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수력원자력은 2001년 한국전력공사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발전 회사로, 대한민국 원자력 발전소 및 수력, 양수 발전소를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1978년 고리 1호기 상업 운전을 시작으로 원자력 발전 용량을 확대해 왔으며, 2024년 체코 두코바니 원전 건설 입찰에서 승리하는 등 해외 원전 시장에도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수력원자력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WFC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WFC는 2017년 창단하여 WK리그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단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리그 상위권을 유지하며 4차례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했고, 2018년 감독 사임 및 논란 이후 2019년 송주희 감독 부임 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력 회사 - 한국서부발전
한국서부발전은 2001년 4월에 설립되어 태안, 평택, 서인천, 군산 등에서 발전소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발전회사로서, 사장 직속 부서와 여러 본부를 통해 발전 사업을 수행하며 홍문신, 이영철, 김종신, 손동희, 김문덕, 조인국, 정하황, 김병숙, 박형덕 등이 역대 사장을 지냈다.
한국수력원자력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로마자 표기 |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
한자 표기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설립일 | 2001년 |
설립자 | 한국전력공사 |
본사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불국로 1655 (장항리) |
대표 | 황주호 (대표이사) |
산업 | 전력 생산 원자력 발전 수력 발전 |
재무 정보 | |
자본금 | 1,212,214,190,000원 (2020.12) |
매출액 | 9,999,712,582,316원 (2020.12) |
영업이익 | 1,315,834,338,966원 (2020.12) |
순이익 | 617,942,076,980원 (2020.12) |
자산 총액 | 62,284,386,423,591원 (2020.12) |
수익 | 10조 4천억 원 |
이익 | 6천억 원 |
자산 | 62조 원 |
자본 | 26조 원 |
소유 및 관계 | |
모회사 | 한국전력공사 |
주주 | 한국전력공사 : 100% |
계열사 | 한국전력공사 |
자회사 | 경기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인천연료전지 주식회사 |
직원 및 기타 정보 | |
직원 수 | 12,786명 (2024. 6.) |
직원 수 | 12,551명 (2020) |
사업 지역 | 원자력 발전소(부산, 울산, 전남, 경북) 26기, 수력.소수력 발전소(팔당, 청평, 춘천 등) 37기, 양수발전소 16기, 태양광 발전소 59기, 풍력 발전소 1기, 연료전지 1기 등 |
웹사이트 | www.khnp.co.kr |
웹사이트 (영문) | www.khnp.co.kr |
종류 | 시장형 공기업 |
시장 정보 | 비상장 |
사업 내용 | |
주요 사업 | 수력 및 원자력 발전소 건설, 운영 및 관리, 전력자원 개발, 발전 및 관련사업, R&D 및 부대사업 |
2. 연혁
(내용 없음)
2. 1. 한국전력공사 분리 이전
한국전력공사(KEPCO)는 1977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리에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으며[1], 2001년 한국수력원자력이 분리되기 전까지 다수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상업 운전을 개시했다. 주요 발전소의 상업 운전 시작 시기는 다음과 같다.연도 | 상업 운전 개시 발전소 | 비고 |
---|---|---|
1978년 | 고리 1호기 | |
1983년 | 월성 1호기, 고리 2호기 | |
1985년 | 고리 3호기 | |
1986년 | 고리 4호기, 한빛 1호기 | |
1987년 | 한빛 2호기 | |
1988년 | 한울 1호기 | |
1989년 | 한울 2호기 | |
1995년 | 한빛 3호기 | |
1996년 | 한빛 4호기 | |
1997년 | 월성 2호기 | |
1998년 | 월성 3호기, 한울 3호기 | 한국 최초의 표준형 원자력 발전소 |
1999년 | 한울 4호기, 월성 4호기 |
2. 2. 한국전력공사 분리 이후
- 2001년 3월: 한국수력원자력㈜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 2001년: 한국전력공사의 전력산업 구조 개편 계획에 따라 발전 부문이 분할되어 한국수력원자력(KHNP)이 설립되었다.[1]
- 2002년: 한빛원자력발전소 5호기와 6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APR-1400 원자력 발전소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 2005년: 한울원자력발전소 5호기와 6호기가 완공되었고, 고리원자력발전소 풍력발전소와 한빛원자력발전소 태양광 발전소가 준공되었다.
