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용경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용경제학은 경제 이론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학문 분야를 의미한다. 세이와 밀의 저작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케인스는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라스, 파레토, 슘페터 등 19세기와 20세기 초 경제학자들은 응용경제학을 순수 경제학, 사회 경제학 등과 구분하여 정의했다. 현대 주류 경제학은 핵심 경제 이론을 특정 문제에 적용하는 것으로 보지만, 비주류 경제학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론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응용경제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관련 학술지와 비판도 존재한다.

2. 용어의 기원과 역사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는 세이의 저술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세이는 "정치경제학의 일반 원리"를 "우리에게 제시된 어떤 상황의 조합에 대한 행동 규칙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에 대해 언급했다. 밀은 1848년 저서에서 사회 철학에 대한 몇 가지 응용과 함께 정치 경제학 원리를 다루었다.[4]

존 네빌 케인스는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중 하나로 추정된다. 그는 존 스튜어트 밀, 존 엘리엇 케인스, 나소 윌리엄 시니어 등이 속한 '영국 학파'가 정치경제를 추상적이고 연역적인 과학으로 보았다고 언급하며, '정치경제 그 자체와 실천에의 적용' 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두었다고 설명했다.[6][7] 케인스는 정치경제의 가설적인 법칙을 '구체적인 산업적 사실'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데 적용하는 것에 대해 썼으며, 과학으로서의 정치경제와 예술로서의 정치경제 사이의 개념적 구분을 제안했다.[8] 그는 '정치경제의 예술' 대신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8]

레옹 발라스는 자신의 주요 저서를 "순수", "응용", "사회" 경제학으로 나누어 구성할 계획을 세웠다. 그는 순수 경제학은 순수 논리를 포함하며, 응용 경제학은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순수 경제학의 논리가 현실 세계와 관련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요구한다고 보았다.[9] 빌프레도 파레토는 "순수 경제학"과 "응용 경제학"을 구별하며, 순수 경제학은 논증의 주요 내용을, 응용 경제학은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제안했다.[10] 요제프 슘페터는 응용 경제학의 정의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강조했다.[11]

2. 1. 존 네빌 케인스의 논의

존 네빌 케인스는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그는 '영국 학파' (존 스튜어트 밀, 존 엘리엇 케언스, 나소 윌리엄 시니어)가 정치경제를 긍정적이고 추상적이며 연역적인 과학으로 보았고, '정치경제 그 자체와 실천에의 적용' 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두었다고 언급했다.[6][7] 이 학파는 경제적 사실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없이 추상적인 추론을 통해 일반적인 이론 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론의 적용은 추상적인 이론을 구축할 때 무시되었던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했다. 케인스는 정치경제의 가설적인 법칙을 '구체적인 산업적 사실'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데 적용하는 것에 대해 썼다. 과학으로서의 정치경제(부의 생산과 분배를 지배하는 법칙을 공식화하는 것)와 예술로서의 정치경제(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칙을 사용하는 것) 사이의 개념적 구분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8]

정책 입안자들이 추구하는 목표와 수단이 경제학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믿는 역사학파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J.N. 케인스는 원리 발견과 그 적용 사이의 '영국 학파'의 구별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8]

그는 '정치경제의 예술' 대신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케인스는 응용 정치경제와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다른 용도를 언급했다:[8]

1. 텍스트에서 제안된 의미에서 [정치경제의 예술과 관련하여]

2. 실제적인 문제 해결과 반드시 관련 없이, 특정한 경제 현상을 해석하고 설명하기 위해 경제 이론을 적용하는 것

3. 모든 경제적 추론에 스며든다고 여겨지는 추상적인 이론보다 더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경제 교리의 부분을 구분하는 것. 그리고 건강한 기업과 사업 번영을 얻기 위해 현실에 있는 것에 경제 이론을 적용하는 것.

