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성원자력발전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성원자력발전소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이다. 1983년 4월 22일 가동을 시작한 월성 1호기를 포함하여 총 4,100MW의 설비 용량을 갖추고 있다. 월성 1~4호기는 가압중수로형 원자로를 사용하며, 신월성 1, 2호기는 가압경수로형 원자로를 사용한다. 월성 1호기는 설계 수명이 만료된 후 계속 운전과 조기 폐쇄를 둘러싼 논란이 있었으며, 2019년 12월 폐쇄가 최종 결정되었다. 발전소 운영 중 여러 차례 고장 및 사고가 발생했으며, 관련 다큐멘터리가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 새울원자력발전소
    대한민국에 위치한 새울원자력발전소는 신고리 3, 4호기를 통해 총 2,800M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신고리 5, 6호기가 건설 중으로 2024년과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고 모든 발전기는 가압경수로를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 한울원자력발전소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한울원자력발전소는 가압경수로 방식의 다양한 모델 원자로를 운영하며 총 설비용량 8,700MW에 달하고, 신한울 3, 4호기 건설 예정이나 주변 단층으로 안전성 논란이 있다.
  • 경주시의 건축물 - 서경주역
    서경주역은 1919년 금장역으로 시작하여 역명 변경과 이설을 거쳐 동해선 무궁화호와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경주시의 건축물 - 안강역
    1918년 영업을 개시한 안강역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동해선 복선 전철화로 역사 이전 후 2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여객 운송을 담당하며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열차가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팔당댐
    팔당댐은 수도권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다목적 댐으로, 팔당호는 한때 유원지였으나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댐 관리교는 차량 통행이 일부 제한된다.
월성원자력발전소
개요
월성 원자력 발전소 전경
월성 원자력 발전소 전경
공식 명칭월성원자력발전소
한자 표기月城原子力發電所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및 문무대왕면 봉길리
기본 정보
상태운영 중
소유자한국수력원자력
운영자한국수력원자력
웹사이트월성원자력발전소 웹사이트
역사
착공1호기: 1977년 10월 30일
2호기: 1992년 9월 25일
3호기: 1994년 3월 17일
4호기: 1994년 7월 22일
5호기: 2007년 11월 20일
6호기: 2008년 9월 23일
상업 운전1호기: 1983년 4월 22일
2호기: 1997년 7월 1일
3호기: 1998년 7월 1일
4호기: 1999년 10월 1일
5호기: 2012년 7월 31일
6호기: 2015년 7월 24일
운전 종료1호기: 2019년 12월 24일
원자로 정보
원자로 형태CANDU PHWR
PWR
원자로 공급사AECL
KEPCO E&C
냉각 방식동해
단위 정보가동 중: 1 × 576 MW, 1 × 601 MW, 1 × 567 MW, 1 × 997 MW, 1 × 993 MW
원자로 모델: 4 × CANDU-6, 2 × OPR-1000
해체: 1 × 657 MW
열용량3 × 2061 MWth, 2 × 2825 MWth
발전 용량
설비 용량3734 MW
이용률75.25%
연간 발전량30,310 GW·h (2016년)
추가 정보
각주2011년
기타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2. 발전설비 현황

월성원자력발전소는 총 6기의 원자로를 갖추고 있으며, 이 중 월성 1호기는 2019년에 영구 정지되었다.[11] 나머지 4기는 가압중수로(CANDU)형이고, 2기는 KSNP(OPR-1000)형 가압 경수로이다.

호기형식용량
(순)
건설 시작운전 시작비고
월성 1호기CANDU-6657 MW1977년 10월 30일1983년 4월 22일2019년 영구 정지[11]
월성 2호기CANDU-6576 MW1992년 6월 22일1997년 7월 1일[12]
월성 3호기CANDU-6601 MW1994년 3월 17일1998년 7월 1일[13]
월성 4호기CANDU-6567 MW1994년 7월 22일1999년 10월 1일[14]
신월성 1호기OPR-1000997 MW2007년 11월 20일2012년 7월 31일[15]
신월성 2호기OPR-1000993 MW2008년 9월 23일2015년 7월 24일[16]



2023년 현재 가동 중인 원자로는 총 5기이며 설비용량 총계는 4,100MW이다.

