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스튜어트 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스튜어트 밀은 1806년 런던에서 태어난 스코틀랜드 출신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이다. 그는 아버지 제임스 밀의 엄격한 조기 교육을 통해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익히고, 다양한 학문을 섭렵했다. 21세에 정신적 위기를 겪었으나,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와 해리엇 테일러와의 교류를 통해 극복했다. 밀은 공리주의를 수정, 발전시켜 질적 공리주의를 제시하고,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는 《자유론》을 저술했다. 또한,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한 《여성의 종속》, 대의 민주주의를 논한 《대의정부론》, 고전파 경제학을 계승한 《정치경제학 원리》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사상을 펼쳤다. 그는 동인도 회사에서 근무하며 식민지 행정을 지지하는 등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스튜어트 밀 - 밀의 방법
    밀의 방법은 존 스튜어트 밀이 제시한 인과 관계 추론 방법으로, 일치법, 차이법, 일치 차이 병용법, 잉여법, 공변법을 통해 다양한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특정 현상의 원인을 찾는다.
  • 존 스튜어트 밀 - 위해원칙
    위해원칙은 개인의 자유로운 행위를 보장하되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는 자유주의 정치의 기본 원칙으로, 개인의 자기 파괴적 행위일지라도 타인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없다면 국가나 사회의 간섭을 부정하며,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에 나타나 현대 자유주의 사상의 중요한 기반이 되지만 해악의 범위와 국가 개입의 정당성 등 비판적 논의가 있다.
  • 여성주의 경제학자 - 비어트리스 웹
    비어트리스 웹은 영국의 사회 개혁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페이비언 협회에서 활동하며 사회 연구와 정책 참여에 헌신했고,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빈곤법 개혁을 위한 보고서를 저술했다.
  • 여성주의 경제학자 - 디어드리 매클로스키
    디어드리 매클로스키는 경제학 및 수사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영국 경제사, 계량경제사, 경제학의 수사학 등을 연구하고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는 미국의 학자로서, 《부르주아 시대》 삼부작과 성전환 경험을 담은 자서전 《Crossing: A Memoir》으로 알려져 있다.
  • 영국의 사회자유주의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사회자유주의자 - 토머스 힐 그린
    토머스 힐 그린은 칸트와 헤겔의 영향을 받아 인격주의 사상을 발전시키고 자유를 자기 실현으로 정의한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 사상가로, 영국 관념론의 주요 인물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도덕철학 교수로 활동했다.
존 스튜어트 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73년 [[조지 프레데릭 와츠]]가 그린 초상화
1873년 조지 프레데릭 와츠가 그린 초상화
이름존 스튜어트 밀
출생일1806년 5월 20일
출생지잉글랜드, 미들섹스, 펜턴빌
사망일1873년 5월 7일
사망지프랑스, 보클뤼즈, 아비뇽
국적영국
정당자유당
배우자해리엇 테일러 밀(1851년 4월 21일 결혼, 1858년 11월 3일 사별)
아버지제임스 밀
어머니해리엇 배로
출신 학교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서명
정치 경력
의회영국 의회
선거구시티 오브 웨스트민스터
임기 시작1865년 7월 25일
임기 종료1868년 11월 17일
동료 의원로버트 그로스베너
이전 의원드 레이시 에번스
다음 의원윌리엄 헨리 스미스
철학적 정보
시대19세기 철학
고전 경제학
지역서양 철학
학파/전통경험주의
결과주의
자유주의
심리주의
공리주의
주요 관심사경제학
윤리학
논리학
정치
주요 사상공공/사적 영역
사회적 자유
공리주의에서의 쾌락의 위계
규칙 공리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초기 자유주의 페미니즘
해악 원칙
밀의 방법
직접 지칭 이론
밀의 고유명 이론
창발주의
영향 받은 사상가애플턴
벤담
칼라일
콩트
푸리에

오언
리카도
생시몽
스미스
테일러
테일러 밀
영향을 준 사상가윌리엄 제임스
로버트 노직
존 롤스
버트런드 러셀
아이제이아 벌린
칼 포퍼
로널드 드워킨
허버트 하트
피터 싱어
빌헬름 딜타이
로저 크리스프
존 메이너드 케인스
밀턴 프리드먼
폴 파이어아벤트
존 그레이
나이절 패러지
폴 크루그먼
노먼 핀켈스타인
크리스토퍼 히친스
아야안 히르시 알리
윌 킴리카
경제학
영향애플턴
벤담
칼라일
콩트
푸리에

오언
리카도
생시몽
스미스
테일러
테일러 밀

2. 생애

존 스튜어트 밀


존 스튜어트 밀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역사가, 경제학자인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런던 펜톤빌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제러미 벤담과 프랜시스 플레이스의 도움을 받아 매우 엄격하고 체계적인 조기 교육을 받았다.[7] 어린 시절부터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역사, 논리학, 정치경제학 등 광범위한 분야를 섭렵했으며, 특히 아버지의 친구였던 데이비드 리카도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열네 살 때 프랑스에서 1년간 머물며 몽펠리에 과학대학에서 강의를 듣고, 파리에서는 장바티스트 세, 앙리 드 생시몽 등 여러 지식인과 교류했다. 이 경험은 그의 지적 성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스무 살 무렵 깊은 정신적 위기를 겪었으나,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 등을 통해 감정의 중요성을 깨닫고 극복했다.[12] 이 경험은 그의 사상 변화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토마스 칼라일[14], 오귀스트 콩트[15] 등 당대의 주요 사상가들과 교류하며 지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칼라일의 『프랑스 혁명』 원고 첫 권이 밀의 집에서 사고로 소실되었던 일화가 있으며,[13] 콩트의 실증주의는 밀이 벤담주의의 한계를 넘어 인간과 사회에 대한 보다 복합적인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15]

밀은 잉글랜드 교회의 39개조 신조를 받아들이지 않는 비국교도였기 때문에 옥스퍼드 대학교나 캠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하지 않았다.[16] 대신 아버지를 따라 1823년부터 1858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근무하며,[19] 회사와 토후국 간의 관계를 담당하는 정치 부서 등에서 일했고, 인도 서신 심사관까지 승진했다. 그는 인도와 같은 지역이 문명 발전이 정체되었다고 보아, 개선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자애로운 전제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2] 1858년 인도 통치법으로 영국 왕실이 인도를 직접 통치하게 되자, 그는 회사 통치를 옹호하는 입장을 밝혔으며 새로운 행정 시스템에 대한 반감으로 인도 평의회 의석 제안을 거절했다.[23]

1851년, 21년간의 깊은 우정을 나눈 해리엇 테일러와 결혼했다.[24] 해리엇은 밀의 사상, 특히 자유론여성의 권리 옹호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밀은 그녀를 지적으로 매우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결혼 생활은 7년 만인 1858년 해리엇이 아비뇽에서 폐울혈로 사망하면서 끝났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총장을 역임했으며,[25] 같은 기간 자유당 소속으로 웨스트민스터 선거구의 의회 의원(MP)으로 활동했다.[26][27] 의회에서는 아일랜드 문제 해결, 여성 참정권 부여 (1866년 의회 최초 주장), 노동조합 및 협동조합 지원 등 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 또한 1868년에는 중범죄 살인과 같은 극악 범죄에 대한 사형제 유지를 주장하기도 했다.[28]