2. 2. 19세기 및 20세기 초 경제학자들의 용어 사용

존 네빌 케인스는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존 스튜어트 밀, 존 엘리엇 케언스, 나소 윌리엄 시니어 등이 속한 "영국 학파"가 정치경제를 추상적이고 연역적인 과학으로 보았다고 언급했다.[6][7] 이들은 경제적 사실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없이도 추상적인 추론을 통해 일반적인 이론 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

케인스는 정치경제의 가설적인 법칙을 "구체적인 산업적 사실"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데 적용하는 것에 대해 썼다. 그는 과학으로서의 정치경제와 예술로서의 정치경제 사이의 개념적 구분을 제안했다.[8] 그는 "정치경제의 예술" 대신 "응용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용도를 언급했다.[8]

1. (정치경제의 예술과 관련하여) 텍스트에서 제안된 의미

2. 실제적인 문제 해결과 반드시 관련 없이, 특정한 경제 현상을 해석하고 설명하기 위해 경제 이론을 적용

3. 모든 경제적 추론에 스며든다고 여겨지는 추상적인 이론보다 더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경제 교리의 부분을 구분

레옹 발라스는 자신의 주요 저서를 "순수", "응용", "사회" 경제학으로 나누어 구성할 계획을 세웠다. 그는 순수 경제학은 순수 논리를 포함하며, 응용 경제학은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순수 경제학의 논리가 현실 세계와 관련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요구한다고 보았다.[9]

빌프레도 파레토는 "순수 경제학"과 "응용 경제학"을 구별하며, 순수 경제학은 논증의 주요 내용을, 응용 경제학은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제안했다.[10]

요제프 슘페터는 응용 경제학의 정의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강조하며, 경제학의 일부로 여겨지지만 세부 사항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분야(통화 및 은행, 무역, 경기 순환, 지역 등), 경제학과 독립적이지만 경제학에 필요한 연구 분야(회계, 보험 수리, 보험 등), 공공 정책 분야 등을 언급했다.[11]

3. 현대적 관점

현대 경제학에서는 추상적인 경제 이론의 집합인 "핵심"이 존재하며, 응용경제학은 실무자가 특정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이 핵심의 추상성을 일부 낮추는 과정을 포함한다는 견해가 있다.[4] 이러한 추상화 수준의 감소는 변수를 더 구체적이고 구체적인 개념으로 바꾸거나, 보다 상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일부 구조를 제공하거나, 일부 매개변수에 대한 수치 추정을 생산하거나, 핵심 이론을 사용하여 검토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부류의 사건의 예로 해석되는 현실 세계 현상을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페사란과 하코트(2000)는 스톤이 경제학을 과학으로 만들기 위해 이론과 측정을 통합적인 틀 안에서 결합하려는 시도를 설명한다.[12] 이들은 케임브리지 응용경제학과 설립에 대한 스톤의 제안을 보고한다.[12] 스톤은 Applied Economics and Public Policy|응용경제학과 공공 정책|영어에서 응용경제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실 세계의 경제 문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복지를 증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관찰 작업(데이터의 발견 및 준비), 이론적 평가 작업(계량적 검증에 적합한 형태로 가설을 구성하는 것), 경제 정보의 특수한 문제에 적합한 통계적 방법의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12]

하지만, 경쟁적인 접근 방식은 건전한 이론이 적용 분야와 구체적인 연관 없이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주장에 기반을 두고 있다. 19세기 역사학파와 20세기 제도주의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주장했다. 미첼 (1936)은 "특수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마셜과 제본스가 상정한 종류의 질적 이론에 거의 쓸모가 없다고 언급했다. 미첼은 "실제 시장"에 대한 지식이 경제 이론의 내용과 양상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제안했다.[13] 프리드먼은 이론적 개념이 실제 세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생할 수 있거나 오히려 발생해야 한다는 이 견해에 동의했다. 미첼과 프리드먼 모두에게 경제학은 데이터를 검토하고 가설을 세우는 상호 작용을 포함해야 한다.[13]

엘리 데본스는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 종류의 "것"을 이론적 모델, 상식적인 공리, 이론적 개념으로 구별했다.[14]

Applied Economics영어는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의 특정 문제에 대한 경제 분석의 적용"으로 해당 분야를 해석하고 "실제 분야에서 유용한 정량적 연구"를 게재하여 "경제 이론을 현실에 더 가깝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학술지이다.[15] 경제학 및 실용적인 응용 분야의 주요 피어 리뷰 학술지이기도 하다.[15]

이 분기별 저널은 2009년에 출판을 시작했으며, 미국 경제 협회(American Economic Association)에서 발행한다. 노동 경제학, 개발 미시 경제학, 건강, 교육 경제학, 인구 경제학, 실증적 기업 금융, 무역에 대한 실증 연구, 그리고 실증 행동 경제학과 같은 응용 경제학, 특히 실증적 미시 경제학 문제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다.[16]

