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료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료 도로는 통행료를 받고 운영되는 도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고대에는 수송로에 통행료를 부과하는 형태였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봉건적 수수료의 일종으로 사용되었다. 근대에는 산업화와 함께 도로 개선을 위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발전했으며, 18세기 영국에서 유료 도로 방식이 도입되었다. 미국에서는 1800년대 초 '유료 도로 시대'를 거쳐 철도 발달과 함께 쇠퇴했지만, 20세기 초 유럽에서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다시 도입되었다.

현재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과 스마트톨링 시스템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운영 주체로 운영되고 있다. 유료 도로는 교통 체증, 징수 비용, 역진세 문제 등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도로 건설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자금 조달, 교통량 분산 등의 장점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료 도로 - 통행료
    통행료는 도로, 다리, 터널과 같은 시설 이용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요금으로, 도로 유지 보수 및 건설 자금 확보, 교통량 조절 등의 목적으로 징수되지만 사회적 형평성 및 투명성 관련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유료 도로 - 하버 하이웨이
    하버 하이웨이는 일본 효고현 고베시의 주요 섬과 도시를 연결하는 유료 도로로, 롯코 대교와 고베 대교 등을 통해 롯코 아일랜드, 포트 아일랜드와 고베 도심을 연결하며 한신 고속도로와 이어진다.
  • 도로의 종류 - 공도
    공도는 일반 교통에 제공되는 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도로법에 따라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포함되고,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으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 도로의 종류 - 일방통행
    일방통행은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혼잡을 줄이며 보행자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도로 또는 통로에서 통행 방향을 한쪽으로 제한하는 교통 운영 방식이다.
  • 도로 시설 - 갓길
    갓길은 도로 가장자리의 차도와 분리된 공간으로, 긴급차량 통행, 비상 정차, 혼잡 시 추가 차로 활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국가별로 추가 활용 사례와 구조, 폭이 다르다.
  • 도로 시설 - 공도
    공도는 일반 교통에 제공되는 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도로법에 따라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포함되고,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으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유료도로
개요
정의통행에 대한 요금(또는 통행료)이 부과되는 도로
추가 정보
관련 정보고속도로

2. 역사

유료 도로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존재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리니우스는 아라비아와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통행료를 징수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기원전 4세기 이전 인도에서는 아르타샤스트라에서 통행료 사용을 언급하고 있을 정도다.

런던 덜위치의 컬리지 로드(College Road, Dulwich)], SE21 유료 게이트의 요금표
1877년 루마니아의 유료 바


미얀마 바간 근처 지역 사회 도로 검문소의 입장료 징수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에도 통행료를 징수하는 다리나 나루터가 있었다. 현대적인 유료 도로 시스템은 1960년대 경제 개발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경부고속도로를 시작으로 전국적인 고속도로망이 확충되었다.

일본의 경우, 에도 시대부터 이미 주요 도로에서 나룻배 등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징수하는 곳이 있었으며, 분고 국에 있는 아오노도몬(현재의 오이타현나카쓰시)은 일본 최초의 유료 가도로 여겨진다.[39]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료 도로가 법령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 메이지 정부는 도로, 교량 등을 사재로 건설하여 개설한 자에게 통행료 징수를 인정했다.[39] 1952년 일본은 구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에 의해 유료 도로 제도를 도입했으며, 1953년 이세 신궁의 신궁식년천궁을 계기로 건설된 산구 유료 도로가 자동차 통행료를 징수하는 일본 최초의 유료 도로가 되었다.[41] 1956년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이 제정되고 일본 도로 공단이 발족하여 고속 자동차 국도와 일반 유료 도로의 건설과 관리를 담당했다.[41] 2005년 일본 도로 공단은 민영화되어 NEXCO 3사에 계승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리니우스는 아라비아와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통행료를 징수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기원전 4세기 이전 인도에서는 아르타샤스트라에서 통행료 사용을 언급하고 있다. 게르만 부족들은 산길을 지나는 여행자들에게 통행료를 부과했다.[2]

중세 유럽에서는 대부분의 도로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없었으며,[3] 통행료는 일상생활에서 사용 권리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여러 봉건 수수료 중 하나였다. 비아 레지아와 비아 임페리와 같은 일부 주요 유럽 "고속도로"는 왕실에 통행료를 지불하는 대가로 여행자에게 보호를 제공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신성 로마 제국에서도 통행료가 사용되었다.

