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柳潚 肖像 및 關聯 敎旨)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와 교지들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147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유숙 초상


  • 제작 시기: 1613년경 (광해군 5년)
  • 형태: 오사모에 흑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아 있는 좌안 7분면의 전신교의 좌상.
  • 특징:
  • 중기 공신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 형난공신 책록을 계기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사모의 높이가 낮고, 사모 뿔은 운문이 담묵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 가슴에는 백한문양(白鷳紋樣)의 흉배가 있고, 삽금대(揷金帶)를 착용하여 당시 유숙의 품계가 3품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얼굴은 옅은 살빛 바탕에 이목구비를 짙은 색 선으로 표현했고, 양 미간에 세로 주름선을 넣어 진지한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 눈동자 동공 주위를 니금색(泥金色)으로 칠한 것이 특징적입니다.

관련 교지

  • 수량: 3점
  • 내용:
  • 유숙이 개명 전 이름인 유길(柳洁)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 유숙의 처(妻) 채씨에게 내려진 교지를 통해 유숙이 형난공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유숙의 전기(傳記) 및 이력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습니다.
  • 크기:
  • 정부인 교지: 112.7 x 86.3cm
  • 홍패 교지: 93.7 x 63.2cm
  • 백패 교지: 92.8 x 34.1cm

유숙 (柳潚, 1564-1636)

  • 조선 중기의 문신.
  •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연숙(淵叔), 호는 취흘(醉吃).
  • 1597년(선조 3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 1608년(광해군 즉위년) 호당에 선발되어 사가독서.
  • 대사간, 부제학, 병조참판 등 역임.
  • 대북 계열 관료, 계축옥사에 참여.
  •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이이첨의 심복으로 지목받아 유배.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
''
이름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한자 표기柳潚 肖像 및 關聯 敎旨
유형보물
지정 번호1479
지정일2006년 12월 29일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고흥유씨춘천종중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수량초상 1점, 교지 3점, 함 1점
참고 사항규격(세로x가로), 초상(1점) : 178.3x102.1cm, 교지(3점) : 112.7 x 86.3cm(정부인 교지), 93.7 x 63.2cm(홍패 교지), 92.8 x 34.1cm(백패교지)
문화재청 ID12,1479000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