밀은 1856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 명예 회원,[18] 1867년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0] 그는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대부이기도 했다.[31] 종교적으로는 불가지론자이자 회의론자였으며,[32][33][34][35] 식물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관련 표본을 수집하기도 했다.[36][37][38][39]

밀은 1873년 5월 7일, 프랑스 아비뇽에서 단독(丹毒, erysipelas)으로 사망했으며,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해리엇 곁에 묻혔다. 그의 생애와 사상 편력은 사후 출간된 『자서전』(1873)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존 스튜어트 밀은 1806년 영국 런던의 펜톤빌(Pentonville)에서 태어났다.[114] 그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제임스 밀의 6남매 중 장남이었다. 밀의 교육은 주로 아버지 제임스 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때때로 공리주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과 프란시스 플레이스(Francis Place)의 도움을 받았다.[114] 제임스 밀은 아들 존을 매우 엄격하게 교육했으며, 다른 아이들과의 교류를 차단하여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했다. 벤담을 지지하고 결합주의에 찬성한 아버지 밀은 자신과 벤담 사후에 공리주의를 계승할 후계자로서 천재적인 지식인을 키우고자 하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114]

밀은 매우 조숙하여 세 살 때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기 시작했다.[115] 여덟 살이 되기 전에 그는 이솝의 《우화들》,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Anabasis), 헤로도토스의 《역사》 전권을 그리스어로 읽었으며, 루키아노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이소크라테스, 그리고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중 여섯 편을 원전으로 접했다.[115] 또한 많은 양의 영어 역사책을 읽고 산수를 익혔다.

여덟 살부터는 라틴어, 유클리드 기하학, 대수학을 배우기 시작했고, 동시에 동생들의 가정교사 역할도 맡았다. 그는 여전히 역사서를 주로 읽었지만, 당시 학교와 대학에서 널리 읽히던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 타키투스, 호메로스, 디오니소스, 소포클레스, 유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투키디데스 등 라틴어와 그리스어 고전 작품들을 모두 섭렵했다. 열 살 무렵에는 플라톤이나 데모스테네스의 원전을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아버지는 시 공부와 작문도 중요하게 여겨, 밀은 《일리아스》의 뒷이야기를 이어 쓰는 시를 습작하기도 했다. 남는 시간에는 자연과학 서적과 《돈키호테》, 《로빈슨 크루소》 같은 소설도 읽었다.

1818년, 아버지 제임스 밀이 《영국령 인도의 역사》를 출판할 무렵, 열두 살이 된 존 스튜어트 밀은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을 깊이 공부하는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논리학 저서들을 원전으로 읽었다. 이듬해에는 정치경제학 공부를 시작하여, 아버지의 도움을 받으며 애덤 스미스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을 연구했다. 이를 통해 자본, 노동, 토지를 생산의 삼요소로 보는 고전파 경제학의 관점을 확립하게 되었다. 아버지 밀은 산책 시간을 이용해 아들에게 정치경제학을 가르쳤고, 아들은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아버지에게 제출했는데, 이 원고는 훗날 아버지 밀이 출판한 『정치경제학 요론』의 기초가 되었다. 리카도는 아버지의 가까운 친구로서 어린 밀을 자주 집으로 초대해 함께 산책하며 정치경제학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밀은 아버지의 교육 방식에 대해, 사상가를 양성하기 위한 뛰어난 방법이었지만 자신에게는 힘든 과정이었다고 회고했다. 아버지는 밀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했으며, 어려움을 충분히 느낀 후에야 설명을 제공했다. 밀은 이러한 교육 덕분에 논리학과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독자적인 사상가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때로는 아버지와 다른 견해를 가지거나 아버지를 설득하기도 했다고 술회했다. 이는 아버지의 솔직함과 교육 방법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열네 살 때 밀은 제러미 벤담의 동생인 새뮤얼 벤담의 가족과 함께 프랑스에서 일 년을 보냈다. 그는 프랑스 산악 지방의 풍경과 프랑스 사람들의 활기차고 친근한 생활 방식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몽펠리에의 과학대학(Faculté des Sciences|파퀼테 데 시앙스프랑스어)에서 화학, 동물학, 논리학 강의를 들었고, 개인 교습으로 고등 수학을 배웠다. 파리에서는 아버지의 친구인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세의 집에서 머물며 자유당 지도자들과 앙리 드 생시몽 같은 저명인사들을 만났다.

알렉산더 베인이 쓴 밀의 전기에 따르면, 밀이 8세에서 13세 사이에 이룬 학문적 성취는 그가 『자서전』(1873년 출간)에 기록한 것 이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밀의 『자서전』은 그의 정신적, 사상적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2. 2. 정신적 위기와 극복

밀은 스물한 살에 신경쇠약으로 인한 심각한 정신적 위기를 겪었다. 그는 『자서전』 제5장에서 이 위기의 원인을, 보통 아이처럼 자랐다면 자연히 발달하기 마련인 여러 감정들을 억누르고 오로지 공부에만 매달리면서 몸과 마음 모두에서 엄청난 끈기를 발휘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우울증 상태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그는 마르몽텔의 『어느 아버지의 회상』과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를 통해 큰 위안을 얻었으며, 점차 정서적 능력을 회복했다. 밀 자신은 이 회복 과정을 "구름이 점차로 걷혔다"고 표현했다. 당시 낭만주의 사조에 대한 이해도 그의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또 다른 계기는 1830년에 만난 해리엇 테일러(1807년–1858년)와의 만남이었다. 당시 해리엇은 이미 결혼한 상태였으나, 밀 자신의 증언에 따르면 이 시기 밀과 해리엇은 순수한 교제를 유지했다. 이는 엄격한 도덕관념이 지배하던 빅토리아 시대에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관계였다. 해리엇은 1833년 남편과 별거하여 딸 헬렌 테일러와 함께 지냈고, 밀과 더욱 깊은 교류를 나누며 그의 사상과 저술 활동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해리엇의 남편 존 테일러가 1849년에 사망하자, 2년 후인 1851년에 밀과 해리엇은 결혼했다. 그러나 이들의 결혼 생활은 1858년 해리엇이 프랑스 아비뇽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7년 만에 끝나게 되었다. 해리엇 사후에는 딸 헬렌 테일러가 밀의 버팀목이 되어 그의 학문적 활동을 도왔다.

2. 3. 해리엇 테일러와의 관계

1830년, 24세의 은 23세의 해리엇 테일러를 만났다. 당시 해리엇은 결혼한 상태였기에, 두 사람은 그녀의 첫 남편이 사망하기 전까지 21년 동안 깊은 정신적 교감을 나누었다.