2. 1. 월성 1~4호기

발전량
(MWh)
총 누계
(MWh)
월성 2호기1997년 7월 1일CANDU로70만5,910,58567,323,603월성 3호기1998년 7월 1일5,958,12362,526,838월성 4호기1999년 10월 1일6,057,62157,014,623


2. 2. 신월성 1, 2호기

신월성 1호기와 2호기는 OPR-1000형 가압 경수로 두 기이다. 신월성 1호기는 2012년 7월에 완전 가동에 들어갔다.[1][5][6]

2013년 6월 신월성 1호기는 가동이 중단되었고, 위조된 안전 인증서를 가진 안전 관련 제어 케이블을 교체할 때까지 신월성 2호기도 가동 중단 명령을 받았다.[7] 신월성 1호기는 2014년 1월 재가동 승인을 받았다.[8] 2014년 11월 신월성 2호기는 최초의 핵연료 장전을 마쳤으며,[8] 2015년 2월 송전망에 연결되었고,[9] 2015년 7월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10]

호기형식용량
(순)
건설 시작운전 시작
신월성 1호기OPR-1000997MW2007년 11월 20일2012년 7월 31일
신월성 2호기OPR-1000993MW2008년 9월 23일2015년 7월 24일


3. 월성 1호기 계속운전 및 조기 폐쇄 논란

월성 1호기는 CANDU 원자로(캐나다중수로)를 사용하는 원자력 발전소로, 1982년 가동을 시작하여 한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원전이다. 설계 수명 30년이 만료된 후 계속운전과 조기 폐쇄를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2015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을 승인했지만, IAEA의 최신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18] 이후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정책의 일환으로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를 추진했고, 2019년 12월 최종적으로 폐쇄가 결정되었다.[21]

그러나 2020년 감사원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의 근거가 된 경제성 평가가 과소평가되었다는 결론을 내렸고,[22] 이에 따라 대전지방검찰청은 수사를 시작했다.[23]

3. 1. 계속운전 과정

2015년 2월 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3년간 가동이 중단되었던 월성 1호기에 대해 2022년까지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17]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도는 2000년 7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수행된 원전 계속운전을 위한 수명관리 1단계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중수로 원전의 수명평가 방법론을 기준으로 주요 기기 수명평가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월성 1호기의 1차 주기적안전성평가(PSR)는 2001년 5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심사 결과 당시 적용되는 유효한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계속운전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가동 이후 압력관 교체, 제어용 전산기 교체, 증기발생기 습분 보강기 보강, 고압터빈 동익 교체 등 주요 핵심 기기의 설비 개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은 신청 단계부터 인허가 승인 단계까지 62개월이 소요되었다. 발전 사업자는 2009년 12월 30일 계속운전 인‧허가를 신청하였다. 심사는 18개월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나 후쿠시마 사고(2011년 3월) 이후 폐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 등 원전 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요건 강화로 심사 기간은 장기화되었다.

2012년 2월 9일 발생한 고리 1호기 정전사고 은폐 사건으로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수행하였고,[38] 후쿠시마 사고로 강화된 규제 요건에 맞추고 후속 조치를 수행하였다. 2012년 12월 스트레스 테스트 검증(2013년 7월~2015년 1월)에 규제 기관 외 민간검증단이 참여하며 심사 기간이 늘어났다. 또한 국제 원자력 기구(IAEA)에 안전성 검토를 요청하여 IAEA 7명의 전문가들이 2주간 심층 검토를 수행했으며, IAEA 평가 결과는 월성 1호기 보강 계획에 반영되었다.

