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숙도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을숙도대교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사하구를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유료 도로이다. 1993년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 훼손 우려로 환경 단체의 반대에 부딪혔고, 우회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2004년 착공, 2009년 10월 개통되었다. 2009년 12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2월부터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통행료는 차량 종류와 시간대에 따라 다르며, 도로법 및 도로교통법에 따라 특정 조건의 차량은 운행이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완공된 교량 - 미사대교
미사대교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일부로, 한강을 가로질러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연결하며, 2009년 개통되어 수도권 동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에 기여한다. - 2009년 완공된 교량 - 인천대교
인천대교는 송도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21.38km 길이의 고속도로 교량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름다운 야경으로도 유명하다. - 유료교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 유료교 -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 베이 브리지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 베이 브리지는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를 잇는 다리로서, 한때 철도와 도로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동차 전용이며, 예르바 부에나 섬을 지나 서쪽은 현수교, 동쪽은 트러스교로 건설되었고 지진 피해 복구와 내진 설계 강화 후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교통과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이다. - 부산광역시의 교량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 부산광역시의 교량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 을숙도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교량 정보 | |
| 이름 | 을숙도대교 |
![]() | |
| 공식 명칭 | 을숙도대교 |
| 교통 시설 |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
| 횡단 | 부산 남해 |
|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 사하구 신평동 |
| 관리 | 을숙도대교(주) |
| 설계 | 형교 |
| 총 길이 | 5,205m |
| 너비 | 25.5~35m |
| 착공일 | 2005년 1월 31일 |
| 완공일 | 2009년 12월 |
| 개통일 | 2009년 10월 29일 |
| 요금 | 통행료 참고 |
2. 역사
을숙도대교 건설은 1993년 12월, 서부산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교통난 해소를 목표로 처음 추진되었다. 초기 계획은 강서구 명지동과 사하구 장림동을 잇는 왕복 8차선 도로였으나, 노선이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를 통과한다는 점에서 환경 훼손 논란이 일었다. 특히 환경단체의 강한 반발로 인해 사업 추진이 지연되었다.[1]
2002년 3월 4일, 문화재위원회가 철새도래지를 우회하는 변경된 건설 계획을 승인하면서 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올랐다.[2] 이후 추가 논의를 거쳐 2004년 2월 27일, 총 길이 5.1km(교량 2.85km), 왕복 6차로 규모로 최종 계획이 확정되어 착공에 들어갔다.[3] 착공 이후인 2005년에도 건설 반대 의견이 있었고 환경단체가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으나,[4] 법원에서 기각되면서[5] 공사는 계속 진행되었다.
마침내 2009년 10월 29일 개통식을 갖고 다음 날부터 차량 통행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2월에 정식 준공되었다.[6] 이후 2009년 12월 9일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7] 2010년 2월 1일부터는 유료도로로 전환되어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8]
2. 1. 건설 추진
을숙도대교 건설은 1993년 12월부터 서부산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교통난 해소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초기 계획은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과 사하구 장림동 66호 광장을 잇는 길이 3.7km, 너비 35m(왕복 8차선) 도로였으나, 계획된 노선 일부가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를 통과하여 환경 훼손 우려가 제기되면서 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즉시 착공되지 못했다.[1]2002년 3월 4일, 문화재위원회는 철새도래지를 우회하도록 변경된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2] 이후 여러 논의를 거쳐 2004년 2월 27일에는 최종적으로 길이 5.1km(교량 구간 2.85km), 왕복 6차로 규모로 계획이 확정되어 공사가 시작되었다.[3] 2005년에 다시 건설 반대 의견이 제기되었으나 결국 건설은 허가되었고,[4] 환경단체가 제기한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 또한 기각되면서[5] 건설은 본격화되었다.