2. 2. 근대

17세기 서아프리카의 다호미 왕국에서는 도로 건설 후 통행료를 징수했다.[5] 19세기 유럽에서는 산업화와 함께 유료 도로가 확충되었으며, 영국에서는 A5 도로와 같은 주요 도로에 통행료소가 설치되었다. 19세기 미국 동부에서는 마을과 도시 간 이동을 위해 사설 유료 도로가 건설되었다.[48]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오가도나 와키오칸 등의 가도에서 통행료를 징수하는 곳이 있었으며, 분고 국에 있는 아오노도몬(현재의 오이타현나카쓰시)은 일본 최초의 유료 가도로 여겨진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료 도로가 법령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1871년 (메이지 4년) 메이지 정부는 도로, 교량 등을 사재로 건설하여 개설한 자에게 통행료 징수를 인정했다.

2. 2. 1. 한국

1871년(고종 8년) 조선 정부는 "치수 수리의 편리를 흥하는 자에게 세금 징수를 허가한다"라는 포고를 통해 도로, 교량 등을 사재로 건설한 자에게 통행료 징수를 인정했다.[39]

2. 3. 현대

20세기 초, 유럽에서는 고속도로망 건설과 다리, 터널 같은 교통 기반 시설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유료 도로가 도입되었다.

이탈리아는 1924년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데이 라기를 건설하고 통행료를 징수했다.[6][7] 이 도로는 밀라노코모호, 마조레호를 연결했으며, 피에로 푸리첼리가 건설을 주도했다.[7] 1927년 그리스는 도시 주변 및 도시 간 고속도로에 통행료를 부과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은 고속도로 건설에 유료 도로 시스템을 도입하여 국가 부채 없이 기반 시설을 빠르게 확충했다.[9]

미국에서는 1940년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를 시작으로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도입 이전까지 많은 유료 도로가 건설되었다. 메인 턴파이크(1947년), 블루 스타 턴파이크(1950년), 뉴저지 턴파이크(1951년) 등이 그 예이다. 1950년대 후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유료 도로 건설은 둔화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주에서는 다시 유료 도로 건설을 재개했다.

런던은 2003년 런던 교통 혼잡세를 도입하여 시내 중심부 도로를 유료화했다.

21세기 들어 미국에서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과 고속 주행 유료 차선의 발달로 새로운 유료 도로 건설이 증가했다. 여러 주에서 호환되는 E-ZPass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메릴랜드 주도 제200호선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트라이앵글 고속도로는 완전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한 최초의 유료 도로이다.

2. 3. 1. 한국

1952년 구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에 의해 유료 도로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1953년 이세 신궁의 신궁식년천궁을 계기로 건설된 산구 유료 도로가 자동차 통행료를 징수하는 일본 최초의 유료 도로가 되었다.[41] 1954년에는 닛코 이로하자카가 유료 도로로 정비되었다.[41]

1956년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이 제정되고 일본 도로 공단이 발족하여 고속 자동차 국도와 일반 유료 도로의 건설과 관리를 담당했다.[41] 2005년 일본 도로 공단은 민영화되어 NEXCO 3사에 계승되었다.

3. 종류 및 운영 주체

도로법상의 유료도로의 예 (히가시칸토 자동차도)


한국의 유료 도로는 운영 주체와 법적 근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도로법에 따른 유료도로에는 고속국도, 도시고속도로, 일반 유료도로, 유료 교량, 유료 도선 시설 등이 있다.