고리 1호기의 실질적인 계속운전 기간은 6개월간 가동이 중단되어 9년 6개월이었으나, 월성 1호기의 실질적인 계속운전 기간은 심사 기간 연장으로 7년 5개월이다.

3. 2. 조기 폐쇄 결정 및 논란

2015년 2월 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3년간 가동이 중단된 월성 1호기에 대해 2022년까지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17] 그러나 IAEA의 최신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18]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타당성 입증 시도는 2000년 7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수행된 원전 계속운전을 위한 수명관리 1단계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중수로 원전 수명평가 방법론을 기준으로 주요 기기 수명평가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1차 주기적안전성평가(PSR)는 2001년 5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심사 결과 당시 적용되는 유효한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계속운전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가동 이후 압력관 교체, 제어용 전산기 교체, 증기발생기 습분보강기 보강, 고압터빈 동익 교체 등 주요 핵심 기기의 설비 개선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은 신청 단계부터 인허가 승인 단계까지 62개월이 소요되었다. 2009년 12월 30일, 발전 사업자는 계속운전 인허가를 신청하였다. 심사는 18개월 이내에 이루어져야 했으나, 2011년 3월 후쿠시마 사고 이후 폐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 등 원전 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요건 강화로 심사 기간이 장기화되었다.

2012년 2월 9일 발생한 고리1호기 정전사고 은폐사건으로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수행하였고[38], 후쿠시마 사고로 강화된 규제 요건에 맞추고 후속 조치를 이행하였다. 2012년 12월 스트레스 테스트 검증(2013.7~2015.1)에 규제기관 외 민간검증단이 참여하며 심사 기간이 늘어났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안전성 검토를 요청하여 IAEA 전문가 7명이 2주간 심층 검토를 수행했으며, IAEA 평가 결과는 월성1호기 보강 계획에 반영되었다.

고리 1호기의 실질적인 계속운전 기간은 6개월간 가동 중단으로 9년 6개월이었으나, 월성 1호기는 심사 기간 연장으로 7년 5개월간 계속 운전하였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같은 해 6월 고리 원전 1호기 정지식에서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를 명시했다.[19] 2018년 6월 15일, 한국수력원자력은 이사회를 열어 1호기 조기 폐쇄를 결정했고,[20] 2019년 12월 24일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표결로 폐쇄가 결정되었다.[21]

2020년 10월 20일, 감사원은 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근거가 된 경제성 평가가 과소평가되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22] 대전지방검찰청은 감사원 결정에 따라 탈원전을 내건 문재인 정부의 의향을 참작하여 채산성을 의도적으로 낮게 평가한 혐의가 있다며 수사를 시작했다.[23]

4. 사건사고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는 과거 50회 이상의 고장 등 사고가 발생했으며[24], 2012년 11월에 설계 수명 30년을 맞은 1호기는 지난 10년간 8번의 고장을 겪었고[25], 특히 2012년에 들어서 4번의 고장이 발생했다.



2012년 7월에 가동된 신월성 1호기에서도 2013년 4월에 이상 정지가 발생했고[34], 5월에는 제어 케이블이 시험 결과를 위조한 불량품으로 밝혀져 신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와 함께 운전을 중단했다[35][36].

5. 지역 사회와의 관계

월성원자력발전소는 지역 사회와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관련 작품으로 포항MBC 특집 다큐멘터리 〈월성 1호기: 가려진 진실〉(2014년)이 있으며, 이 작품은 2014년 한국방송기자대상 지역보도부문 기획다큐상을 수상했다.

