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건 피어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건 피어슨(Egon Sharpe Pearson, 1895–1980)은 영국의 통계학자이다. 그는 유명한 통계학자 칼 피어슨의 아들로, 윈체스터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통계학 교수를 역임했다. 네이만과 함께 가설 검정 및 신뢰 구간 이론을 연구했으며,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개발에 기여했다. 또한 왕립 통계학회 회장과 가이 메달을 수상했으며, 왕립 학회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는 《통계적 추론을 위한 특정 테스트 기준의 사용 및 해석에 관하여》, 《통계적 가설의 가장 효율적인 테스트 문제에 관하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통계학자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통계학자 - 토머스 베이즈
    토머스 베이즈는 18세기 영국의 수학자이자 장로교 목사로서, 사후 발표된 논문에서 베이즈 정리를 소개하여 확률론과 통계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잉글랜드의 통계학자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통계학자 - 토머스 베이즈
    토머스 베이즈는 18세기 영국의 수학자이자 장로교 목사로서, 사후 발표된 논문에서 베이즈 정리를 소개하여 확률론과 통계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수리통계학자 - 리하르트 폰 미제스
    리하르트 폰 미제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응용 수학자로서 유체역학, 항공역학, 통계학 분야에 기여했고, 변형 에너지 이론을 개발했으며, 확률론 연구와 도박 시스템의 불가능성을 정의했다.
  • 수리통계학자 - 해럴드 호텔링
    해럴드 호텔링은 수리 경제학과 계량 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로, 통계 분야의 다양한 개념을 정립하고 공간 경제학, 자원 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이건 피어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이건 샤프 피어슨
출생일1895년 8월 11일
출생지런던 햄프스티드
사망일1980년 6월 12일
사망지웨스트서식스주 미드허스트()
학문
분야통계학
근무 기관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지도 학생조지 박스
주요 업적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수상
수상 내역왕립 학회 회원 (1966)
가족
아버지칼 피어슨
배우자도로시 에일린 졸리, 마가렛 테오도시아 스콧
자녀주디스 피어슨, 사라 피어슨

2. 생애

이건 피어슨은 통계학칼 피어슨의 외아들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이후 아버지를 이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통계학과 교수가 되었고, 왕립 통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

1925년 네이만을 만나 가설 검정 이론을 공동 연구하기 시작했고, 고셋과도 논의했다.[5] 1931년에는 미국 벨 연구소의 슈하트를 만나 품질 관리 문제에도 힘썼다.[5]

1934년 아일린 졸리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나, 1949년 아일린은 폐렴으로 사망했다. 1967년 마가렛 테오도시아 스콧과 재혼했고, 1975년 마가렛이 사망할 때까지 케임브리지에서 함께 살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이건 피어슨은 1895년 8월 11일 런던 햄프스티드에서 태어났다. 외동아들이었으며, 아버지 칼 피어슨은 유명한 통계학자였다.[1]

1914년에 윈체스터 칼리지를 졸업한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영어)에서 천체물리학을 연구했다.[4] 그러나 이후 통계학에 관심을 돌려 1921년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아버지 연구실에 들어갔다.[5] 1933년 아버지가 퇴관한 후 에곤이 응용 통계학부 교수를, 로널드 피셔가 우생학부 교수를 이어받았다.[7]

2. 2. 학문적 경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영어)에서 수학했고, 이후 아버지를 이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통계학과 교수가 되었다. 1955년~1956년 동안에 왕립 통계학회(Royal Statistical Society영어) 회장을 맡았다.[4] 윈체스터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부친의 뒤를 이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통계학 교수로 재직했고, 학술지 ''바이오메트리카''의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통계적 가설 검정의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개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933년에 아버지가 퇴관한 후 에곤이 응용 통계학부 교수를, 로널드 피셔가 우생학부 교수를 이어받았다. 아버지의 논적이던 피셔 (에곤은 아버지와 달리 그의 연구를 존중했지만)는 이번에는 에곤을 공격했고, 논쟁은 피셔가 런던을 떠나는 1939년까지 계속되었다. 1935년 웰던 기념상을 수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연구에 종사했고 1961년까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를 역임했다. 만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도 연구했다. 네이만과 함께 연구한 가설 검정이나 신뢰 구간 이론은 현대 통계학의 중요한 기둥이 되었다.