해리엇은 명석한 여성이었으며, 친구이자 아내로서 밀의 사상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마치 조선 후기의 강정일당 부부가 서로를 학자로서 존중했던 것처럼, 밀과 해리엇 역시 서로의 지성을 깊이 존중했다. 밀은 해리엇과의 교류를 통해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는 입장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그의 대표작인 『자유론』(1859) 서문에는 이 책이 해리엇의 영향 아래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음이 명시되어 있으며, 『여성의 종속』(1869)에서도 그녀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해리엇의 첫 남편 존 테일러가 사망하고 2년 뒤인 1851년, 밀과 해리엇은 마침내 결혼했다. 그러나 결혼 생활은 길지 않았다. 결혼한 지 7년 만인 1858년, 밀이 동인도회사에서 퇴직한 후 함께 프랑스 여행을 하던 중 해리엇은 아비뇽에서 폐충혈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밀은 해리엇을 아비뇽에 묻고, 그 근처에 작은 집을 마련하여 여생의 안식처로 삼으며 깊은 상실감 속에서 남은 삶을 보냈다.

2. 4. 영국 동인도 회사 근무와 의정 활동

1823년 밀은 옥스퍼드 대학이나 케임브리지 대학 진학을 거부했다. 당시 대학에 입학하려면 국교회인 잉글랜드 성공회 신자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119] 대신 그는 아버지를 따라 영국 동인도 회사에 들어가 1858년까지 35년 동안 근무하며 연구와 저술 활동을 병행했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는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의 학무위원장(Rector)으로 선임되었고, 같은 기간 동안 런던 웨스트민스터 선거구에서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했다. 하원에서 그는 주로 자유당과 연계하여 활동하며, 아일랜드의 부담 완화, 여성의 권리 신장, 비례대표제 도입, 노동조합 결성 지지, 농지의 협동조합식 개편 등 다양한 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특히 1869년에는 의회 내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대의정부론』(1861)에서는 이미 비례대표제, 선호투표제, 참정권 확대 등 의회 및 투표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2. 5. 사망

1873년 프랑스 아비뇽에서 사망했다.[44] 그의 유해는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해리엇 테일러 밀 곁에 묻혔다. 그의 『자서전』은 사망한 해인 1873년에 출간되었으며, 사후인 1874년에는 『종교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가 출간되었다.

3. 사상 및 업적

존 스튜어트 밀은 아버지 제임스 밀제러미 벤담의 영향 아래 엄격한 공리주의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그는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사상 전반에는 공리주의적 윤리관이 깊이 자리 잡고 있다.

밀의 지적 여정에서 중요한 인물은 21년간의 교제 끝에 1851년 결혼한 해리엇 테일러였다. 명석했던 해리엇은 밀의 사상, 특히 여성의 권리에 대한 그의 입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유론』과 『여성의 예속』과 같은 저작에 반영되었다.[116]

해리엇 테일러


밀의 주요 사상과 업적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 논리학: 1843년 발표된 『논리학 체계』는 프랜시스 베이컨 이후 귀납법 논리를 체계화하고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경험적 관찰과 검증을 중시하며 윌리엄 휴얼 등과 논쟁을 벌였다.[40]
  • 공리주의: 『공리주의』(1863)에서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를 넘어 쾌락의 질적 차이를 강조하는 입장을 제시했다. 그는 정신적·도덕적 쾌락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보았다.
  • 자유주의: 『자유론』(1859)은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통제의 한계를 다룬 자유주의 사상의 고전이다. 그는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위해원칙을 주장했으며, 특히 표현의 자유를 강력하게 옹호했다.[43]
    존 스튜어트 밀과 헬렌 테일러. 헬렌은 해리엇 테일러의 딸이었고, 어머니가 1858년 사망한 후 15년 동안 밀과 협력했다.
  • 여성 권리: 『여성의 예속』(1869)을 통해 성평등을 강력히 주장하며, 여성이 겪는 사회적·법적 제약이 인류 발전의 장애물이라고 비판했다.[65][75] 그는 영국 하원 의원 시절 여성 참정권을 최초로 주장하기도 했다.[76]
  • 경제학: 『정치경제학 원리』(1848)는 데이비드 리카도 이후 고전파 경제학을 집대성한 교과서로 평가받는다.[94] 그는 자유방임주의를 지지하면서도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재분배와 점진적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생산 법칙과 달리 분배 법칙은 사회적으로 변경 가능하다고 보았다.[105][106]
    ''경제와 사회에 관한 에세이'', 1967
  • 대의 민주주의: 『대의정부론』(1861)에서 비례대표제, 보통선거 확대, 시민의 정치 참여 등을 주장하며 이상적인 대의 민주주의 모델을 제시했다.[98]


한편, 밀은 동인도 회사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며[57] 식민지 행정에 관여했는데, "미개한 민족"에 대해서는 문명국과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며 소위 "자애로운 전제정치"를 옹호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58][59] 그는 인도의 회사 통치를 지지하면서도 일부 정책에는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다.[62]

밀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쳐, 휘그당 및 패비안 협회로 이어지는 영국 사회민주주의 흐름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현대 자유주의여성주의, 공리주의 윤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3. 1. 공리주의

밀의 공리주의 사상은 그의 아버지 제임스 밀제러미 벤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그의 저서 『공리주의』(1863)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밀은 공리주의의 기본 원리를 "행위가 행복을 증진시키는 정도에 비례하여 옳고, 불행을 산출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그르다"고 정의했다. 여기서 행복은 "의도된 쾌락과 고통의 부재"를 의미하며, 불행은 "고통과 쾌락의 박탈"을 의미한다.[77]

존 스튜어트 밀. 그는 "공리주의의 교리는 행복이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바람직하며, 유일하게 바람직한 것이라는 것이며, 다른 모든 것은 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공리주의'', 1863)


밀은 벤담의 '최대 행복 원리',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공유했지만, 쾌락의 문제를 단순히 양적으로만 파악한 벤담의 견해를 비판하며 질적인 차이를 도입했다. 그는 정신적이고 도덕적인 쾌락(고차적 쾌락)이 육체적이고 감각적인 쾌락(저차적 쾌락)보다 본질적으로 더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어떤 쾌락이 더 가치 있는지는 두 가지 쾌락을 모두 경험해 본 사람들의 선호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82] 이러한 질적 공리주의는 밀의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로 표현되어 있다.

