카르파티안 | |
1991 | 아이 오브 스톰 | ||
1991 | 어둠의 전사 | ||
1995 | 매드니스 | 사이몬 역 |
수년간의 수감 생활을 보낸 후, 폰 홈버그는 본격적으로 배우 경력을 쌓으려 했다. 베르너 헤어조크는 "그는 너무나 명석하고 지적이며, 동시에 나를 완전히 두려움에 떨게 하는 위험한 느낌을 발산했다. 그는 거의 독일의 마이크 타이슨과 같았다."라고 평했다. 폰 홈버그의 가장 큰 역할은 1989년 ''고스트버스터즈 2''에서 비고 카르파티안 역을 맡은 것이다. 이 캐릭터의 풀 네임은 비고 폰 홈버그 도이체도르프였으며, 이는 그가 배우로서 선택한 이름에 대한 오마주였다.
2. 3. 1. 출연 작품
베르너 헤어조크 감독의 1977년 영화 ''스트로셰크''에서 폭력적인 포주 역을 맡았다. 1988년 액션 스릴러 영화 ''다이 하드''에서 한스 그루버의 부하 중 한 명인 제임스 역을 맡았다. 1989년 코미디 속편 ''고스트버스터즈 2''에서 16/17세기 폭군이자 마법사 비고 카르파티안 역을 맡았다.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5 | 모리투리 | 크루 멤버 | 크레딧 없음 |
1966 | 더 라스트 오브 더 시크릿 에이전트? | GGI 요원 | |
찢어진 커튼 | 버스 안의 금발 쌍둥이 | 크레딧 없음 | |
1967 | 호텔 클라우제비츠 | 미국인 | |
1968 | 데블스 브리게이드 | 프리츠 | |
영웅 따위는 필요 없어 | 한스 | ||
The Wrecking Crew | 그레고르 | ||
1970 | 백색 조끼의 신사들 | 맥스 그라프 | |
1976 | 스위스 음모 | 산타클로스 복장의 킬러 | 크레딧 없음 |
1977 | 스트로세크 | 포주 | |
1988 | 다이 하드 | 제임스 | |
1989 | 더 패키지 | 코흐 중위 | |
고스트 버스터즈 2 | 비고 더 카르파티안 | ||
1990 | 미드나잇 카바레 | 후안 카를로스 | |
1991 | 나이트 오브 더 워리어 | 바이크 | |
아이 오브 더 스톰 | 킬러 | ||
1992 | 디그스타운 | 찰스 매컴 디그스 | |
1994 | 햄스의 침묵 | 지배인 | |
매드니스 | 사이먼 | ||
2002 | 데어 복스프린츠 | 본인 | 다큐멘터리 영화 마지막 출연작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4 | 건스모크 | 오토 | 에피소드: "The Promoter" |
1966 | T.H.E. Cat | 토니 | 에피소드: "To Kill a Priest" |
제리코 | 독일 하사관 | 에피소드: "Panic in the Piazza" | |
1967 | 침입자 | 부상당한 외계인 | 에피소드: "Labyrinth" |
1967-1968 | 와일드 와일드 웨스트 | 헤르 헤스 / 아벨 개리슨 S3 E14/ 건터 피어스 | 에피소드: "The Night of the Tottering Tontine", "The Night of the Iron Fist" & "The Night of the Big Blackmail" |
2000 | 로사 로스 | 쇼르시 | 에피소드: "Tod eines Bullen" |
2. 4. 은퇴 이후와 죽음 (1970-2004)
폰 홈버그는 사실상 노숙자 신세로 생의 마지막 몇 년을 보냈으며, YMCA, 친구 집, 또는 그의 밴에서 번갈아 가며 잠을 잤다.[3] 그는 전립선암에 걸렸고, 암이 골반, 척추, 뇌로 전이된 후 친구 발터 슈타우딩거의 집으로 가서 마지막 날들을 보냈다.[3]3. 논란
4. 평가
참조
[1]
BoxRec
Wilhelm Von Homburg
https://boxrec.com/e[...]
[2]
뉴스
Wilhelm Von Homburg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3]
웹사이트
The Hateful Life and Spiteful Death of the Man Who Was Vigo the Carpathian
https://deadspin.com[...]
2021-08-06
[4]
웹사이트
Profile
https://www.cagematc[...]
CageMatch
2023-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