농업 및 응용 경제학 협회(Agricultural & Applied Economics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저널들도 있다.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영어는 1919년부터 발행되었으며, "전 세계의 농업 및 식품 경제학, 천연 자원 및 환경, 농촌 및 지역 사회 개발" 분야의 연구를 게재한다.[17]

응용경제학 관점과 정책(AEPP)은 응용 경제학 및 정책 분야의 주요 동료 심사 저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연 4회 발행되며, 미국 농업 및 응용 경제학회(AAEA)에서 발행하는 두 개의 저널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미국 농업 경제 저널(AJAE)이다. 현재 '응용 경제학' 분야의 선도적인 저널로서 2011년 임팩트 팩터는 1.552이다. AEPP의 목적은 현재 응용 경제학 연구 분야를 분석하여 정책 입안자와 의사 결정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미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공공 정책의 영향을 그 분야의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농업 및 응용 경제학의 세부 분야 간의 연관성을 생성하는 것이다.

3. 1. 주류 경제학적 관점

현대 주류 경제학은 추상적인 경제 이론의 집합체인 "핵심"이 존재하며, 응용경제학은 실무자가 특정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이 핵심의 추상성을 일부 낮추는 과정을 포함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상화 수준의 감소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4]

  • 변수를 더 구체적이고 구체적인 개념으로 재라벨링
  • 보다 상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일부 구조 제공
  • 일부 매개변수에 대한 수치 추정 생산
  • 핵심 이론을 사용하여 검토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부류의 사건의 예로 해석되는 현실 세계 현상을 분석하는 데 사용

3. 2. 경제학을 과학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

페사란과 하코트(2000)는 스톤이 경제학을 과학으로 만들기 위해 이론과 측정을 통합적인 틀 안에서 결합하려는 시도를 설명한다.[12] 이들은 케임브리지 응용경제학과 설립에 대한 스톤의 제안을 보고한다.[12] 스톤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Applied Economics and Public Policy|응용경제학과 공공 정책|영어에서 응용경제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실 세계의 경제 문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복지를 증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현재 고립적으로 추구되는 세 가지 유형의 연구를 통합함으로써 가장 잘 달성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즉, 관찰 작업(데이터의 발견 및 준비), 이론적 평가 작업(계량적 검증에 적합한 형태로 가설을 구성하는 것), 경제 정보의 특수한 문제에 적합한 통계적 방법의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현실 세계의 문제에 대한 이러한 체계적인 통합 시도가 특별한 접근 방식이 될 것이라고 했다.[12]

3. 3. 비주류 경제학적 관점

경쟁적인 접근 방식의 기반은 건전한 이론이 적용 분야와 구체적인 연관 없이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부인에 있는 경향이 있다. 19세기 역사학파와 20세기 제도주의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주장했다. 미첼 (1936)은 "특수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마셜과 제본스가 상정한 종류의 질적 이론에 거의 쓸모가 없다고 언급했다. 미첼은 "실제 시장"에 대한 지식이 경제 이론의 내용과 양상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제안했다(Mitchell 1937, 26–28).[13] 프리드먼은 이론적 개념이 실제 세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생할 수 있거나 오히려 발생해야 한다는 이 견해에 동의했다. 미첼과 프리드먼 모두에게 경제학은 데이터를 검토하고 가설을 세우는 상호 작용을 포함해야 한다.[13]

또 다른 문제는 맥클로스키 비판과 관련이 있다. 이는 경제학자들이 반드시 자신이 설교하는 대로 실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응용 경제학자"라는 주장은 실제 경제를 살펴본다는 것을 의미하는 약칭일 뿐이다. 적용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정의된 "경제 이론"일 필요는 없고, 오히려 그보다 더 기본적인 것일 수 있다. 엘리 데본스는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 종류의 "것"을 다음과 같이 구별했다:[14]

  • 이론적 모델
  • 상식적인 공리
  • 이론적 개념

3. 4. 응용경제학 저널

Applied Economics영어는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의 특정 문제에 대한 경제 분석의 적용"으로 해당 분야를 해석하고 "실제 분야에서 유용한 정량적 연구"를 게재하여 "경제 이론을 현실에 더 가깝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학술지이다.[15] 경제학 및 실용적인 응용 분야의 주요 피어 리뷰 학술지이기도 하다.[15]