> 만족한 돼지보다 불만족스러운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낫고, 만족한 어리석은 자보다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낫다. 만약 어리석은 자나 돼지가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그들이 문제의 한쪽 면만 알기 때문이다.[78]

이는 쾌락의 양이 같다면 어떤 종류의 쾌락이든 동일하다고 본 벤담의 입장("쾌락의 양이 같다면, 핀을 밀어 넣는 것(push-pin)이 시(poetry)와 같다"[84]는 주장으로 대표됨)과는 명확한 대조를 이룬다. 밀에게 행복은 "인간 행동의 유일한 목적"[28]이자 "우리의 유일한 궁극적인 목표"[81]였으며, (virtue)과 같은 가치들도 처음에는 행복을 위한 수단이었을지라도 결국에는 행복 그 자체의 일부로서 추구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밀은 공리주의가 개인의 행복 추구를 넘어 사회 전체의 행복 증진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간에게 타인의 행복에 공감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쳤을 때 죄책감을 느끼는 '강력한 공리주의적 양심'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 전체의 행복이 증진될 수 있다고 믿었다.[81]

그의 저서 『공리주의』는 공리주의의 정의, 기본 원리, 증명 가능성, 그리고 정의와의 관계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밀은 정의가 공리주의 실현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보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더 큰 사회적 공리를 위해 일반적인 정의의 원칙이 유보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즉, "정의는 다른 어떤 도덕적 원리에도 양보해야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 정의로운 것은 그 다른 원리 때문에 특정한 경우에는 정의롭지 않다."고 보았다.

밀의 질적 공리주의는 인간을 끊임없이 발전하는 "진보적인 존재"로 간주하며, 개인의 지적·도덕적 능력 개발과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그의 자유주의 사상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자유론』에서 강조된 개인의 자유는 단순히 저급한 쾌락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신적·도덕적 발전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행복을 성취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제시된다. 밀의 공리주의는 단순한 쾌락의 총합 계산을 넘어 개인의 발전과 사회 전체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3. 2. 자유론

밀의 『자유론』(1859)은 자유주의 정치 이론, 또는 정치적 자유주의를 대표하는 고전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책은 사회가 개인에 대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의 본질과 한계를 탐구하며, 자유의 개념을 주제로 저술된 가장 중요하고 대중적인 문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밀은 민주적인 사회가 자유 원칙을 따를 때만이 정치적, 사회적 제도가 시민들의 영속적인 이익을 실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밀은 『자유론』에서 사회가 개인의 자유를 간섭할 수 있는 유일한 정당한 목적은 자기 보호, 즉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원칙(harm principle영어)이라고 부른다. 그는 "어떤 문명화된 공동체 구성원에 대해서도 그의 의지에 반하여 권력을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목적은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막는 것이다. 그의 자신의 이익, 육체적이든 도덕적이든, 그것은 충분한 정당성이 될 수 없다"고 명시했다.[43] 즉, 단순히 당사자에게 더 좋거나, 더 행복하게 만들 것이라는 이유, 혹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그것이 현명하거나 옳다는 이유만으로는 개인의 행동을 강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밀은 이러한 자유 원칙을 해석할 때, 타인의 선이나 인간 완성의 이상, 단순한 혐오감이나 선호에 기반한 이유는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정당한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밀은 예방 가능한 "해악"에는 직접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물에 빠진 아이를 구하지 않거나, 세금을 내지 않거나, 법정 증인으로 출두하지 않는 것도 규제될 수 있는 해로운 누락 행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폭력이나 사기 없이, 관련된 개인이 위험을 감수하는 데 동의했다면 해를 끼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개인이 스스로를 노예로 파는 것과 같은 행위는 사회가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한계를 설정했다. 무엇이 자신에게만 관련된 행위이고, 무엇이 타인에게 해를 끼쳐 규제 대상이 되는 행위인지에 대한 구분은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밀은 단순히 불쾌감을 준다는 이유나 사회의 관습 및 도덕에 어긋난다는 이유만으로 개인의 행위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44]

특히 표현의 자유에 대해 밀은 다음과 같은 핵심 원칙을 제시했다.

# 틀렸거나 해롭다는 이유로 의견 표명을 막아서는 안 된다.

# 표현의 자유를 일부라도 제한하면 결국 모든 표현의 자유가 제한될 위험이 있다.

# 표현의 자유가 무제한 허용되어야 사회는 진보할 수 있다.

# 표현하는 내용 자체에는 제한이 없어야 하지만, 표현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필요할 수 있다.

밀은 표현의 자유가 사회 진보로 이어진다고 믿었는데, 이는 공론의 장이 가진 정화 능력을 신뢰했기 때문이다. 어떤 의견이 실제로 틀렸거나 해롭다면,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자연스럽게 밝혀져 도태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정부 전복 계획이나 살인을 정당화하는 이론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표현했다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박해나 정치적 탄압을 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정부 전복이 진정 필요하다면 전복해야 하고, 살인이 진정 정당하다면 용인되어야 한다는 논리였다. 다만, 의견을 공표하는 방식은 대중 연설이나 저술 등이어야 하며, 타인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굶주림에 시달려 흥분한 군중 앞에서 특정 곡물 도매상을 지목하며 "여러분이 굶주리는 것은 저런 자들의 착취 때문"이라고 외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표현 방식이다. 이는 위해원칙에 따른 제한이다. 20세기 초 미국 연방대법원의 올리버 웬델 홈즈 판사는 이를 바탕으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clear and present danger영어)이라는 기준을 세웠다. 이는 어두운 극장에서 장난으로 "불이야!"를 외쳐 공황 상태를 유발하고 사람들을 다치게 할 정도의 명백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 표현을 제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반대로, 듣는 사람이 스스로 판단하여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어떤 의견이나 이론도 표현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밀의 핵심 주장이었다.

밀은 "자유와 권위 사이의 투쟁"을 역사의 중요한 특징으로 보았다.[45] 고대의 자유는 주로 "신민과 정부 간의 다툼"이었으며,[45] 사회적 자유는 "정치 지배자의 폭정"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이러한 보호를 위해 특정 정치적 자유나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를 인정받고, 헌법적 제약을 마련하는 두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밀은 정부 권력 제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그는 사회 자체가 잘못된 명령을 내리거나 간섭해서는 안 되는 일에 간섭함으로써 "다수의 폭정"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압제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왜냐하면 사회적 폭정은 법적 처벌만큼 극단적이지 않더라도 삶의 세세한 부분까지 침투하여 개인의 정신 자체를 노예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46]

밀의 자유에 대한 견해는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조사이어 워런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개인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원하는 대로 할 자유가 있으며, 자신의 안녕에 관한 결정을 내릴 만큼 합리적이라고 보았다. 정부의 개입은 오직 사회 보호를 위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몸과 마음에 대해서는 개인주권자"라고 선언하며 개인의 절대적인 독립성을 강조했다.[43]

밀의 사상은 개인의 발전에 자유가 필수적이라는 전제 위에 서 있다. 그는 우리의 정신적, 도덕적 능력은 근육과 같아서 사용하지 않으면 쇠퇴한다고 보았다. 정부나 여론이 개인의 행동을 끊임없이 지시한다면, 개인은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잃게 된다. 따라서 진정으로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개인이 스스로 자유롭게 생각하고 말할 수 있는 상태, 즉 자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밀의 공리주의는 창시자인 제러미 벤담과 차이를 보인다. 벤담이 쾌락의 양적인 측면을 중시한 반면, 밀은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고 정신적인 쾌락을 더 높게 평가했다. 이는 그의 유명한 말에 잘 나타나 있다.

: ... it is better to be a human being dissatisfied than a pig satisfied;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And if the fool, or the pig, are of a different opinion, it is because they only know their own side of the question.

