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무 (초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무는 전한 시대 초나라의 왕이다. 이왕 유영객의 뒤를 이어 초왕이 되었으나, 효문태후의 상중에 간음을 저지르고 봉토를 삭감당했다. 오왕 유비와 함께 반란을 모의하고, 재상 장상과 태부 조이오를 죽였으며, 오나라와 연합하여 양나라를 공격했으나 주아부가 이끄는 한나라 중앙군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4년 사망 - 조조 (전한)
    조조는 전한 시대에 활동하며 흉노 대책 마련, 중농억상 정책 주장, 삭번 정책 주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오초칠국의 난으로 처형당한 관료였다.
  • 기원전 154년 사망 - 유비 (오왕)
    유비는 전한 고조 유방의 형 유희의 아들이자 영포 진압에 공을 세워 오왕에 봉해진 황족 제후왕으로, 구리와 소금 생산으로 부를 축적하고 세력을 키웠으나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켜 진압당하고 사망했다.
  • 자살한 왕족 - 유립
    유립은 전한 시대의 제후로, 양왕 유정의 뒤를 이어 양왕이 되었으나, 여러 범죄를 저지르고 봉국을 빼앗긴 뒤 자살했다.
  • 자살한 왕족 - 알리 레자 팔라비
    알리 레자 팔라비는 팔라비 왕조의 왕자로서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대 이란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2011년 보스턴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자살한 사람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자살한 사람 - 조소앙
    조소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삼균주의에 입각한 임시 헌장을 기초하고 임시정부 외무부장, 한국독립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협상에 참여하고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사망했다.
유무 (초왕)
인물 정보
이름유무
로마자 표기Yu Wu
작위초왕
생몰 정보
출생기원전 2세기
사망기원전 154년
가계
아버지유교
형제자매유영객
유현
유례
유연
기타 정보
시대전한
봉국초나라
사건오초칠국의 난

2. 생애

유무는 아버지 이왕이 죽자 그 뒤를 이었다. 할아버지 원왕의 동문인 목생, 백생, 신공초나라에서 중대부를 지냈으며 원왕에게서 예우를 받았다. 특히 술을 좋아하지 않는 목생에게는 단술을 대접했었다. 그런데 유무는 이를 잊었고, 실망한 목생은 백생과 신공의 만류를 뿌리치고 물러났다.[5]

오초칠국의 난 당시, 유무는 재위 20년(기원전 155년) 박태후의 상중에 간음하여 봉국 중 동해군설군을 깎였다. 이 때문에 오왕 유비와 반란을 모의했고,[5] 백생과 신공이 반대하자 이들에게 형벌을 내렸다. 작은아버지 휴후 유부가 간하자 그를 협박하여 달아나게 했다.[5] 재위 21년(기원전 154년), 마침내 반란을 일으켜 재상 장상과 태부 조이오를 죽였다. 오나라와 연합하여 양나라를 공격했으나, 주아부가 이끄는 한나라 중앙군에 패배하여 자결했다.[5]

2. 1. 초기 생애

아버지 이왕이 죽자 후사가 되었다. 할아버지 원왕의 동문인 목생, 백생, 신공초나라에서 중대부를 지내며 원왕에게서 예우를 받았는데, 특히 술을 좋아하지 않는 목생에게는 단술을 대접했었다. 그런데 유무는 이를 잊었고, 실망한 목생은 백생과 신공의 만류를 뿌리치고 물러났다.[5]

2. 2. 오초칠국의 난

이왕이 죽자 뒤를 이었다. 할아버지 원왕의 동문인 목생, 백생, 신공초나라에서 중대부를 지냈으며 원왕에게서 예우를 받았다. 특히 술을 좋아하지 않는 목생에게는 단술을 대접했었다. 그런데 유무는 이를 잊었고, 실망한 목생은 백생과 신공의 만류를 뿌리치고 물러났다.

재위 20년(기원전 155년), 박태후의 상중에 간음하여 봉국 중 동해군설군을 깎였다. 이 때문에 오왕 유비와 반란을 모의했다.[5] 백생과 신공이 반대하자 이들에게 형벌을 내렸다. 작은아버지 휴후 유부가 간하자 그를 협박하여 달아나게 했다.[5] 재위 21년(기원전 154년), 마침내 반란을 일으켜 재상 장상과 태부 조이오를 죽였다. 오나라와 연합하여 양나라를 공격했으나, 주아부가 이끄는 한나라 중앙군에 패배하여 자결했다.[5]

3.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초이왕 유영객
손녀오손공주 유해우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6-16
[2]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6-16
[3]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7-02
[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zh.wikisource[...] 2011-07-02
[5] 서적 한서 :zh:漢書/卷036
[6]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7]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