이 분기별 저널은 2009년에 출판을 시작했으며, 미국 경제 협회(American Economic Association)에서 발행한다. 노동 경제학, 개발 미시 경제학, 건강, 교육 경제학, 인구 경제학, 실증적 기업 금융, 무역에 대한 실증 연구, 그리고 실증 행동 경제학과 같은 응용 경제학, 특히 실증적 미시 경제학 문제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다.[16]

농업 및 응용 경제학 협회(Agricultural & Applied Economics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저널들도 있다.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영어는 1919년부터 발행되었으며, "전 세계의 농업 및 식품 경제학, 천연 자원 및 환경, 농촌 및 지역 사회 개발" 분야의 연구를 게재한다.[17]

응용경제학 관점과 정책(AEPP)은 응용 경제학 및 정책 분야의 주요 동료 심사 저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연 4회 발행되며, 미국 농업 및 응용 경제학회(AAEA)에서 발행하는 두 개의 저널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미국 농업 경제 저널(AJAE)이다. 현재 '응용 경제학' 분야의 선도적인 저널로서 2011년 임팩트 팩터는 1.552이다. AEPP의 목적은 현재 응용 경제학 연구 분야를 분석하여 정책 입안자와 의사 결정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미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공공 정책의 영향을 그 분야의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농업 및 응용 경제학의 세부 분야 간의 연관성을 생성하는 것이다.

4. 비판 및 논쟁

백하우스(Backhouse)와 비들(Biddle)은 주류 경제학의 "이론적 핵심"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 대해, 경제학계 내에서도 핵심 구성 요소, 핵심 연구와 응용 연구의 경계,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4]

(하위 섹션의 내용과 겹치지 않는 내용 없음)

4. 1. 주류 경제학에 대한 비판

백하우스(Backhouse)와 비들(Biddle)은 주류 경제학의 "이론적 핵심"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 대해, 경제학계 내에서도 핵심 구성 요소, 핵심 연구와 응용 연구의 경계,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4]

응용 경제학의 문제점에 대한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거시 경제학''':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거시 경제학이 학문의 핵심이었지만, 케인즈식 접근 방식이 새로운 고전적 거시 경제학으로 대체되면서, 현재는 주류 경제학에서 미시 경제학 이론의 응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4]

  • '''개발 경제학''':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의 개발 경제학자들은 표준 "핵심" 미시 경제학 이론을 자신들의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여겼고,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을 대안으로 삼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발 경제학 교재들이 주류 핵심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4]

  • '''경제 성장 이론''': 코밍(Comim)은 경제 성장의 역사를 통해 응용 경제학 개념의 역사적 본질을 설명한다. 그는 경제학자들이 경제 이론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응용 경제학 및 제도적 환경의 역할과 관련된 별개의 관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19]

  • '''최저 임금 논쟁''': 레너드는 최저 임금 논쟁이 경제적으로는 특별히 중요하지 않지만, 경제학, 특히 정책 과학으로서의 경제학에는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 논쟁이 신고전적 가격 이론을 임금 및 고용에 적용하는 것이 유용한지에 대한 시험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

  • '''계량 경제학의 지배에 대한 비판''': 스완(Swann, 2006)은 응용 경제학 내에서 계량 경제학적 기법의 지배에 의문을 제기하며, 시뮬레이션, 공학 경제, 사례 연구, 상식과 같은 다른 응용 기법들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4. 2. 응용 분야별 문제점

백하우스(Backhouse)와 비들(Biddle)은 주류 경제학적 관점, 즉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핵심"이 존재한다는 관점이 이 핵심이 광범위한 범위와 개별 적용과 독립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제학계 내에서도 핵심에 무엇이 속하는지, 핵심에 기여하는 연구와 핵심을 적용하는 연구 사이의 경계를 어디에 그을 것인지, 핵심 주제에 대한 연구와 응용 경제학 연구의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의미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4]