:
「만족한 돼지인 것보다 불만족스러운 인간인 것이 더 낫다. 만족한 어리석은 자인 것보다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인 것이 더 낫다. 그리고 어리석은 자나 돼지의 의견이 이와 다르다 해도, 그것은 그들이 이 문제를 자신의 입장에서만 보고 있기 때문이다」 (『공리주의』 제2장)

밀의 "해악의 원리"는 현대 리버테리언 사상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리버테리언들은 일반적으로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행위는 합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여기에는 매춘이나 특정 마약 사용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밀은 『자유론』에서 빌헬름 폰 훔볼트의 사상("국가 활동의 한계를 결정하기 위한 시론")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정부가 어느 정도까지 국민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지, 개인은 어느 정도의 객관적 증거에 기반한 주의 의무를 통해 정부의 간섭 없이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했다. 예를 들어 독극물에 대한 주의사항 표기를 정부가 강제해야 하는지, 아니면 개인이 스스로 주의해야 하는지의 문제를 통해 국민의 능력 문제까지 다루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술이나 담배의 경고 문구, 관련 세금 부과 등의 논의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정부의 역할 범위에 대한 논의는 야경 국가론, 경제적 자유만을 강조하는 리버테리언적 관점, 혹은 복지 국가론 등 다양한 정치 철학적 입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

또한 밀은 『자유론』에서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 철학이 개인에 대한 사회의 전제정치를 도덕적 수단을 통해 확립하려 한다고 비판하며,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신의 입장과 대비시켰다.

: M. Comte, in particular, whose social system, as unfolded in his Système de Politique Positive, aims at establishing (though by moral more than by legal appliances) a despotism of society over the individual, surpassing anything contemplated in the political ideal of the most rigid disciplinarian among the ancient philosophers.

:
특히 콩트는 『실증주의 정치 시스템(Système de Politique Positive)』에서 서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개인에 대한 사회의 전제를 (법적 수단에 의한 것보다 오히려 도덕에 의해)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것은 고대의 사상가 중에서도 가장 규율을 중시하는 자의 정치적 이상이 서술한 내용을 더욱 뛰어넘는 것이었다. (『자유론』)

아이작 베를린은 밀의 자유 개념을 분석하면서, 『자유론』의 논의가 주로 소극적 자유(장애, 방해, 강제의 부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행위할 수 있는 능력이나 자원, 기회 등 적극적 자유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117]

밀의 『자유론』은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자유지리(自由之理)』라는 제목으로 나카무라 마사나오에 의해 번역되어, 오쿠마 시게노부가 이끌던 입헌개진당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영국을 비롯한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일본 등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밀의 주장은 표현의 자유를 시민 기본권으로 포괄적으로 인정하는 기본적인 정치 원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자유론』은 영어 산문의 고전으로서 영어권 대학에서 정치학뿐만 아니라 영문학 교재로도 널리 읽히고 있다.

3. 3. 여성의 종속

밀은 여성의 권리를 강력하게 옹호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자유당 소속 하원의원으로 활동하던 시기(1865-1868)부터 여성의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했으며, 1869년에는 영국 의회 역사상 최초로 여성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6] 이러한 그의 사상에는 여성 인권 철학자였던 아내 해리엇 테일러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밀 자신도 사별 후 첫 저서인 『자유론』 서두에서 이를 언급했다.[116]

"여성 철학자". 레슬리 워드(Leslie Ward, Spy)가 1873년 ''베니티 페어''에 발표한 풍자화.


밀은 역사적으로 "전체 여성"과 "남성의 대다수"가 사실상 "노예" 상태에 놓여 있었다고 보았다. 그는 성별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한 성의 다른 성에 대한 법적 종속"은 그 자체로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류 발전의 주요 장애물이라고 비판하며, 이를 완벽한 평등의 원칙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여기서 그가 사용한 '노예'라는 표현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보다는 당시 여성의 종속적인 상태를 강조하기 위한 수사적인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급진적인 주장으로 인해 밀은 1820년대 미국 페미니스트 존 닐에게 영향을 받은 최초의 남성 성평등 옹호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2]

그의 여성 인권 사상을 집대성한 저서는 1861년에 집필하여 1869년에 출판된 『'''여성의 예속'''』이다. 이 책은 남성 지식인이 본격적으로 여성 문제를 다룬 선구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73] 밀은 이 책에서 남성과 여성의 완전한 평등을 주장하며[74], 여성이 겪는 억압이 고대로부터 이어져 온 잘못된 유습이자 인류 진보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편견의 집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65][75]

밀은 『여성의 예속』에서 여성이 종속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다음 세 가지 측면을 지적하고 변화를 촉구했다.

# 사회와 젠더 구성: 사회적으로 여성에게 강요되는 성 역할과 기대가 여성의 자유로운 발전을 저해한다고 보았다.

# 교육: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받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며, 보편적 교육을 통해 여성이 지적 능력을 개발하고 "산업적, 사회적 독립"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이 여성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었다.

# 결혼: 당시 결혼 제도 하에서 여성이 남편에게 법적, 경제적으로 종속되는 불평등한 관계를 비판하고, 부부간의 평등한 동반자 관계를 옹호했다.

밀은 자신의 신념을 정치 활동을 통해서도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1867년 개혁 법안 심의 과정에서 투표권자의 자격을 규정하는 단어를 '남성(man)'에서 '사람(person)'으로 바꾸자는 수정안을 제출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6]

3. 4. 대의정부론

밀은 1861년에 주요 저서 중 하나인 『대의정부론』(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eng)을 출간했다.[98] 이 책에서 그는 시민들의 광범위한 정치 참여와 통치자들의 계몽된 능력이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인 대의 민주주의를 제시하고자 했다.[98]

『대의정부론』에서 밀은 의회투표 제도의 개혁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는 소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단순 다수결의 한계를 지적하며, 비례대표제선호투표제 도입을 주장했다. 또한 보통선거권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시민이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는 밀이 하원 의원 시절(1865-1868) 여성 참정권을 의회에서 최초로 주장하고, 비례대표제 도입 등 각종 사회 개혁을 추진했던 활동과도 맥을 같이 한다.

밀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대의 정부의 중요한 원리로 보았다. 그는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스스로의 능력을 개발하고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다고 믿었다. 특히 지방자치와 같은 낮은 수준의 정치 참여 기회를 통해 대중의 정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다고 보았다.[100] 이를 위해 노동 계급을 포함한 모든 시민에게 공교육을 확대하여 정치적 판단 능력을 기르고, 정보에 입각한 선거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2][103] 밀에게 교육은 개인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고, 대의 민주주의 사회의 완전한 참여자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였다.

다만 밀의 사상에는 상반된 측면도 존재한다. 그는 시민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강조하면서도, 통치자들의 계몽된 능력을 중시했다. 이 두 가치의 충돌 때문에 일부 독자들은 그를 엘리트주의적 민주주의자로[99], 다른 독자들은 참여 민주주의자로[100] 해석하기도 한다. 한때 교육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투표권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다중 투표 제도를 옹호하기도 했으나(나중에 이 견해를 철회함), 전반적으로는 시민 참여와 자유로운 토론을 통한 민주주의 발전을 강조했다.