- 2007년: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계속 운전이 승인되었다.
- 2010년: APR-1400 모델이 최초로 적용된 신고리원자력발전소 3호기 원자로 설치가 완료되었다.
- 2011년: OPR-1000 모델이 최초로 적용된 신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 2012년: 신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와 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 2013년: 한국 기술로 개발된 중수로 안전 해석 방법이 최초로 인허가를 받았다.
- 2014년: 한국형 신형 원전인 APR+의 표준 설계가 승인되었다.
- 2015년: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계속 운전이 승인되었고, 신월성원자력발전소 2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 2016년: 본사를 경상북도 경주시로 이전했으며, APR-1400 모델이 최초로 적용된 신고리원자력발전소 3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 2017년: 노을 연료전지 발전소와 고리원자력발전소 태양광 발전소가 완공되었으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영구 정지되었다.
- 2018년: 네팔 차멜리야 콜라 수력발전소(चमेलिया खोला जलविद्युत आयोजना|차멜리야 콜라 잘비듀트 아요자나ne)를 완공했다.
- 2019년: 삼랑진 양수발전소 부지에 태양광 발전소를 완공했으며, 신고리원자력발전소 4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3. 역대 사장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3. 1. 역대 사장 목록
임기는 3년이다. 선출 방식은 한국수력원자력 주주총회 의결 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고, 그 결과를 한수원에 통보하는 순서로 진행된다.대수 | 성명 | 취임 | 퇴임 | 비고 |
---|---|---|---|---|
초대 | 최양우 | 2001년 | 2003년 | |
2대 | 정동락 | 2003년 | 2004년 | |
3대 | 이중재 | 2004년 | 2007년 | |
4대 | 김종신 | 2007년 | 2012년 | |
- | 송재철 | 2012년 | - | 사장직무대행 |
5대 | 김균섭 | 2012년 | 2013년 | |
6대 | 조석 | 2013년 | 2016년 | |
7대 | 이관섭 | 2016년 | 2018년 | |
- | 전영택 | 2018년 | - | 사장직무대행 |
8대 | 정재훈 | 2019년 | 2022년 | |
9대 | 황주호 | 2022년 | 현재 |
4. 조직
한국수력원자력은 조직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위해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실을 두고 있다. 사장 직속으로는 비서실, 홍보실, 전략경영단, 안전경영단 등의 부서를 운영하며 회사의 주요 전략 및 대외 소통, 안전 관리 등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회사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본부를 두고 있다. 기술 개발 및 품질 관리를 위한 품질기술본부, 회사 전반의 기획 및 재무를 담당하는 기획본부, 인사 및 총무,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관리하는 관리본부가 있다. 또한, 원자력 및 수력 발전소 운영을 총괄하는 발전본부, 발전소 설계 및 기술 지원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링본부, 해외 원전 사업을 추진하는 수출사업본부, 신규 원전 건설을 책임지는 건설사업본부,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담당하는 그린사업본부 등이 주요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
4. 1. 경영 부문
경영 부문은 조달전략실, 기획본부, 관리본부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기획본부'''
- * 조직평가실
- * 기획처
- * 상생협력처
- * 재무처
- * 준법경영실
- '''관리본부'''
- * 노경협력처
- * 인사처
- * 조달처
- * ICT융합처
- * 사이버보안센터
대한민국 외에도 뉴욕, 워싱턴, 파리, 도쿄, 프라하에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며 국제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직원 수는 12,551명이며, 매출액은 10.4조원[3]을 기록했다. 국제 신용등급은 무디스로부터 Aa2(안정적), S&P로부터 AA(안정적), 피치로부터 AA-(안정적) 평가를 받았다.[4]
2022년부터 황주호가 3년 임기의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5][6] 이전 CEO는 정재훈이었다.[2]
4. 2. 기술 부문
기술부사장 아래에 다음과 같은 조직을 두어 기술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한다.- 원전통합경영실
- 발전본부
- * 발전처
- * 연료실
- * 규제협력처
- * 원전사후관리처
- 엔지니어링본부
- * 엔지니어링처
- * 설비개선처
- * 구조기술처
4. 3. 사업소

한국수력원자력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 연구 및 교육 기관 ===
- 방사선보건원
- 인재개발원
- 중앙연구원
=== 수력 및 양수 발전소 ===
- 한강수력본부
- 청평양수발전소
- 삼랑진양수발전소
- 무주양수발전소
- 산청양수발전소
- 양양양수발전소