다양한 분야와 문제에서 응용 경제학의 문제점에 대한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거시 경제학: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거시 경제학은 학문의 핵심 부분이었다. 그 이유는 모든 경제학자의 훈련의 일부가 될 만큼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미시 경제학 이론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일련의 개념과 원리를 구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인즈식 거시 경제학적 접근 방식이 새로운 고전적 거시 경제학과 그 후계자들로 대체되면서, 이제는 주류에 의해 단순히 미시 경제학 이론의 적용으로 간주될 수 있다.[4]

  • 개발 경제학: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의 개발 경제학자들은 표준 "핵심" 미시 경제학 이론을 자신들의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여겼다. 대안적인 모델 집합이 그들의 핵심을 제공했으며, 이는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최근 개발 경제학 교재들은 주류 핵심 이론의 적용을 제공해 왔다.[4]

  • 경제 성장 이론: 코밍(Comim)은 응용 경제학 개념의 역사적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 성장의 역사를 활용한다. 그는 경제학자들이 경제 이론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이해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이견들을 강조하며, 이러한 이견들은 응용 경제학 및 제도적 환경의 역할과 관련된 별개의 관행의 영향을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19]

  • 최저 임금 논쟁: 레너드는 최저 임금 논쟁이 경제적으로는 특별히 중요하지 않았지만, 정책 과학으로서의 경제학에는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격렬했다고 지적한다. 그 이유는 최저 임금 연구가 신고전적 가격 이론을 임금 및 고용에 적용하는 것이 유용한지에 대한 시험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즉, 이는 임금 탄력성의 부호와 크기와 같은 기술적인 논쟁일 뿐만 아니라 신고전적 가격 이론이 실제로 유용한지에 대한 방법론적 논쟁의 일부였다.[20]

  • 계량 경제학의 지배에 대한 비판: 스완(Swann, 2006)은 응용 경제학 내에서 계량 경제학적 기법의 지배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른 응용 기법(시뮬레이션, 공학 경제, 사례 연구, 상식 등) 또한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제안한다.

4. 3. 계량 경제학 지배에 대한 비판

백하우스(Backhouse)와 비들(Biddle)은 주류 경제학의 "이론적 핵심"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 대해, 경제학계 내에서도 핵심 구성 요소, 핵심 연구와 응용 연구의 경계, 핵심 주제와 응용 경제학 연구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4]

스완(Swann, 2006)은 응용 경제학 내에서 계량 경제학적 기법의 지배적인 위치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계량 경제학의 특권적 지위가 실망스러운 결과로 이어졌으며, 시뮬레이션, 공학 경제, 사례 연구, 상식과 같은 다른 응용 기법들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5. 한국의 응용경제학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응용경제학' 문서의 '한국의 응용경제학'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둡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http://www.aeaweb.or[...]
[2] 웹사이트 Applied Economics - Overview, Components, Importance https://corporatefin[...] 2020-11-13
[3] 서적 Putting Econometrics in Its Place: A New Direction in Applied Economics Edward Elgar 2006
[4] 웹사이트 The concept of applied economics: a history of ambiguity and multiple meanings https://read.dukeupr[...] 2000
[5] 논문 Retrospectives: The Lost Art of Economics 1992
[6] 서적 Essays on Some Unsettled Questions of Political Economy Longmans, Green and Co. 1877
[7] 간행물 An Introductory Lecture on Political Economy Routledge/Thoemmes Press 1828
[8] 서적 The Scope and Method of Political Economy Macmillan 1917
[9] 서적 William Jaffé's Essays on Walr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0] 서적 Manual of Political Economy Kelley 1971
[11]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12] 논문 The life and work of John Richard Nicholas Stone 1913–1991 2000
[13] 서적 The Backward Art of Spending Money McGraw-Hill 1937
[14] 간행물 Applied Economics: The Application of What? Routledge & Kegan Paul 1961
[15] 웹사이트 Applied Economics Aims & Scope http://www.tandf.co.[...]
[16] 웹사이트 American Economic Journal: Applied Economics http://www.aeaweb.or[...]
[17] 웹사이트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AJAE) | Agricultural & Applied Economics Association http://www.aaea.org/[...]
[18] 웹사이트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AEPP) | Agricultural & Applied Economics Association http://www.aaea.org/[...]
[19] 논문 On the Concept of Applied Economics: Lessons from Cambridge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Growth Theories 2000
[20] 논문 The Very Idea of Applying Economics: The Modern Minimum-Wage Controversy and Its Antecedent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