3. 5. 정치경제학 원리



밀의 경제 사상은 그의 대표 저서인 『정치경제학 원리』(1848년)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책은 데이비드 리카도 이후 고전파 경제학의 주요 성과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학 원리』(1890년)가 나오기 전까지 약 반세기 동안 영미권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학 교과서 중 하나였다.[94] 밀은 이 책에서 애덤 스미스와 리카도로 대표되는 고전파 경제학의 기본 틀을 따르면서도, 당대 영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빈부 격차와 같은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했다.

밀의 경제학은 초기에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하는 입장이었으나, 점차 사회 개혁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로버트 오웬과 같은 유토피아 사회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부인 해리엇 테일러 밀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주의적 관점을 심화시켰다.[92] 밀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후기 사상이 "궁극적인 개선에 대한 이상...은 나를 사회주의자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분명하게 분류할 것"이라고 술회하기도 했다.[92] 이러한 변화는 『정치경제학 원리』의 개정판에도 반영되어, 사회주의적 대의를 옹호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89] 그는 당대의 만연한 빈곤을 개인의 실패 탓으로 돌리는 시각을 비판하며, 이는 "''pro tanto'' 사회적 배열의 실패"라고 지적했다.[93]

밀 경제 사상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생산의 법칙분배의 법칙을 구분한 것이다. 그는 생산 과정은 기술이나 자연 조건과 같은 자연 법칙에 의해 결정되지만, 생산된 부를 분배하는 방식은 인간의 제도와 사회적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다.[105][106] 즉, 생산 법칙은 바꾸기 어렵지만, 분배 법칙은 사회 제도의 개선을 통해 충분히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가 정부의 적극적인 재분배 역할을 통해 사회 불평등을 완화하고 점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되었다.

밀은 부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기회의 평등을 증진하기 위해 정부가 다음과 같은 조세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7]

밀이 제안한 조세 정책
종류내용목적
공정하게 평가된 소득세소득 수준에 따라 공정하게 부과되는 세금기본적인 재정 확보 및 소득 재분배
상속세 강화상속받는 재산에 높은 세율 적용상속으로 인한 부의 세습과 불평등 심화 방지, 기회균등 증진
사치품세필수적이지 않은 사치품 소비에 부과하는 세금불필요한 소비 억제 및 재원 확보



특히 밀은 상속이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상속세를 강화하여 모든 사회 구성원이 좀 더 평등한 출발선에 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07] 초기에는 누진세에 대해 "더 열심히 일하고 더 많이 저축하는 사람들을 처벌하는" "온건한 형태의 강탈"이라며 비판적이었으나[88], 나중에는 상속이나 불로소득과 같은 "획득하지 않은" 소득과 노동을 통해 얻은 "획득한" 소득을 구분하여 과세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입장을 수정했다.[91]

더 나아가 밀은 임금 노동 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하며, 노동자들이 기업의 소유와 경영에 참여하는 노동자 협동조합적 임금 제도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89] 이는 자본가와 노동자 간의 대립을 극복하고 좀 더 민주적이고 평등한 경제 시스템을 만들려는 구상이었다.

밀은 리카도가 비관적으로 보았던 정체상태에 대해서도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프랑스의 사상가 생시몽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이 멈춘 정체상태가 반드시 암울한 것이 아니라, 인류가 물질적 부의 축적 경쟁에서 벗어나 정신적 가치와 인간성 함양에 더 집중하는 바람직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더 이상의 경제성장을 필요로 하는 국가들은 기아에 허덕이는 후진국들뿐이다. 선진 공업국들이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은 경제성장이 아니라 합리적 분배와 건전한 사회기풍(ethos)이다."라고 주장하며, 양적 성장보다는 분배 정의와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밀의 경제 사상은 고전파 경제학의 틀 안에서 당대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현실적인 고민을 담고 있으며, 자유방임주의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주의적 요소를 수용하여 점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사상은 이후 패비안 협회를 비롯한 영국의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으며, 오늘날에도 아마르티아 센과 같은 평등주의적 경제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가 가질 수 있는 임의적인 분배나 표현의 자유 억압과 같은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서도 경고하는 등, 비판적인 시각 또한 견지했다.

3. 6. 논리학 체계

1843년 발표된 밀의 주요 저서 『논리학 체계』는 프랜시스 베이컨이 제시한 귀납법 논리를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자연과학 연구에서 정확한 지식을 얻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밀은 당시 활발했던 과학적 방법론 논쟁에 참여했다. 이 논쟁은 존 허셜이 1830년에 발표한 저술 A Preliminary Discourse on the Study of Natural Philosophyeng에서 시작되었다. 허셜은 알려진 사실로부터 알려지지 않은 사실로 나아가는 귀납적 추론을 통해 구체적인 사실에서 일반 법칙을 발견하고 이러한 법칙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편, 윌리엄 휴얼은 1837년 History of the Inductive Sciences, from the Earliest to the Present Timeeng과 1840년 The 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s, Founded Upon their Historyeng에서 귀납을 인간의 마음이 사실에 특정 개념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는 과학 법칙이 경험적 검증 없이도 파악될 수 있는 자명한 진리라고 주장했다.

밀은 1843년 『논리학 체계』(원제: A System of Logic, Ratiocinative and Inductive, Being a Connected View of the Principles of Evidence, and the Methods of Scientific Investigationeng)에서 휴얼의 주장에 반박했다. 그는 허셜과 유사하게 과학 법칙은 관찰과 귀납을 통해 발견되며, 반드시 경험적인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밀은 '밀의 방법'이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귀납적 추론 규칙(일치법, 차이법, 일치차이 병용법, 잉여법, 공변법)을 제시하여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했다.[40]

일부 학자들은 고대 인도의 불교 논리학자 디그나가의 분석 방식이 밀이 제시한 '일치 차이 병용법'(Joint Method of Agreement and Differenceeng)과 유사하며 귀납적 성격을 띤다고 지적한다. 밀이 동인도 회사 근무 시절 인도 논리학 전통을 접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41][42]

인식론 측면에서 밀은 윌리엄 해밀턴 경으로 대표되는 스코틀랜드 상식 학파에 반대하며, 외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결국 감각 경험에 근거한다고 보았다. 즉, 외부 대상은 '감각 가능성의 영속적인 가능성'(permanent possibility of sensationeng)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밀은 사회과학에서도 실증주의적 방법론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는 오귀스트 콩트의 영향을 받아, 귀납을 통해 발견된 경험 법칙을 다시 현상 예측에 적용하여 법칙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역연역법'(inverse deductive methodeng) 또는 역사적 방법을 제시했다.