- 청송양수발전소
- 예천양수발전소
=== 원자력 본부 ===
- 고리원자력본부
- 한빛원자력본부
- 월성원자력본부
- 한울원자력본부
- 새울원자력본부
=== 해외 사업 ===
5. [[한국전력공사]]와의 관계
한국수력원자력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된 상법상 주식회사이지만,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 및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의 계열회사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01년 한국전력공사의 전반적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설립되었다.[1] 이는 한국전력공사가 1977년 부산 고리에 첫 원자력발전소를 개설하고, 1978년 고리 원자력 1호기의 상업 운전을 시작한 이후의 조직 개편이었다.
6. 발전소 현황
한국수력원자력(KHNP)은 2001년 한국전력공사(KEPCO)의 전반적인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1] KHNP는 1978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를 포함하여 전국 각지에 원자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양수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각 발전소 종류별 상세 현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8]
설비 명칭 | 용량 | 위치 |
---|---|---|
한빛 태양광 발전소 1, 2 | 3 MW | 한빛원자력발전소 부지 |
고리 풍력 발전소 | 0.75 MW | 고리원자력발전소 부지 |
한빛 태양광 발전소 3 | 11 MW | 한빛원자력발전소 부지 |
예천 태양광 발전소 | 2 MW | 예천양수발전소 부지 |
고리 태양광 발전소 | 5 MW | 고리원자력발전소 부지 |
한국수력원자력 농업용 태양광 발전소 | 73 kW | 청평수력발전소 부지 |
경기 연료전지 발전소 | 58.8 MW | 경기도 화성시 |
노을 연료전지 발전소 | 20 MW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
부산 연료전지 발전소 | 30.8 MW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열병합발전단지 |
6. 1. 원자력 발전소
wikitext발전소 | 위치[7] |
---|---|
고리원자력발전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
월성원자력발전소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
한빛원자력발전소 (구 영광)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
한울원자력발전소 (구 울진)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
새울원자력발전소 |
6. 2. 수력 발전소
아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운영하는 수력 발전소 목록이다.[7]발전소 명칭 | 소재지 |
---|---|
칠보수력발전소 | 정읍시 칠보면 (섬진강 사이트) |
의암수력발전소 | 춘천시 신동면 (의암댐) |
청평수력발전소 | 가평군 청평면 (청평 사이트) |
춘천수력발전소 | 춘천시 신북읍 (춘천 사이트) |
팔당수력발전소 | 남양주시 조안면 (팔당 사이트) |
화천수력발전소 | 화천군 간동면 (화천댐) |
보성강수력발전소 | 보성군 득량면 (보성강 사이트) |
괴산수력발전소 | 괴산군 칠성면 (괴산 사이트) |
안흥수력발전소 | 정보 없음 |
강릉수력발전소 | 강릉시 성산면 (강릉 사이트) |
6. 3. 양수 발전소
한국수력원자력이 운영하는 양수 발전소는 다음과 같다.- 무주양수발전소
- 산청양수발전소
- 양양양수발전소 (1,000MW, 한국 최대 단일 양수발전소)
- 예천양수발전소 (600MW)
- 청송양수발전소
- 청평양수발전소 (400MW)
- 삼랑진양수발전소 (600MW)
7. 종합에너지기업으로의 도약
한수원은 원자력 분야 외에도 수력과 양수, 그리고 태양광 및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아우르는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비중을 24%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18], 발전 용량으로는 7.6G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12]
이를 위해 다양한 국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라북도 새만금 방조제에는 세계 최대 규모인 300MW급 부유식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며,[12] 울산광역시 및 현대자동차와 협력하여 6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설도 설치했다.[12] 이와 별개로 현대차 부지에 12.6MW 규모의 태양광 설치 사업도 진행 중이다.[18] 풍력 발전 분야에서는 2019년 경상북도 청송군의 양수발전소 인근 노라산 기슭에 19.2MW 규모의 육상 풍력 발전 단지를 완공하여 약 16,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12] 이 외에도 서남해 해상풍력(60MW) 사업과 인천 연료전지(40MW)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18]
해외 시장에서도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UAE 원전 수주 경험을 바탕으로 이집트, 체코 등 해외 원전 시장 추가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칠레 태양광 발전 사업과 미국 풍력 발전 사업 진출을 통해 해외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8]