하위 섹션에서는 도로법에 따른 유료 도로 (한국도로공사, 민간 사업자, 지방자치단체 운영)와 도로법 외 유료 도로 (유료도로법에 따른 민간 사업자 운영,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 도로, 산림조합법에 따른 임도 등)에 대해 다룬다.

3. 1. 도로법에 따른 유료 도로

도로법에 따른 유료 도로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중 일부 구간에서 통행료를 징수한다. 운영 주체는 한국도로공사, 민간 사업자, 지방자치단체 등이다.

도로법에 따른 도로는 일반 재원을 바탕으로 공공 사업으로 시행되며, 무료로 제공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제한된 예산만으로는 많은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1] 그래서 도로 정비의 긴급성과 재정상의 요청에 따라, 재원 부족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차입금으로 도로를 건설하고, 특별 조치로 개통 후의 요금 징수를 인정하여 차입금 상환에 충당하는 것이 도로정비특별조치법에 따른 유료 도로 제도이다.[1]

일반 유료 도로는 해당 도로 외의 다른 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 해당 도로를 꼭 지나가지 않아도 되며, 도로 이용자가 그 도로를 이용함으로써 뚜렷한 이익을 얻는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일반 유료 도로의 신설이나 개축 등에는 도로 관리자와 국토교통대신의 허가가 필요하다.

3. 1. 1. 한국도로공사 운영

한국도로공사는 고속국도의 대부분과 일부 일반국도를 운영하며, 재정 고속도로와 민자 고속도로를 모두 관리한다.

3. 1. 2. 민간 사업자 운영

민간 투자법에 따라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등을 운영한다. 건설-운영-양도 방식(BOT)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18세기와 19세기 초 미국 동부에서는 마을과 도시 간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수백 개의 사설 유료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시가지 외부에 위치했다.

19세기 판자길은 대개 유료 도로로 운영되었다. 미국의 최초의 자동차 도로 중 하나인 롱아일랜드 모터 파크웨이(1908년 10월 10일 개통)는 코르넬리우스 반데빌트의 증손자인 윌리엄 키삼 반데빌트 2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도로는 1938년에 세금 체납을 대신하여 뉴욕주에 인수되었다.[14][15]

3. 1. 3. 지방자치단체 운영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중 일부는 유료 구간을 운영한다. 터널, 교량 등 특정 시설에 통행료를 징수하는 경우가 많다.

3. 2. 도로법 외의 유료 도로

도로법 외에도 유료도로법에 따라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유료 도로가 있다.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 도로, 산림조합법에 따른 임도 등도 유료로 운영될 수 있다.

4. 요금 징수 방식

통행료는 전통적으로 특정 접근 지점(예: 도시)이나 기반 시설(예: 도로, 교량)에 부과되었으며, 이러한 개념은 지난 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다른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통행료 정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21]

요금 부과 방식은 요금 부과의 목적, 정책, 네트워크, 등급 차별화 등과 관련된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되었다:[21]


  • 시간 기반 요금 및 접근료: 도로 사용자는 지정된 기간 동안 기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요금을 지불하며, 제한 구역에 며칠 동안 접근하기 위해 요금을 지불한다.
  • 고속도로 및 기타 기반 시설 통행료: 교량, 터널, 산길, 고속도로 실시권 또는 한 국가의 전체 고속도로 네트워크와 같은 기반 시설에 요금을 부과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료 징수소를 통과할 때 통행료가 부과된다.
  • 거리 또는 구역 요금 부과: 차량은 정의된 구역에서 주행한 총 거리에 따라 요금이 부과된다.


일부 유료 도로는 한 방향으로만 통행료를 부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 하버 브리지, 시드니 하버 터널, 이스턴 디스트리뷰터(이들은 모두 시내 방향으로 통행료를 부과한다)와 미국의 펜실베이니아와 뉴저지 사이의 델라웨어 강 항만청이 운영하는 통행료소, 뉴저지와 뉴욕주 사이의 뉴욕-뉴저지 항만청이 운영하는 통행료소가 이에 해당한다.

