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고속도로 1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고속도로 10호선(E10)은 노르웨이 오에서 시작하여 스웨덴 룰레오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노르웨이 구간은 오, 레크네스, 스볼베르 등을 경유하며, 스웨덴 구간은 키루나, 토레를 거쳐 룰레오로 이어진다. 1992년부터 E10으로 명명되었으며, 1984년 나르비크와 키루나 사이의 도로가 완공되면서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게 되었다. 노르웨이 구간은 2차선 포장도로가 대부분이며, 도로 폭과 속도 제한에 차이가 있다. 스웨덴 구간은 2차선 포장도로로, 대형 차량의 교행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75호선
유럽 고속도로 75호선(E75)은 노르웨이 바르되에서 그리스 아테네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5,639km의 남북축 고속도로로, 여러 국가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핵심적인 교통망 역할을 한다. - 노르웨이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105호선
유럽 고속도로 105호선(E105)은 노르웨이,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잇는 약 3,770km의 노선으로, 시르케네스에서 시작하여 무르만스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툴라, 오룔, 벨고로드를 거쳐 하르키우, 자포리자, 그리고 크림반도의 심페로폴, 알루시타, 얄타를 연결한다. - 스웨덴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20호선
유럽 고속도로 20호선은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 이어지는 주요 간선 도로망으로, 페리 구간을 포함하여 여러 나라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대한민국과 유럽 간 물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웨덴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55호선
유럽 고속도로 55호선(E55)은 스웨덴 헬싱보리에서 그리스 이구메니차까지 유럽의 주요 남북을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페리 노선으로 연결되고 코펜하겐, 베를린, 프라하, 베네치아 등의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 - 유럽의 교통 - 유럽 고속도로 40호선
유럽 고속도로 40호선(E40)은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여러 국가를 거쳐 카자흐스탄까지 이어지는 국제 간선도로이다. - 유럽의 교통 - 유럽 고속도로 25호선
유럽 고속도로 25호선(E25)은 네덜란드에서 시작하여 이탈리아까지 육로와 페리를 통해 연결되는 국제 고속도로이다.
유럽 고속도로 10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유럽 자동차 도로 |
노선 번호 | E10호선 |
![]() | |
총 연장 | 880km |
관리 | 올라브 5세의 도로 |
노선 경로 | |
기점 | , 오 |
기점 방향 | 북서쪽 |
종점 | , 룰레오 |
종점 방향 | 남동쪽 |
주요 경유 국가 | |
주요 연결 도로 | |
연결 도로 정보 | E06호선 E45호선 옐리바레 E04호선 룰레오 |
제한 속도 | |
제한 속도 정보 | 90-100km/h |
도로 폭 | |
도로 폭 정보 | 7.5m (일반) 6m (최소) |
2. 경로
오, Leknes|렉네스eng, Svolvær|스볼베르eng, 굴레스피오르보튼, 에베네스, Bjerkvik|비에르크비크eng, 키루나, 토레, 룰레오 등을 경유한다.
도로의 대부분은 포장된 2차선이다. 스웨덴 측 도로는 비교적 넓고 속도 제한이 높은 편이나, 노르웨이 측 도로는 상대적으로 더 구불구불하고 좁으며 속도 제한도 낮다.
현재의 노선은 1992년부터 E10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85년 이전에는 E10이라는 명칭이 파리-브뤼셀-암스테르담-흐로닝언을 잇는 다른 도로에 사용되었다. 노르웨이의 나르비크와 스웨덴의 키루나 사이를 잇는 도로는 1984년에 완성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철도를 이용하거나 핀란드를 경유하는 큰 우회가 필요했다. 2007년에는 로포텐 본토 연결 도로(Lofoten Mainland Connectioneng)가 개통되어, 로포텐 근교 도로의 우회 구간이 단축되고 기존 페리 서비스 구간을 대체하게 되었다. E10호선 상의 터널은 모두 노르웨이 구간에 위치해 있다.