4. 한국에 미친 영향

밀은 역사적으로 여성이 처한 상황을 "노예" 상태에 비유하며, 이러한 성별 간 법적 종속 관계가 그 자체로 잘못되었을 뿐 아니라 인류 발전의 주요 장애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종속이 완벽한 평등의 원칙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65][75] 밀은 이러한 맥락에서 "노예"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이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라기보다는 수사적인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밀은 1825년에서 1827년경 런던 체류 중 미국 페미니스트 존 닐에게 영향을 받아 성평등을 옹호한 초기의 남성 인물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72] 그의 저서 ''여성의 예속''(1861년 집필, 1869년 출판)은 남성 저자가 여성의 종속 문제를 다룬 선구적인 저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73] ''여성의 예속''에서 밀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완전한 평등을 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74] 그는 여성을 억압하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와 젠더 구성, 제한된 교육, 그리고 결혼 제도의 불평등을 지적하며, 여성에 대한 억압이 과거 시대의 잔재이자 인류 진보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편견이라고 비판했다.[65][75]

밀은 국가가 지원하는 보편적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여성과 같은 소외 집단이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이 여성에게 "산업적, 사회적 독립"을 부여하여 남성과 동등한 활동과 시민권을 누릴 기회를 제공하고 자율성을 키울 수 있다고 보았다.

국회의원으로서 밀은 1867년 개혁법 개정안을 통해 선거권 자격을 규정하는 단어를 '남성(man)'에서 '사람(person)'으로 바꾸려고 시도했으나, 이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6]

5. 비판

밀은 에드워드 기번 웨이크필드의 식민지화 협회 회원이었다.[55] 그는 자신의 저서 『정치경제학 원리』(1848)에서 웨이크필드의 "식민지화에 관한 중요한 저술"을 칭찬하며 식민주의에 대한 지지를 보였다.[56]

1823년부터 1858년까지 동인도 회사 직원으로 근무한[57] 밀은 해외 식민지 행정에 대해 "자애로운 전제정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58] 그는 문명 국가와 소위 '야만적인 민족' 사이에는 동일한 국제 관습이나 도덕 규칙이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야만적인 민족'에 대한 행위를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는 것 자체를 문제 삼았다.[59] 이러한 시각은 당시 서구 사회에 만연했던 오리엔탈리즘과 인종주의적 편견을 반영하는 것으로 비판받는다.

특히 인도에 대해, 밀은 영국에게는 "백인의 짐"이며, 영국의 식민 통치가 인도인들에게 "말할 수 없이 큰 축복"이라고 주장했다.[60] 그는 정착민 식민주의 역시 지지했다.[61] 인도의 회사 통치를 전반적으로 옹호했지만, 일부 특정 정책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62]

밀은 또한 호주와 같은 다른 지역의 식민지 건설에도 관여했다. 1833년 호주 식민지 건설을 위해 설립된 남호주 협회(South Australian Association)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63]

한편, 칼 마르크스는 그의 저서 『그룬트리스』에서 밀의 사상이 자본의 범주를 초역사적인 것으로 고정시킨다고 비판했다.[95]

6. 저서 목록


  • 1822: "가치 측정에 관한 두 편의 서한"
  • 1823: "인구 문제"
  • 1824: "전쟁 지출"
  • 1825: "정치 경제에 관한 분기별 논평"
  • 1830: "마티노의 이야기에 대한 논평"
  • 1831: "시대의 정신"
  • 1832: "정치 용어의 사용과 남용"
  • 1833, 1859: "시란 무엇인가"
  • 1835: "대의제의 이론적 근거"
  • 1835: "미국의 민주주의에 관한 드 토크빌"
  • 1836: "미국의 사회 상태"
  • 1836: "문명"
  • 1838: "벤담에 관한 에세이"
  • 1840: "콜리지에 관한 에세이"
  • 1840: "정부에 관한 에세이"
  • 1840: "미국의 민주주의에 관한 드 토크빌"
  • 1843: 논리학 체계
  • 1844: 정치 경제의 미해결 문제에 관한 에세이
  • 1845: "노동의 주장"
  • 1848: 정치경제학 원리
  • 1850: "흑인 문제"
  • 1854: "공무원 개혁"
  • 1859: 논문과 논의
  • 1859: 비간섭에 관한 몇 마디
  • 1859: 자유론
  • 1859: 의회 개혁에 대한 생각
  • 1861: 대의정부론
  • 1862: "중앙 집권화"
  • 1862: "미국의 경쟁"
  • 1863: 공리주의
  • 1865: 윌리엄 해밀턴 경의 철학 검토
  • 1865: 오귀스트 콩트와 실증주의
  • 1867: 세인트 앤드루스 취임 연설: 문화의 가치에 관하여
  • 1868: "사형제도 찬성 연설"
  • 1868: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 1869: "노동과 그 주장에 관한 손튼"
  • 1869: 여성의 종속
  • 1870: 아일랜드 토지 문제에 관한 장과 연설
  • 1873: 자서전
  • 1874: 종교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자연, 종교의 유용성, 유신론
  • 1879: 사회주의
  • 1945: "N. W. 시니어의 정치 경제에 관한 주석"