4. 1. 전통적인 방식

과거에는 요금소에서 통행료를 현금으로 직접 받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필리핀 칼루칸의 북 루손 고속도로에 있는 발린타왁 요금소. 요금소에는 전자 요금 징수와 현금 결제가 모두 가능한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지금은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차량 앞 유리에 부착된 트랜스폰더를 통해 자동으로 통행료가 결제된다.[21]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은 요금소에서 직접 돈을 내야 했기 때문에, 요금소 주변의 교통 정체를 유발하고 요금 징수를 위한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4. 2.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ETCS)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1980년대에 처음 도입되어 도로에서 요금 징수원을 없앰으로써 운영 비용을 절감하였다.[21] 대한민국에서는 하이패스와 같은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이 도입되면서 요금소에서 정차하지 않고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된 단말기(OBU)와 요금소 간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된다.[21]
SR 417에서 요금을 징수하는 모습(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근처). 이는 두 가지 일반적인 요금 징수 방식, 즉 요금소(오른쪽)와 전자 요금 징수(왼쪽)를 보여준다.

4. 3. 스마트톨링

번호판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요금소 없이 통행료를 징수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차량 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통행료를 부과하며,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 차량도 이용할 수 있다.[21]

5. 현황 및 문제점



대형차 및 특대형차는 화물 수송에 자주 이용되며, 고속도로에서는 화물차가 전체 이용 차량의 절반을 차지하기도 한다. 교통량이 감소 추세에 있는 경우[43] 화물차에 대해 요금 우대책이 시행되기도 한다. 도로 관리자가 다른 구간을 서로 통행하거나, 유료 및 무료 구간을 상호 통행할 때는 요금소를 통과할 때마다 터미널 차지가 부과된다.

유료도로는 톨게이트로 인한 정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된다.


  • 차량 정지 및 감속으로 인한 시간 낭비 및 운행 비용 증가 (개방형 도로 통행료 제외).
  • 요금 징수 비용으로 인한 수익 감소 (최대 1/3) 및 수익 도난 가능성.
  • 유료도로가 무료도로보다 덜 혼잡할 경우, 교통량 분산으로 인해 전체 도로 시스템의 혼잡이 증가하고 유용성이 감소.
  • 정부 감시에 대한 우려 (전자 통행료 및 일부 "고전적인" 요금 징수 방식).


일반적으로 유료도로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판이 제기된다.

  • 역진세의 형태: 가난한 시민보다 부유한 시민에게 더 많은 혜택.
  • 민간 영리 법인이 소유/관리하는 경우, 시민이 기존 공적 자금 조달 방식보다 손해를 볼 수 있음.
  • 관리 주체(공공/민간)가 가격 책정 시 사회적 비용(특히 빈곤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사회 취약 계층에 피해를 줄 수 있음.


정치 단체의 특대형 시위 차량이 경자동차 요금을 요구하며 요금 징수원을 협박하거나, '무료 통행 선언서' 등을 제시하며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 사례가 존재한다.[44] 이러한 행위는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 위반으로 체포 및 요금 회수가 이루어진다.[45][46]

5. 1. 현황



대형차, 특대형차는 화물 수송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고속 자동차 국도에서는 화물차가 전체 이용 차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한편, 교통량 자체가 감소 추세에 있는[43] 경우도 있어 화물차에 대해 요금 면에서 일정한 우대책이 취해진다.

도로 관리자가 다른 구간의 상호 통행, 유료, 무료 구간의 상호 통행에서는 요금소를 통과할 때마다 터미널 차지가 부과된다.

5. 2. 문제점

유료도로는 대부분 톨게이트가 설치되는데 톨게이트로 인한 정체를 단점으로 뽑을 수 있다. 유료 도로는 여러 가지 면에서 비효율적이라고 비판받아 왔다.