5. 1. 관련 작품

포항MBC 특집 다큐멘터리 〈월성 1호기: 가려진 진실〉(2014년)은 2014년 한국방송기자대상 지역보도부문 기획다큐상을 수상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827192330/http://www.phmbc.co.kr/television/features_program/documentary?idx=228084&mode=view 바로 가기

참조

[1] 웹사이트 Korea, Republic of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13-06-07
[2] 뉴스 경주시의 산업·교통 (Industry and Transportation of Gyeongju)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3] 뉴스 ATS wins South Korea nuclear deal https://www.thestar.[...] Canadian Press 2007-09-10
[4] 웹사이트 KHNP Fact Sheet http://www.candu.org[...] 2009-08-31
[5] Webarchiv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http://eng.knef.or.k[...] Korea Neclear Energy Foundation 2010-02-01
[6] 뉴스 TALKING DEALS; Help for Canada's Nuclear Indust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1-01-10
[7] 뉴스 New component issues idle Korean reactors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3-05-28
[8] 뉴스 Shin Wolsong 2 fuel loading completed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4-11-21
[9] 뉴스 Grid connection for South Korean reactor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5-02-26
[10] 뉴스 South Korean reactor enters commercial operation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5-07-24
[11] 웹사이트 Wolsong-1 http://www.iaea.org/[...] IAEA 2024-07-09
[12] 웹사이트 Wolsong-2 http://www.iaea.org/[...] IAEA 2024-07-09
[13] 웹사이트 Wolsong-3 http://www.iaea.org/[...] IAEA 2024-07-09
[14] 웹사이트 Wolsong-4 http://www.iaea.org/[...] IAEA 2024-07-09
[15] 웹사이트 Shin-Wolsong-1 http://www.iaea.org/[...] IAEA 2013-06-08
[16] 웹사이트 Shin-Wolsong-2 http://www.iaea.org/[...] IAEA 2015-07-25
[17] 뉴스 【社説】問題だらけの月城原発稼動延長決定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02-28
[18] 뉴스 寿命延長決まった月城1号機の安全性、IAEA基準満たせず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03-05
[19] 웹사이트 韓国の新大統領:脱原子力政策への転換を宣言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7-06-20
[20] 웹사이트 【社説】内外から押し寄せる不安な経済暗雲が見えないのか=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6-19
[21] 뉴스 寿命まで3年残った韓国の月城原発1号機、結局は永久閉鎖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12-25
[22] 뉴스 月城原発1号機の経済性「過小評価」 早期閉鎖決定巡り=韓国監査院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0-10-20
[23] 뉴스 韓国検察、原発早期閉鎖で捜査 政治的と与党反発 https://www.sanyonew[...] 山陽新聞デジタル 2020-11-27
[24] 웹사이트 韓国月城原発1号機がまた故障、稼働期間の延長は…=韓国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2-09-17
[25] 웹사이트 社説 月城原発1号機の美しい‘臨終’を準備しよう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2-10-30
[26] 웹사이트 月城原発で使用済み核燃料棒落下事故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05-16
[27] 웹사이트 原発でまた運転停止 企業が緊急節電へ=韓国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1-12
[28] 웹사이트 月城原発1号機 変圧器故障で停止=韓国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2-09-17
[29] 웹사이트 韓国・月城原発1号機がまた故障…今年4回目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2-10-30
[30] 웹사이트 ‘寿命延長 論難’月城1号機、再び故障で停止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2-10-30
[31] 웹사이트 月城原発で使用済み核燃料棒落下事故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05-16
[32] 웹사이트 韓国原発で重水漏出、29人が放射能に被ばく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6-14
[33] 웹사이트 韓国月城原発4号機、使用済み核燃料貯蔵水2.3トン海に漏れ出す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4-06-23
[34] 웹사이트 新月城原発1号機の原子炉が停止…電力需給“準備段階”発令=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3-04-23
[35] 웹사이트 新古里原発2号機・新月城1号機の原子炉停止へ=韓国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3-05-28
[36] 웹사이트 韓国原発10基が稼動中断…夏の電力不足憂慮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3-05-28
[37] 문서 2018년 6월 22일 폐쇄
[38] 문서 KINS 심사(2009.12.30~2014.10.1), 전문위 심의(2015.1.8), 원안위 심의(2015년 초 총 3회)가 이루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