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구시외버스터미널은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다. 서울남부, 성남 방면의 수도권 노선과 공주, 서산, 천안 등 충청권 노선을 포함한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과거에는 아산 시내버스가 운행했으나, 현재는 공주시 시내버스가 유구를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시의 건축물 - 공주역
공주역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호남고속철도역으로, KTX와 SRT가 정차하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공주시의 건축물 - 공주교도소
공주교도소는 1908년 공주감옥으로 개설되어 공주형무소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1978년 금흥동으로 이전했고, 한국 전쟁 중 학살 사건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하여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서울호남행 고속버스와 수도권 주요 도시 및 충청권, 호남권 지역으로 향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예산군과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 공주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공주시의 교통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경기도 의정부시를 잇는 일반국도로,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주요 도시 및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구간은 교통 혼잡 개선이 필요하고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유구시외버스터미널 | |
---|---|
지도 | |
터미널 정보 | |
이름 | 유구시외버스터미널 |
![]() | |
공식 명칭 | 유구시외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유구마곡사로 9 (석남리) |
운영 기관 | 개인사업자 |
표기 | 유구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2. 운행 노선
유구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시외버스와 시내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시외버스는 수도권 방면과 충청권 방면으로 운행하며, 시내버스는 공주시 관내 및 정산 방면으로 운행한다.
2. 1. 시외버스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서울남부, 성남 |
충청권 방면 | 공주[1], 정산[2], 기지시, 내포, 당진, 서대전, 서산, 신례원, 신평, 예산, 아산(온양), 유성, 천안, 천안아산역, 태안, 한서대, 합덕, 홍성 등 |
2. 1. 1. 충청권 방면
공주[1], 기지시, 내포시, 당진, 서대전, 서산, 신례원, 신평, 예산, 아산(온양), 유성, 정산[2], 천안, 천안아산역, 태안, 한서대, 합덕, 홍성, 갈산, 고덕, 고북, 공암, 구룡, 대교, 대룡리, 덕산, 마교, 만리포, 면천, 사곡, 삽교, 소원, 송악(아산), 신양, 신풍, 우성, 운산, 음암, 응봉, 임성동, 충의사, 해미2. 2. 시내버스
번호(종합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