  • 차량이 정지하거나 속도를 늦춰야 한다(개방형 도로 통행료 제외). 수동 요금 징수는 시간을 낭비하고 차량 운행 비용을 증가시킨다.
  • 징수 비용으로 인해 수익이 최대 3분의 1까지 감소할 수 있으며, 수익 도난이 비교적 쉽다고 여겨진다.
  • 유료 도로가 병행하는 "무료" 도로보다 덜 혼잡한 경우, 통행료로 인한 교통량 분산은 도로 시스템의 혼잡을 증가시키고 유용성을 감소시킨다.
  • 전자 통행료와 일부 형태의 "고전적인" 요금 징수 모두와 관련된 정부 감시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료 도로에 대한 추가 비판도 제기된다.

  • 유료 도로는 역진세의 한 형태이다. 즉, 도로 자금 조달을 위한 기존 세금과 비교하여, 가난한 시민보다 부유한 시민에게 더 많은 이익을 준다.
  • 유료 도로가 민간 영리 법인에 의해 소유되거나 관리되는 경우, 민간 소유주 또는 운영자가 도로에서 자연스럽게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시민은 기존 공적 자금 조달 방식보다 전체적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
  • 공공 또는 민간을 막론하고 관리 주체는 가격 책정 시 전체 사회적 비용, 특히 빈곤층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여 사회에서 가장 어려운 계층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형차, 특대형차는 화물 수송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고속 자동차 국도에서는 화물차가 전체 이용 차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한편, 교통량 자체가 감소 추세에 있는[43] 경우도 있어 화물차에 대해 요금 면에서 일정한 우대책이 취해진다.

도로 관리자가 다른 구간의 상호 통행, 유료, 무료 구간의 상호 통행에서는 요금소를 통과할 때마다 터미널 차지가 부과된다.

정치 단체의 특대형 차량에 해당하는 시위 차량이 경자동차 요금으로 감액해 줄 것을 요금 징수원을 협박하는 사례[44], 또는 프리웨이 클럽이 발행하는 "무료 통행 선언서"나 이와 유사한 서류를 제출하고 통행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 사례 등이 존재한다.[44] 이러한 행위에 대해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 위반을 근거로 행위자의 체포 및 요금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다.[45][46]

6. 한국의 유료 도로

한국의 유료 도로는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교량, 터널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거가대교, 인천대교, 마창대교 등 주요 교량과 남산1,3호터널, 우면산터널 등 도심 터널도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7. 외국의 유료 도로

중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
서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고속자동차 국도일반 유료도로
(일반 국도, 도도부현도, 지정 시도)수도 고속도로 주식회사
한신 고속도로 주식회사
지정 도시 고속도로 공사도시 고속도로혼슈 시코쿠 연락 고속도로 주식회사혼슈 시코쿠 연락 고속도로
(일반 국도)지방 도로 공사일반 유료도로
(일반 국도, 도도부현도, 시정촌도)지방 공공 단체(도도부현・시정촌)일반 유료도로
(도도부현도, 시정촌도)유료 교량・유료 도선장
(도도부현도, 시정촌도)



중국은 세계 유료 도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높은 도로 요금이 문제시되고 있다.[38] 이는 운영 회사의 독점적 폭리 때문으로 여겨지며, 도로 건설비 상환 후에도 요금이 계속 징수되는 경우가 많다.[38]

유럽에서는 18세기에 수혜자 부담 원칙에 따른 유료 도로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탈리아는 세계 최초로 고속 교통 전용 자동차 고속도로를 건설한 국가이다.[6][7] 1924년에 개통된 ''아우토스트라다 데이 라기(Autostrada dei Laghi)''는 밀라노코모호, 마조레호를 연결하며, 통행료를 통해 건설 비용을 충당했다.[7][8]

1924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건설된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데이 라기(Autostrada dei Laghi)'' ("호수 고속도로")의 통행료 징수소