8. 해외 사업
한국수력원자력(KHNP)은 루마니아에서 방사성폐기물 저장소를 위한 기술 서비스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체코, 폴란드, 카자흐스탄, 불가리아의 원자력발전소 운영업체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13][14]
8. 1. [[APR-1400]] 설계인증
한국수력원자력은 한국형 3세대 신형 원전인 APR-1400의 표준설계에 대해 주요 국제 인증을 획득하였다.2017년 10월, APR-1400은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을 먼저 취득하였다.[19][17] 이어 2018년 9월 27일에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표준설계 인증서를 최종적으로 받았다.[19] 이 NRC 설계인증은 미국 외 국가에서 개발한 원자로 노형으로는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19][17] 미국 NRC는 APR-1400 설계가 미국의 안전 요건을 완전히 충족한다고 공식적으로 확인하였다.[17]
이처럼 APR-1400이 세계 양대 인증인 EUR 인증과 NRC 설계인증을 모두 취득함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미국 및 동유럽을 포함한 세계 원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었다.[19]
8. 2. UAE 원전 사업 진출
2009년 12월 27일, 한국전력공사(KEPCO)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랍에미리트 원자력 에너지 공사(ENEC)와 1400MWe급 APR-1400 노형 원자력 발전소 4기를 바라카에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9][20] 이 수주를 통해 한국은 세계에서 6번째로 상용 원전을 수출하는 국가가 되었으며, 특히 프랑스의 아레바 및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일본 히타치 컨소시엄과의 경쟁에서 이긴 성과로, 한국형 원전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1978년 고리 1호기를 외국 기술로 도입한 지 31년 만에 자체 기술로 개발한 원전을 수출하게 된 것이다.[20]이 프로젝트에는 주관사인 한국전력공사 외에 한국수력원자력(KHNP),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원자력연료(KEPCO NF),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이 협력사로 참여했다.[9] 한국수력원자력은 한국전력공사와의 공동 프로젝트 관리 계약에 따라 건설 관리 인력 및 기술 지원, 교육 및 면허 지원 등을 제공했으며,[9] 한전 컨소시엄을 통해 4개 원전의 시운전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20]
원전 운영 및 정비 분야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6년 7월에는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운영사인 나와 에너지(Nawah Energy)와 운영지원계약(OSSA)을 체결하여[21] 숙련된 운영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이 계약에 따라 4호기 완공 후 10년 동안 매년 평균 200명의 운영자와 엔지니어를 배정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10] 또한, 2019년 6월에는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 컨소시엄이 나와 에너지와 5년간의 장기정비계약(LTMA)을 체결하여, 후속 사업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2][11]
8. 3. 해외 신재생사업 진출
한수원은 2020년 9월 국내 금융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미국에서 총 설비용량 852MW 규모의 4개 대형 육상풍력발전단지 지분 49.9%를 인수하며 한수원 최초로 북미 대형풍력 발전시장 진출에 성공하였다.[23][15]같은 해 9월, 한수원은 세계무역센터 서울에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S에너지, 한양전력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칠레 태양광 발전 사업에 공동 투자를 결정했다.[24][16] 이 컨소시엄은 칠레 수도 산티아고 인근의 마리아 핀토에 6.4MW, 과달루페에 6.6MW 규모(총 13MW)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했으며, 2021년 준공 후 25년간 운영할 계획이었다.[24][16]
8. 4. 체코 원전 수주
한국수력원자력(KHNP)은 2024년 7월 17일, 체코 두코바니 원전에 신규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의 최종 공급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테멜린 원전에 2기를 추가로 건설하는 옵션에 대해서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어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두코바니 원전의 경우, 1기당 건설 비용은 약 2000억체코 코루나 수준으로 추산된다. 이번 수주는 한국형 원전의 기술력과 사업 수행 능력을 국제적으로 입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khnp.co.k[...]