1955년 가이 메달 금메달을 수상했다.[5] 1966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2. 3. 개인사

이건 피어슨은 1934년 아일린 졸리와 결혼하여 두 딸 주디스와 사라를 두었다. 아일린은 1949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피어슨은 그 후 1967년 마가렛 테오도시아 스콧과 결혼했고, 마가렛이 1975년 사망할 때까지 케임브리지에서 함께 살았다. 피어슨은 서식스 주 웨스트 라빙턴으로 이사하여 1980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3]

2. 4. 사망

1980년 6월 2일 웨스트서식스주 Midhurst|미드허스트영어에서 사망하였다. 웨스트 라빙턴에서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살았다.[3]

3. 주요 업적

이건 피어슨은 통계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들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예르지 네이만과 함께 쓴 ''통계적 추론을 위한 특정 테스트 기준의 사용 및 해석에 관하여''(1928년)와 ''통계적 가설의 가장 효율적인 테스트 문제에 관하여''(1933년)가 있다. 1929년에는 아버지 칼 피어슨의 강연을 주석한 ''17세기와 18세기의 통계학의 역사''를 출판했다.

1935년에는 ''산업 표준화 및 품질 관리에 통계적 방법의 적용''을 출판하여 벨 연구소의 슈하트와의 만남을 통해 산업적 품질 관리 분야에도 기여했다.[7] 1938년에는 아버지의 삶과 업적을 다룬 ''칼 피어슨: 그의 삶과 업적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평가''를 저술했다.

1966년에는 ''E. S. 피어슨의 선별된 논문''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고, 1969년에는 모리스 조지 켄들과 함께 ''통계 및 확률의 역사 연구''를 저술했다.

3. 1.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윈체스터 칼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은 피어슨은 부친의 뒤를 이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통계학 교수 및 학술지 ''바이오메트리카''의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통계적 가설 검정의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개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4] 1948년에는 계량경제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3. 2. 가설 검정 및 신뢰 구간 이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연구에 종사했고 1961년까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교수를 역임했다. 만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도 연구했다. 네이만과 함께 연구한 가설 검정이나 신뢰 구간 이론은 현대 통계학의 중요한 기둥이 되었다.

3. 3. 우도비 기준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의 공동 저자로, 특히 우도비 기준의 개발과 사용에서 통계적 추론 및 방법론 문제에 대한 많은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전 세계에 알려져 있다.[6]

4. 저서


  • 예르지 네이만과 공동 저술, ''통계적 추론을 위한 특정 테스트 기준의 사용 및 해석에 관하여'' (바이오메트리카, 1928년)
  • ''17세기와 18세기의 통계학의 역사'' (1929년). 칼 피어슨의 강연에 대한 주석이 달린 버전이다.
  • 예르지 네이만과 공동 저술, ''통계적 가설의 가장 효율적인 테스트 문제에 관하여'' (1933년)
  • ''산업 표준화 및 품질 관리에 통계적 방법의 적용'' (런던: 영국 표준 협회, 1935년)[7]
  • ''칼 피어슨: 그의 삶과 업적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평가'' (1938년)
  • ''E. S. 피어슨의 선별된 논문''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66년)
  • 모리스 조지 켄들과 공동 저술, ''통계 및 확률의 역사 연구'' (1969년)

4. 1.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35년웰던 기념상[4]
1946년CBE(대영 제국 훈장)[4]
1948년계량경제학회 회원[4]
1955년왕립 통계 학회 회장[5]
1955년가이 메달 금메달[5]
1966년왕립 학회 회원[6]


4. 2. 회원

1948년 계량경제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955년부터 1956년까지 왕립 통계 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5] 1955년 가이 메달 금메달을 수상했다. 1946년 CBE(대영 제국 훈장)를 받았다.

1966년 3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참조

[1] 간행물 Egon Sharpe Pearson. 11 August 1895-12 June 1980
[2] 문서 MathGenealogy
[3] 문서 MacTutor Biography
[4] 간행물 Election of Fellows, 1948 1949-01
[5] 웹사이트 Royal Statistical Society Presidents http://www.rss.org.u[...] Royal Statistical Society 2010-08-06
[6] 웹사이트 Lists of Royal Society Fellows 1660-2007 http://royalsociety.[...] The Royal Society 2011-05-01
[7] 간행물 "Review: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Methods to Industrial Standardisation and Quality Control'' by E. S. Pearson" https://www.ams.org/[...]
[8] 웹사이트 Egon Sharpe Pearson Papers https://archives.ucl[...] 2024-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