7. 1. 미국

미국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 많은 주에서 통행료 수입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하여 최초의 고속도로를 건설했다. 1940년에 개통된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는 미국 최초의 장거리, 통제된 접근 방식의 유료 도로였다.[48] 이후 메인 턴파이크(1947년), 블루 스타 턴파이크(1950년), 뉴저지 턴파이크(1951년), 가든 스테이트 파크웨이(1952년), 웨스트 버지니아 턴파이크와 뉴욕주 스루웨이(1954년), 매사추세츠 턴파이크(1957년), 시카고 스카이웨이와 인디애나 톨 로드(1958년) 등이 건설되었다.

1950년대 후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유료 도로 건설은 둔화되었으나, 1980년대에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완공되면서 주에서는 다시 유료 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1983년에 시작된 휴스턴의 외부 벨트웨이 상호 연결된 유료 도로를 필두로, 플로리다주 올랜도 주변 유료 도로 시스템, 콜로라도의 E-470, 조지아주 400번 주간 고속도로 등이 추가되었다.[48]

21세기 들어 미국에서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과 고속 주행 유료 차선의 도입으로 새로운 유료 도로 건설이 증가했다. 여러 주 시스템과 호환되는 E-ZPass 시스템은 미국에서 가장 큰 전자 요금 징수(ETC) 시스템이다. 메릴랜드 주도 제200호선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트라이앵글 고속도로는 요금소 없이 건설된 최초의 유료 도로이다. 매사추세츠 턴파이크,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 일리노이 톨웨이 등 오래된 유료 도로도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

18세기 말까지 미국의 주요 운송 수단은 소와 말이었다.[48] 1808년 재무장관 앨버트 갤러틴의 보고서는 19세기 내륙 교통 개선의 출발점으로 여겨지지만, 연방 정부의 재정력은 주 정부에 비해 작아 유료 도로 건설은 주로 사적 자본이나 주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다.[48] 1800~1820년경까지를 미국 유료 도로 시대(Turnpike Era)라고 부른다.[48] 1840년대 이후 철도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철도 지선 또는 도시 근교 교통로로서 플랭크 로드(Plank Road)라고 불리는 단거리 유료 도로가 건설되었다.[48]

이러한 유료 도로는 대부분 주의 특허를 얻은 회사가 경영했으며, 주법으로 요금이 규정되었고, 특허 만료 시 공도로 개방되었다.[48] 1840년대에는 주 정부가 유료 도로를 매수하거나 특허 연장을 거부하면서 유료 도로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48] 미국의 고속도로는 기본적으로 무료이지만, 일부 구간에는 통행료가 부과되며, 요금소와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49]

7. 2. 일본

중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
서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고속자동차 국도일반 유료도로
(일반 국도, 도도부현도, 지정 시도)수도 고속도로 주식회사
한신 고속도로 주식회사
지정 도시 고속도로 공사도시 고속도로혼슈 시코쿠 연락 고속도로 주식회사혼슈 시코쿠 연락 고속도로
(일반 국도)지방 도로 공사일반 유료도로
(일반 국도, 도도부현도, 시정촌도)지방 공공 단체(도도부현・시정촌)일반 유료도로
(도도부현도, 시정촌도)유료 교량・유료 도선장
(도도부현도, 시정촌도)



도로법에 의하지 않는 유료도로에는,

7. 3. 중국

세계 유료 도로의 약 70%가 중국에 있으며, 도로 요금의 높이가 문제시되고 있다. 이는 독점 기업인 운영 회사가 폭리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도로 요금은 도로 건설비 상환이 완료된 후에는 무료가 되어야 하지만, 운영 회사는 경영 상황을 공개하지 않고 도로 건설비의 상환 상황을 밝히지 않고 있다.[38]

7. 4. 유럽



유럽에서는 16세기 중반부터 교회가 교구별로 부역 노동을 부과하여 도로를 유지 관리했다. 18세기에는 도로 수요가 늘면서 수탁자 단(trustee)에 의한 수혜자 부담 원칙에 따른 유료 도로 방식이 도입되었다.