참조

[1] 서적 Stuart Mill Bloud & Cie
[2]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11-14
[3]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s On Liberty http://www.victorian[...] victorianweb 2009-07-23
[4]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9-07-31
[5] 웹사이트 Orator Hunt and the first suffrage petition 1832 https://www.parliame[...]
[6]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and the 1866 petition https://www.parliame[...]
[7] 서적 The Growth of Philosophic Radicalism Beacon Press
[8]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Library Making of America Collection http://collections.l[...]
[9] 서적 An Austrian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https://archive.org/[...] Ludwig von Mises Institute 2011-01-21
[10] 웹사이트 Ensor, George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https://www.dib.ie/b[...] 2023-02-17
[11]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John Stuart Mill, Volume XXVI - Journals and Debating Speeches, Part I [1820] https://oll-resource[...] Routledge and Kegan Paul
[12]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s Mental Breakdown, Victorian Unconversions, and Romantic Poetry http://www.victorian[...]
[13] 학술지 TC TO JAMES FRASER 1835-01-10
[14] 서적 The Carlyle Encyclopedia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Auguste Comte: An Intellectu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John Stuart Mill: A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Library Making of America Collection http://collections.l[...]
[1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M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5
[19] 서적 Writings on Indi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London: Routledge
[20] 학술지 Violence and Epistemology: J. S. Mill's Indians after the 'Mutiny' 2016-03
[21] 서적 Boundaries of the International: Law and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John Stuart Mill: Servant of the East India Company 1964
[23] 학술지 'John Stuart Mill and India', a review-article 1998
[24] 서적 The Voice of Harriet Taylor Mill
[25] 위키소스 Inaugural Address at St Andrews wikisource:Inaugural[...] Longmans, Green, Reader and Dyer
[26] 런던 가제트 1865-07-14
[27] 서적 John Stuart Mill: A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Utilitarianism and the 1868 Speech on Capital Punishment Hackett Publishing Co.
[29] 서적 Report of meeting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r effective voting (1894)
[3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1
[31] 뉴스 More Adept With Concepts Than People https://www.nytimes.[...] 2022-03-19
[32] 학술지 Editorial Notes https://books.google[...] 1885-03-28
[33] 서적 John Stuart Mill and the Religion of Humanit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34] 서적 John Stuart Mill: A Secular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A surprisingly religious John Stuart Mill https://blog.oup.com[...] 2018-12-07
[36] 웹사이트 Other Callings: Philosophers https://herbariumwor[...] Wordpress 2020-10-12
[37] 서적 In the Herbarium: The Hidden World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Plants Yale University Press 2023
[38] 학술지 The philosopher's flowers: John Stuart Mill as botanist 1988
[39]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Specimens collected https://bionomia.net[...]
[40] 서적 In Darwin's Shadow: The Life and Science of Alfred Russel Wallace: A Biographical Study on the Psychology of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08-15
[41] 서적 Knowing from Words: Western and Indian Philosophical Analysis of Understanding and Testimon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94
[42] 학술지 Nyāya critique of the Buddhist doctrine of non-soul 1989-03
[43] 간행물 On Liberty https://hdl.handle.n[...] Longmans, Green, Reader and Dyer 1869
[44] 간행물 On Liberty https://socialscienc[...] Batoche Books 2001
[45] 웹사이트 I. Introductory. Mill, John Stuart. 1869. On Liberty https://www.bartleby[...]
[46] 서적 On Liberty Penguin Classics 2006
[47] 서적 On Liberty https://archive.org/[...] PF Collier & Son 1909
[48] 서적 On Liberty Penguin 1985
[49] 서적 Freedom of Spe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0] 서적 On Liberty Ticknor and Fields 1863
[51] 판례 Schenck v. United States 1919
[52] 서적 John Stuart Mill's On Liberty: A Translation into Modern English 2013
[53] 뉴스 British Press Freedom under Threat New York Times 2013-11-14
[54] 서적 Defending Liberty: The Case for a New Bill of Rights 2019
[55] 서적 Liberty Abroad: J. S. Mill on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6]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Vol. 2) D. Appleton and Company 1896
[57] 웹사이트 J. S. Mill's Career at the East India Company http://www.victorian[...]
[58] 학술지 Liberalism's Limits: Carlyle and Mill on 'The Negro Question'
[59] 서적 Dissertations and Discussions: Political,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New York 1874
[60] 학술지 Legislator of the World? A Rereading of Bentham on Colonies 2003-04
[61] 서적 Reason of State: Law, Prerogative and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2] 학술지 John Stuart Mill and the practice of colonial rule in India https://qmro.qmul.ac[...] 2021-10
[63] 서적 J.S. Mill on Civilization and Barbarism Routledge 2004
[64] 간행물 The Negro Question https://hdl.handle.n[...] 1850
[65] 간행물 The Subjection of Women http://www.constitut[...] 1869
[66] 웹사이트 The Collected Works of John Stuart Mill, Volume XV – The Later Letters of John Stuart Mill 1849–1873 Part II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s://oll.libertyf[...]
[67] 서적 Great American Judge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
[68] 학술지 John Stuart Mill, Thomas Carlyle, and the U.S. Civil War 1991-09-01
[69] 웹사이트 Blood for Liberty https://www.wilsonqu[...] 2008
[70]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on Slavery, the Confederacy, and the American Civil War https://volokh.com/2[...] 2013-07-17
[71] 웹사이트 The Contest In America https://www.battlefi[...] 2024-01-25
[72] 서적 A Down-East Yankee From the District of Maine https://catalog.hath[...] A.J. Huston
[73] 웹사이트 About John Stuart Mill, a Male Feminist and Philosopher https://www.thoughtc[...] 2019-02-10
[74] 간행물 John Stuart Mill: Critical Assessments
[75] 서적 The Subjection of Women Blackwell Publishing
[7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Ethics 2015-09-01
[77] 서적 The Basic Writings of John Stuart Mill The Modern Library 2002
[78] 웹사이트 Utilitarianism by John Stuart Mill http://www.gutenberg[...] 2004-02-01
[79] 학술지 Foundations for Ethical Standards and Codes: The Role of Moral Philosophy and Theory in Ethics 2004-04-01
[80] 서적 Introduction Barnes & Noble Library of Essential Reading
[81]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1806–1873) http://www.iep.utm.e[...]
[82] 서적 Utilitarianism Doubleday 1961
[8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tilitarianism https://plato.stanfo[...] 2009-03-27
[84] 학술지 Poetry, Pushpin, and Utility
[85] 웹사이트 Autobiography, by John Stuart Mill https://www.gutenber[...] 2021-03-11
[86] 웹사이트 AUTO Chapter 5, John Stuart Mill, Autobiography https://www.laits.ut[...] 2021-03-11
[87] 웹사이트 Ifaw.org http://www.ifaw.org/[...]
[88] 웹사이트 IREF | Pour la liberte economique et la concurrence fiscale http://www.irefeurop[...]
[89] 서적 Utilitarianism and Other Essay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90]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Political Economy https://plato.stanfo[...] 2009-05-04
[91]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92] 웹사이트 Was John Stuart Mill a Socialist? https://jacobinmag.c[...] 2021-06-01
[93] 웹사이트 Socialism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21-06-01
[94]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Theory and Method Waveland Press
[95] 웹사이트 Grundrisse https://www.marxists[...]
[96]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with some of their Applications to Social Philosophy
[97]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On Liberty
[98] 서적 John Stuart Mill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99] 서적 The Pursuit of Certain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서적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서적 J. S. Mill's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학술지 Mill, Socialism and the English Romantics: An Interpretation. 1985
[103] 학술지 John Stuart Mill, Socialism, and His Liberal Utopia: An Application of His View of Social Institutions 2000
[104] 학술지 John Stuart Mill on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Higher Education 2023-08-01
[105]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D. Appleton and Company 1885
[106] 저널 John Stuart Mill's Theories of Wealth and Income Distribution 2001-12-01
[107] 저널 The New Political Economy of J. S. Mill: Means to Social Justice 1976-05-01
[108] 웹사이트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Book 4, Chapter VI http://www.efm.bris.[...] 2008-03-09
[109] 저널 The Early History of Modern Ecological Economics 2004-10-01
[110]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http://eet.pixel-onl[...] 2016-11-01
[111] 웹사이트 Hansard report of Commons Sitting: Capital Punishment Within Prisons Bill https://api.parliame[...] 2009-06-30
[112] 뉴스 His speech against the abolition of capital punishment was commented upon in an editorial in ''The Times'' The Times 1868-04-22
[113] 웹사이트 https://www.telegrap[...]
[114] 서적 The Growth of Philosophic Radicalism Beacon Press
[115] 서적 Autobiography https://www.gutenber[...] The Project Gutenberg
[116] 저널 Dedication https://pressbooks.l[...] Tronto Metropolitan University 2023-07-18
[117] 일반
[118] 저널 The Counter-Revolution of Science http://jstor.org/sta[...] Economica, Vol. 8, No. 31
[119] 서적 John Stuart Mill: A Biography Cambri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