2. 1. 노르웨이
노르웨이 구간은 오에서 시작하여 레네스, 스볼바르, 굴레스피요르드보튼, 에베네스를 거쳐 비예르크비크까지 이어진다.도로 상태는 스웨덴 구간에 비해 더 구불구불하며 폭도 6m에서 7m 사이로 좁은 편이다. 대부분 구간의 속도 제한은 80km/h이다. 지난 15년간 새로 건설되거나 개량된 구간은 폭이 7.5m이지만, 일부 지역은 여전히 상당히 좁다. 특히 폭이 6m인 곳에서는 대형 차량의 교행이 어렵고, 오 근처 약 50km 구간은 폭이 6m보다 좁으며, 5m인 곳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버스나 캠핑 트레일러는 운전을 피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실제로는 통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르비크와 스웨덴 키루나 사이의 도로는 1984년에 완성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철도를 이용하거나 핀란드를 경유하는 큰 우회가 필요했다. 현재의 E10이라는 명칭은 1992년부터 사용되었다. 2007년에는 피스케볼(Fiskebøl)과 굴레스피요르드보튼을 잇는 로포텐 본토 연결 도로가 완성되어, 로포텐 지역의 도로가 약 30km 단축되었고 기존 페리 서비스 구간을 대체하게 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 E10호선에 있는 18개의 터널은 모두 노르웨이 구간에 위치해 있다.
2. 2. 스웨덴
스웨덴 구간의 도로는 대부분 포장된 2차선이며, 제한 속도는 90km/h에서 110km/h 사이이다. 도로 폭은 7m에서 8m 정도로, 대형 차량도 문제없이 서로 지나칠 수 있다.
노르웨이의 나르비크와 스웨덴의 키루나를 잇는 구간은 1984년에 완성되었는데, 이전에는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철도를 이용하거나 핀란드를 통해 크게 우회해야 했다. 현재의 유럽 고속도로 10호선이라는 명칭은 1992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3. 도로 상태
유럽 고속도로 10호선은 대부분 포장된 2차선 도로이다. 스웨덴과 노르웨이 구간은 도로 상태에 차이가 있는데, 스웨덴 측은 비교적 도로 폭이 넓고 제한 속도가 높은 반면, 노르웨이 측은 도로가 더 구불거리며 폭이 좁고 제한 속도도 낮다. 특히 일부 노르웨이 구간은 폭이 매우 좁아 주의가 필요하며, 여러 터널 구간이 존재한다.
3. 1. 개선 및 주의 구간
도로 대부분은 포장된 2차선이다. 스웨덴 측 구간은 도로 폭이 7m에서 8m 정도로 넓어 대형 차량도 문제없이 서로 지나갈 수 있으며, 제한 속도는 90km/h에서 110km/h 사이이다. 반면 노르웨이 측 구간은 스웨덴 측에 비해 더 구불구불하고 도로 폭은 6m에서 7m 정도로 좁으며, 대부분 구간의 속도 제한은 80km/h이다.1984년에 노르웨이의 나르비크와 스웨덴의 키루나를 잇는 도로가 완성되었다. 이전에는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하루 3번 운행하는 여객 열차를 이용하거나 핀란드를 경유하는 먼 길을 돌아가야 했다. 이 도로는 1992년부터 유럽 고속도로 10호선(E10)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85년 이전의 E10은 파리-브뤼셀-암스테르담-흐로닝언 구간을 지칭했다.)
최근 15년간 새로 건설되거나 개선된 구간은 도로 폭이 7.5m로 넓혀졌지만, 일부 지역은 여전히 상당히 좁다. 특히 도로 폭이 6m인 곳에서는 대형 차량이 서로 지나가기 어렵다. 오 근처의 약 50km 구간은 폭이 6m보다 좁으며, 심지어 5m인 곳도 존재한다. 이러한 좁은 구간 때문에 버스나 캠핑 트레일러는 운전을 피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실제로는 많은 해당 차량들이 통행하고 있다.
2007년에는 Fiskebøl|피스케볼eng과 굴레스피오르보튼을 잇는 로포텐 본토 연결 도로가 완성되었다. 이 도로 개통으로 로포텐 제도 내 우회 구간이 약 30km 단축되었고, 기존에 이용하던 페리 서비스는 E10 노선에서 제외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 E10 노선에는 총 18개의 터널 구간이 있으며, 이 터널들은 모두 노르웨이 측에 위치해 있다.
4. 갤러리
참조
[1]
지도
https://www.google.c[...]
2019-12-05
[2]
지도
Nationell vägdatabas (NVDB)
https://nvdb2012.tra[...]
Swedish Transport Administration
2017-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