2014-11-19
[2]
웹사이트
History of Executives
http://www.khnp.co.k[...]
2014-11-19
[3]
웹사이트
Financial Statements
http://cms.khnp.co.k[...]
2014-11-19
[4]
웹사이트
Global Credit Ratings
http://cms.khnp.co.k[...]
2019-10-11
[5]
웹사이트
New KHNP CEO vows extensive support for nuclear systems export
https://www.koreatim[...]
Dongwha Enterprise
2023-06-17
[6]
웹사이트
IAEA Chief in Korea: Nuclear Energy, Safety and Safeguards
https://www.iaea.org[...]
2023-06-17
[7]
웹사이트
KHNP is: Overview
http://cms.khnp.co.k[...]
2014-11-19
[8]
웹사이트
Status of Generation Facilities
https://www.khnp.co.[...]
[9]
웹사이트
KHNP Eng Website
https://www.khnp.co.[...]
[10]
웹사이트
ENEC signs support services deal with Korea firm
https://www.expatnet[...]
[11]
뉴스
Korea wins smaller-than-expected maintenance deal for UAE nuclear plant
https://pulsenews.co[...]
PURSE
2019-06-24
[12]
뉴스
KHNP Spearheads New and Renewable Energy Initiatives
http://www.newsworld[...]
Newsworld
2020-04-23
[13]
뉴스
KHNP CEO Visits Czech Republic to Win a Nuclear Power Plant Order
http://www.businessk[...]
Business Korea
2020-09-07
[14]
뉴스
KHNP Aiming for New Nuclear Power Plant Contracts Overseas
http://www.businessk[...]
Business Korea
2020-07-15
[15]
뉴스
KHNP to Enter U.S. Renewable Energy Market
http://www.businessk[...]
Business Korea
2020-09-02
[16]
뉴스
KHNP to Enter South American Solar Power Market
http://www.businessk[...]
Business Korea
2020-09-28
[17]
뉴스
Korean reactor design certified for use in USA
https://www.world-nu[...]
WNN
2019-08-27
[18]
뉴스
친환경 종합에너지기업 도약 꾀하는 한수원
https://www.elec-ine[...]
전기에너지뉴스
[19]
뉴스
韓 APR1400 원전, 미국서 설계인증 취득...미국 외 원자로는 최초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
뉴스
한전 컨소시엄, 400억달러 UAE원전 수주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1]
뉴스
한수원 1조원 UAE원전 운영계약...2030년까지 3천명 파견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2]
뉴스
국내 원전기업, UAE 원전 정비계약 체결
http://www.energy-ne[...]
에너지신문
[23]
뉴스
한수원, 미국 신재생 시장 진출... 육상풍력 지분 49.9% 공동 인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4]
뉴스
한수원, 칠레 태양광 발전사업 주주협약 체결... 남미 첫 진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