마침내 2009년 10월 29일 개통식을 가졌으며, 다음 날인 10월 30일부터 차량 통행이 시작되었다. 정식 준공은 같은 해 12월에 이루어졌다.[6]
2. 2. 환경 단체 반발과 건설 계획 변경
을숙도대교 건설은 1993년 12월부터 서부산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교통난 해소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초기 계획은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과 사하구 장림동 66호 광장을 잇는 길이 3.7km, 너비 35m(왕복 8차선) 도로였으나, 계획된 노선 일부가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를 통과하게 되어 환경 훼손 우려가 제기되었다. 특히 환경단체들은 철새도래지 파괴 가능성을 지적하며 강하게 반발했고, 이로 인해 즉시 착공되지 못했다.[1]이에 따라 노선 변경 논의가 이루어졌고, 2002년 3월 4일 문화재위원회는 철새도래지를 우회하도록 변경된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2] 이후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교량 길이를 포함한 총 길이는 5.1km(교량 2.85km), 왕복 6차로로 계획이 수정되어 2004년 2월 27일 착공에 들어갔다.[3] 그러나 2005년에도 건설에 대한 반대 의견이 다시 제기되었으나, 결국 건설은 허가되었다.[4] 환경단체가 제기한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 역시 법원에서 기각되면서[5] 건설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2. 3. 착공 및 완공
을숙도대교 건설은 1993년 12월부터 서부산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교통난 해소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초기 계획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과 사하구 장림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길이 3.7km, 너비 35m(왕복 8차선) 규모의 도로였으나, 계획된 노선 일부가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를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 훼손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환경단체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즉시 착공되지 못했다.[1]2002년 3월 4일, 문화재위원회는 철새도래지를 우회하도록 수정한 건설 계획 변경안을 승인하였다.[2] 이후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2004년 2월 27일, 최종적으로 총 길이 5.1km(교량 구간 2.85km), 왕복 6차로 규모로 건설 계획이 확정되어 착공에 들어갔다.[3]
착공 이후인 2005년에도 대교 건설에 대한 반대 의견이 다시 제기되었지만, 건설은 계속 진행되었다.[4] 환경단체가 건설 중단을 요구하며 제기한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 역시 법원에서 기각되면서[5] 건설 공사는 본격화되었다.
마침내 2009년 10월 29일 개통식을 열고, 다음 날인 10월 30일부터 차량 통행이 시작되었다. 정식 준공일은 같은 해 2009년 12월이다.[6]
2. 4. 유료화
2010년 2월 1일부터 유료도로로 전환되어 통행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8]3. 통행료
(내용 없음)
3. 1. 통행료 체계
2009년 11월 기준으로, 을숙도대교 통행료는 이용 시간대와 지불 수단에 따라 다르다.[9]| 구분 | 출퇴근시간(6시 30분 ~ 9시, 18시 ~ 20시) | 출퇴근 이외 시간 | ||
|---|---|---|---|---|
| 하이패스 | 교통카드 (하나로카드, 캐시비, 마이비, 티머니) | 현금 | 하이패스·교통카드·현금 | |
| 경차 (1,000cc 미만) | 500KRW | 500KRW | 500KRW | 700KRW |
| 소형(16인승 이하, 2.5t 미만) | 1000KRW | 1000KRW | 1000KRW | 1400KRW |
| 중형(17인승 이상~32인승 이하, 2.5t 이상~5.5t 미만) | 1700KRW | 2400KRW | 2400KRW | 2400KRW |
| 대형(33인승 이상, 5.5t 이상) | 2200KRW | 3100KRW | 3100KRW | 3100KRW |
- 시내버스는 통행료가 감면된다.
3. 2. 통행료 면제
시내버스는 통행료가 감면된다.4. 운행 제한
도로법 제77조 및 동법시행령 제79조 2항, 도로교통법 제39조에 따라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차량은 을숙도대교를 통행할 수 없다.[10]
- 적재물을 포함한 높이가 4.3m를 초과한 차량
- 적재물을 포함한 길이가 19m를 초과한 차량
- 적재물을 포함한 너비가 3.3m를 초과한 차량
- 화물 적재가 불량한 차량
- 정상운행속도가 시속 40km 미만인 차량
- 이상 기후 시 (적설량 10cm 이상 또는 영하 -20°C 이하) 연결 화물차량(폴카, 트레일러)
- 기타 을숙도대교주식회사에서 도로의 구조 보전과 운행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행 제한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차량
참조
[1]
뉴스
명지대교 건설 9년째 공전
한국일보
2001-02-21
[2]
뉴스
‘7년 공방’ 부산 명지대교 노선 가닥
동아일보
2002-03-04
[3]
뉴스
부산 명지대교 기공식
연합뉴스
2004-02-27
[4]
뉴스
명지대교 건설 허가...녹색연합, 농성 돌입
오마이뉴스
2005-06-08
[5]
뉴스
명지대교 공사 금지 가처분 기각
YTN
2006-03-09
[6]
뉴스
부산 을숙도대교 29일 조기 개통(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0-27
[7]
간행물
부산광역시 공고 제2009-1293호
http://news.busan.go[...]
2009-12-09
[8]
간행물
부산광역시 공고 제2010-92호
https://news.busan.g[...]
2010-01-27
[9]
웹인용
을숙도대교 - 통행료안내
https://web.archive.[...]
2021-04-18
[10]
웹인용
을숙도대교 - 제한차량안내
https://web.archive.[...]
2015-08-04
[11]
문서
하이패스 이용 불가
[12]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3]
문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14]
문서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15]
문서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16]
문서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왼쪽에 있는 교량이 을숙도대교. 가운데에 있는 교량은 [[낙동강하구둑]]이다.](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