7. 4. 1. 영국



영국에서는 16세기 중반부터 교회가 교구별로 부역 노동을 부과하여 도로의 유지 관리를 수행했다.[47] 18세기에는 도로 수요 증대로 교구에 의한 공적 도로 관리에서 수탁자 단(trustee)에 의한 수혜자 부담 원칙에 따른 유료 도로 방식이 도입되었다.[47] 유료 도로는 처음에는 공공 도로의 보완물로 도입되었지만, 교통량 증가와 토목 공사 기술 향상으로 유료 도로 건설과 개수가 진행되었다.[47]

1720년대까지 영국의 유료 도로는 런던 근교와 서부 여러 도시에 한정적으로 소수만 존재했다.[47] 1720년대에 주요 도시에서 유료 도로 건설이 계획되기 시작했으며, 1730년대에 잠시 침체되었지만, 1740년대부터 다시 활발하게 건설되어 1750년대에는 런던으로 향하는 주요 도로 대부분이 유료 도로화되었다.[47]

1820년경 유료 도로는 당시 공공 도로(약 약 201167.50km)의 7분의 1에 불과했지만, 수송 품질 향상, 대규모 투자, 토목 기술 발전, 여러 도시 발전에 유료 도로가 기여한 역할은 크다고 여겨진다.[47]

7. 4. 2.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고속 교통 전용 자동차 고속도로를 건설한 세계 최초의 국가였다.[6][7] 피에로 푸리첼리(Piero Puricelli)가 고안하여 1924년에 개통된 ''아우토스트라다 데이 라기(Autostrada dei Laghi)'' ("호수 고속도로")는 밀라노코모호, 마조레호를 연결하며, 현재는 아우토스트라다 A8과 아우토스트라다 A9의 일부를 구성한다.[7] 토목 기사이자 사업가인 피에로 푸리첼리는 1921년에 공공 유틸리티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최초의 허가를 받았고, 1924년부터 1926년까지 건설을 완료했다(각 방향으로 1차선). 피에로 푸리첼리는 통행료를 도입하여 비용을 충당하기로 결정했다.[8]

