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읍천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읍천 단층은 1998년 나산초등학교 절개사면에서 최초로 발견된 단층으로,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남쪽으로 1.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하서 분지와 제3기 화산암류의 경계 단층이며, 최대 변위는 4.0m이고, 주향은 북동 20°, 경사는 남동 40°인 소규모 역단층이다. 트렌치 조사 결과 제4기 해안단구층이 읍천단층에 의해 절단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제4기 동안 최소 2번의 단층 운동이 발생했다.

수렴 단층은 1998년 경주시 수렴리에서 발견된 제4기 단층으로, 해발고도 50~60m의 해안단구 중위면에 위치하며, 제3단구 상위의 퇴적층을 절단한다. 월성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4km 거리에 위치하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읍천 단층
읍천 단층
2016년 경주 지진으로 인한 읍천 단층의 지표 파열
읍천 단층
지질학적 정보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읍천리
유형단층
활동 여부활동성 단층으로 추정
길이약 25km
방향북북서-남남동 방향
주향북서 주향
남동 주향
특징주향 이동 단층 성격이 강함
2016년 경주 지진 당시 지표 파열 발생
관련 지진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영향 가능성)
추가 정보단층의 정확한 특성 및 활동 이력은 추가 연구가 필요함.
읍천 단층 주변 지역은 지진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요구됨.

2. 읍천 단층

읍천 단층은 경주시 양북면 읍천리 나산초등학교 신축 부지에서 발견된 단층이다.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단층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관찰하고 있다.[4]

하서 분지와 제3기 화산암류의 경계에 있는 소규모 역단층으로, 트렌치 조사 결과 제4기 해안단구층이 읍천 단층에 의해 절단되어 있어 제4기 동안 최소 2번의 단층 운동이 발생했음이 확인되었다.[1]

2. 1. 발견

읍천 단층은 1998년 당시 신축 중이던 나산초등학교 절개사면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2]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남쪽으로 1.8km 떨어져 있으며[3], 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이 단층에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단층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다.[4]

2. 2. 지질학적 특징

읍천 단층은 1998년 당시 신축 중이던 나산초등학교 절개사면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2]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남쪽으로 1.8km 떨어져 있으며,[3] 한국수력원자력은 이 단층에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단층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다.[4]

읍천 단층은 하서 분지와 제3기 화산암류의 경계 단층으로, 주향은 북동 20°, 경사는 남동 40°인 소규모 역단층이며 최대 변위는 4.0m이다.[5][1]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해안단구층이 읍천 단층에 의해 명확하게 절단된 것이 발견되었으며, 제4기 동안 최소한 두 번의 단층 운동이 발생했다는 것이 밝혀졌다.[1]

2. 3. 활성 여부

읍천 단층은 1998년 당시 신축 중이던 나산초등학교 절개사면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2]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남쪽으로 1.8km 떨어져 있으며,[3] 한국수력원자력은 이 단층에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단층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다.[4]

읍천 단층은 하서 분지와 제3기 화산암류의 경계 단층으로, 최대 변위는 4.0m이고, 주향은 북동 20°, 경사는 남동 40°인 소규모 역단층이다.[5][1]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해안단구층이 읍천 단층에 의해 명확하게 절단된 것이 발견되었으며, 제4기 동안 최소한 2번의 단층 운동이 발생했음이 밝혀졌다.[1]

2. 4. 월성원자력발전소와의 관계

읍천 단층은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남쪽으로 1.8km 떨어져 있다.[3] 한국수력원자력은 이 단층에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단층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다.[4]

3. 수렴 단층

수렴 단층은 경주시 양북면 수렴리에서 발견된 단층이다.[6][7] 월성원자력발전소와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8]

3. 1. 발견

수렴 단층은 1998년 수렴리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지점은 해발고도 50~60m의 해안단구 중위면이며, 제3단구 상위의 퇴적층을 절단하는 제4기 단층이다.[6][7] 월성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4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8]

3. 2. 지질학적 특징

수렴 단층은 1998년 수렴리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지점은 해발 50m~60m의 해안단구 중위면이며 제3단구 상위의 퇴적층을 절단하는 제4기 단층이다.[6][7]월성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4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8]

3. 3. 활성 여부

수렴 단층은 1998년 수렴리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지점은 해발고도 50~60m의 해안단구 중위면이며 제3단구 상위의 퇴적층을 절단하는 제4기 단층이다.[6][7] 월성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4km 거리에 있으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8]

3. 4. 월성원자력발전소와의 관계

수렴 단층은 1998년 수렴리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지점은 해발고도 50~60m의 해안단구 중위면이며 제3단구 상위의 퇴적층을 절단하는 제4기 단층이다.[6][7] 월성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4km 거리에 있으며 제4기 지층을 절단하고 있다.[8]

참조

[1] 웹인용 제4기 읍천 1단층의 특성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
[2] 저널 읍천단층의 제4기 역단층운동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reverse faulting on the Eupcheon Fault) https://www.dbpia.co[...] 2007-09
[3] 웹인용 제4기 읍천단층의 기하분석 : 트렌치 단면의 해석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05-06
[4] 저널 Introduction of Eupcheon Fault Monitoring System (읍천단층 감시시스템 소개) https://www.dbpia.co[...] 2012-12
[5] 저널 Thrust geometries in unconsolidated Quaternary sediments and evolution of the Eupchon Fault, southeast Korea https://onlinelibrar[...] 2004
[6] 웹인용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의 제4기 활동 및 지진 안정성 https://www.dbpia.c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11
[7]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 웹인용 한반도의 지진활동 연구 https://scienceon.ki[...] 한국교원대학교 2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