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경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경로는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자 과학 교육가이다. 경성사범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천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천문학 및 지구과학 교육 체계를 확립하고, 한국천문학회 회장, 한국지구과학교육회 초대 회장, 한국과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칠정산 역주를 통해 한국 천문학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소남천문학사연구소 설립의 유지를 남겼다. 1982년 국민훈장 동백장, 1985년 한국천문학회 공로상을 수상했고, 2017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 장경애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 조경철
    조경철은 '아폴로 박사'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한국 천문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과학계 발전에도 힘썼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과 천문대에 이름이 명명되었다.
  • 오산시 출신 - 곽상욱
    곽상욱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오산시장에 당선되었다.
  • 오산시 출신 - 안민석
    안민석은 서울대학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교수를 지낸 5선 국회의원으로, 2004년 열린우리당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양한 당적과 상임위 활동을 했으며, 국정조사 참여, 남북 체육 회담 대표 등의 활동과 기부금품법 위반 등의 법적 판결을 받은 경력이 있다.
유경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경로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오산
국적대한민국
학문 분야 및 소속
분야천문학
소속한국천문학회
한국지구과학교육회
한국과학사학회
업적 및 영향
수상
수상국민훈장 동백장
개인 정보
기타 정보

2. 학력

연도출신 학교학과/학위비고
1936년경성사범학교졸업
1949년서울대학교 사범대학물리학과졸업
1963년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천문학이학석사


3. 주요 경력

기간경력
1958년 ~ 1982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1968년 ~ 1969년한국천문학회 회장
1973년 ~ 1974년한국지구과학교육회 초대 회장
1974년 ~ 1976년한국천문학회 회장
1979년 ~ 1982년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소장
1985년 ~ 1987년한국과학사학회 회장


4. 생애 및 업적

1917년 경기도 오산시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소남(召南)이다. 1949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강사로 활동했으며,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홍익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를 지냈다. 이 시기인 1955년, 서울대학교에 한국 최초로 천문학 강의를 개설하여 천체물리, 천문관측법 등 현대적인 천문학 교육의 시작을 알렸다. 또한 1959년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지학과(현재의 지구과학교육과)를 창설하여 한국 지구과학 교육의 체계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

4. 1. 천문학 교육 도입 및 체계화

1961년 미국으로 건너가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공부했다. 1963년부터 1964년까지는 미국 로웰 천문대에서 천문 관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후 귀국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에 선진적인 천문학 교육 체계를 마련하여 많은 천문학도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1965년에는 한국천문학회를 창설하고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1967년부터 1973년까지 7년간 한국국립천문대(현 한국천문연구원) 건설위원으로서 천문대의 위치 선정 및 망원경 도입 사업에 참여했다.

1970년대부터는 한국 천문학사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 조선시대의 천문학 서적들을 연구했다.

4. 2. 지구과학교육 확립

1959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지학과(후에 지구과학교육과)를 창설하여 정년퇴임 때까지 우리나라 지구과학 교육의 개척자 역할을 하며 해당 분야의 우수한 인재들을 많이 양성했다. 그는 일찍부터 고등학교에서의 천문학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구과학을 중등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기 위해 초중등 과학교육 과정 개발과 교사 재교육 등에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1973년에는 한국지구과학교육회를 창설하기도 했다.

4. 3. 한국 천문학사 연구

1961년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공부하고, 1963년부터 1964년까지 미국 로웰 천문대에서 천문 관측 연구를 수행한 경험은 귀국 후 한국 대학에 선진적인 천문학 교육 체계를 마련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이를 통해 많은 천문학도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1965년에는 한국천문학회를 창설하고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힘썼다. 1967년부터 1973년까지는 한국국립천문대 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천문대 위치 선정 및 망원경 도입 사업에도 참여했다.

1970년대부터는 한국 천문학사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조선시대의 천문학 서적들을 깊이 연구했다. 특히 1973년에는 이은성, 현정준 교수와 함께 조선 세종 시대의 대표적인 역산서(曆算書)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의 역주(譯註)를 편찬하는 중요한 성과를 남겼다. 이 작업은 조선 천문학의 높은 수준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본격적인 한국 천문학사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이후에도 과학사학자들과 협력하여 『증보문헌비고 상위고(象緯考)』, 『서운관지(書雲觀志)』 등 한국 천문학의 주요 고전들에 대한 번역 및 주해 작업을 꾸준히 수행했다. 또한, 한국 천문학 연구 성과를 해외에 알리기 위해 『중국의 천문학』을 번역하여 출판하기도 했다.

정년퇴임 후인 1985년부터 1987년까지 한국과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학회 발전을 이끌었고, 1989년부터는 동양 과학사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에게 동양 천문학사를 가르치며 과학사 분야의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그의 유지를 받들어 제자들은 2005년 그의 호를 딴 천문학사 및 고천문학 연구기관인 <소남(召南)천문학사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 연구소는 현재 한국천문학회 부설 연구소로 운영되고 있다.

5. 상훈


  • 1982년, 국민훈장 동백장
  • 1985년, 한국천문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공로상
  • 2017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