참조

[1] 웹사이트 Road Pricing Defined http://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2-05-23
[2] 간행물 Toll roads-the French experience. Transrouts International, Saint-Quentin-en-Yvelines. 1990
[3] 웹사이트 Toll https://www.britanni[...] 2020-10-06
[4] 서적 The Birth of Plenty: How the Prosperity of the Modern World was Created McGraw-Hill 2010
[5] 서적 Dahomey: An Ancient West African Kingdom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6] 뉴스 The motorway that built Italy: Piero Puricelli's masterpiece http://www.independe[...] 2022-05-12
[7] 웹사이트 The "Milano-Laghi" by Piero Puricelli, the first motorway in the world https://www.motorweb[...] 2022-05-10
[8] 웹사이트 1924 Mile Posts http://local.aaca.or[...] 2006-04-03
[9] 간행물 'Institutional Aspects of Directive 2004/52/EC on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onic Road Toll Systems in the Community.' Europainstitut der Universität Basel. 2008
[10] 문서 Parliamentary Papers 1840
[11] 서적 Turnpikes and Toll Bars Hutchinson & Co.
[12] 웹사이트 Toronto.ca http://www.toronto.c[...] 2014-09-19
[13] 웹사이트 Lostrivers.ca http://www.lostriver[...] 2014-09-19
[14] 뉴스 A 100-Year-Old Dream: A Road Just for Cars https://www.nytimes.[...] 2010-03-27
[15] 웹사이트 BBS.keyhole.com http://bbs.keyhole.c[...] 2014-09-19
[16] 웹사이트 Come si calcola il pedaggio - Autostrade per l'Italia S.p.A http://www.autostrad[...] 2024-03-05
[17] 웹사이트 Legge 12 agosto 1982, n. 531. - Piano decennale per la viabilità di grande comunicazione e misure di riassetto del settore autostradale. http://www.edizionie[...] 2024-03-05
[18] 문서 In Italy the devices allowed are Telepass, MooneyGo, UnipolMove and other devices pursuant to EU regulations
[19] 웹사이트 Dove sono i pedaggi? https://www.laleggep[...] 2024-02-28
[20] 웹사이트 PER VIAGGIARE IN ITALIA TELEPASS E VIACARD https://asartservizi[...] 2024-02-28
[21] 간행물 'Tolling with Satellites – a System Concept for Everybody?" in: Jordi, Philipp (2008): "Institutional Aspects of Directive 2004/52/EC on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onic Road Toll Systems in the Community.' Europainstitut der Universität Basel. 2004
[22] 웹사이트 Union Watersphere http://lostinjersey.[...] lostinjersey.wordpress.com 2012-02-23
[23] 웹사이트 407ETR.com http://www.407etr.co[...]
[24] 웹사이트 First phase of ICC to open Feb. 22 http://weblogs.balti[...] 2011-02-07
[25] 웹사이트 Final section of ICC to Laurel, new I-95 interchange to open this weekend http://www.baltimore[...] 2015-06-19
[26] 뉴스 Drivers roll on state's first toll road http://www.wral.com/[...] 2012-01-31
[27] 문서 http://www.mdot.stat[...]
[28] 서적 Roads in a market economy Ashgate Publishing Company
[29] 웹사이트 Eliminate toll roads https://www.chronicl[...] 2024-01-22
[30] 논문 The Inefficiency of Toll Collection as a Means of Taxation: Evidence from the Garden State Parkway http://www.tollfreei[...] 2003-07-01
[31] 서적 Who Uses Toll Roads?: An Analysis of Central Texas Turnpike Users https://books.google[...] Southwest Regional University Transportation Center,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2] 서적 Contemporary Business https://books.google[...] South-Western Cengage Learning
[33] 서적 Modernizing Infrastructure in Transformation Economie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2002-01-01
[34] 웹사이트 Toll Roads and Externalities https://marginalrevo[...] 2004-08-18
[35] 논문 Internalizing emission externality on road networks 2006-07-01
[36] 웹사이트 Dynamic Pricing on the Road: How Managed Tolls Are Increasing Efficiency and Innovation https://www8.gsb.col[...] 2015-11-16
[37] 논문 Efficient Congestion Tolls in the Presence of Unpriced Congestion: A Peak and Off-Peak Simulation Model 1998-11-01
[38] 뉴스 "世界1の有料道路大国」で、高コスト体質に批判!20kmごとに高給の職員が待つ料金所"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7-08-07
[39] 문서 自動車交通事業法と道路の改善 http://library.jsce.[...]
[40] 문서 自動車交通事業法 https://www.digital.[...] 国立公文書館
[41]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2007
[42] 웹사이트 国土交通省道路局 有料道路の種類と事業主体 http://www.mlit.go.j[...]
[43] 웹사이트 道路交通の現状-詳細(1)交通量の状況 3- http://www.kkr.mlit.[...] 近畿地方整備局 (道路部)
[44] 뉴스 高速道路等における不正通行へ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2-07-09
[45] 뉴스 「無料通行宣言書」を使用した不正通行者が逮捕されました(2006年11月13日付) http://www.shutoko.j[...]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46] 뉴스 不正通行の撲滅に向けて警察への通報・通行料金の回収に全力で取り組んでいます(2007年9月20日付) http://www.shutoko.j[...]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47] 논문 一八世紀イギリスの有料道路・河川・運河経営 https://hdl.handle.n[...] 福島大学経済学会 1976-07
[48] 논문 19世紀アメリカにおける有料道路建設 : 北東部諸州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關西大学經済學會 2004-11
[49] 서적 RPA革命の衝撃 東洋経済新報社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