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곡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편년강목』, 『삼조실록』, 『가정집』 등의 편찬에 참여했다. 그는 사회의 부패상을 비판하는 '시사설'을 통해 여성 시장, 관리 시장, 사람 시장의 모습을 묘사하며, 원나라에 공녀 폐지를 요청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저서로는 《가정집》과 《죽부인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곡 - 서천 문헌서원
    서천 문헌서원은 고려 후기 학자 이곡과 이색을 기리기 위해 1594년에 건립되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69년에 재건되어 여섯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다.
  • 1298년 출생 - 이방실
    이방실은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 충목왕을 보좌하며 관직에 등용되었고 공민왕 때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웠으나, 정세운 암살 사건 연루와 권력 암투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298년 출생 - 공원왕후
    공원왕후 홍씨는 충숙왕의 비이자 충혜왕과 공민왕의 생모로, 덕비, 대비, 왕태후에 책봉되었고 공민왕의 개혁 정치에 관여했으며 사후 영릉에 안장되었다.
  • 원 간섭기 사람 - 조인규
    조인규는 고려 후기 몽골어 통역관 출신 문신으로, 뛰어난 외교적 능력으로 원나라와의 관계에서 고려의 이익을 옹호하고 왕실 외척으로서 권세를 누렸으나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과 정치적 부침도 겪었다.
  • 원 간섭기 사람 - 설공검
    설공검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중찬에 이르렀으며 청렴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충렬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이곡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곡
원어 이름李穀
한글이곡
한자李穀
로마자 표기I Gok
중보(仲父)
가정(稼亭)
시호문효(文孝)
군호한산군(韓山君)
국적고려
성별남성
출생일1298년 8월 25일
출생지고려 한산
사망일1351년 1월 28일
가문한산 이씨
아버지이자성(李自成)
자녀이색(李穡)
관직 정보
기타 정보
곡(穀)
이곡을 배향하고 있는 [[서천 문헌서원]]
이곡을 배향하고 있는 서천 문헌서원

2. 생애 및 활동

이곡은 『편년강목』, 『삼조실록』, 『가정집』 편찬에 참여했으며, 개성 연복사에 있는 몽고종 명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죽부인전에서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부인의 절개를 강조했다.

2. 1. 사회 비판

이곡은 '시사설(市場物語)'에서 세 가지 시장을 언급하며 사회를 비판했다.[4]

시장 이름내용
여성 시장(女肆)개경 시장터에서 여성들이 용모에 따라 가격이 매겨진 채 매춘을 하고 있었으며, 이를 공공연하게 흥정하며 부끄러워하는 기색도 없었다.
관리 시장(吏肆)관청에서 관리들이 뇌물을 거리낌 없이 받고 뻔뻔하게 업무를 처리했다.
사람 시장(人肆)가뭄이나 홍수로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을 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힘 있는 자는 도둑이 되고 약자는 방랑자가 되었다. 그럼에도 먹고살 수 없게 되자 부모가 자식을, 남편이 아내를, 주인이 하인을 파는 인신매매가 벌어졌고, 그 가격은 개·돼지보다 낮았음에도 관리들은 이를 모른 척했다.



이곡은 원나라에 바쳐지는 공녀 문제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원나라에 보내는 상소에서 "고려의 풍속은 아들을 따로 살게 해도 딸은 내보내지 않으니, 옛 진나라의 사위 양자와 비슷합니다. 딸이 부모를 부양하기 때문에 딸에게 애정을 쏟고 충분히 돌보며, 성장해서 자신들을 부양해주기를 밤낮으로 바랍니다"라며 공녀 폐지를 요청했다.[5] 또한, 공녀 후보가 되면 얼굴에 약을 발라 상처를 내기도 했다면서, "딸이 태어나면 비밀로 한 채 살고, 타인에게 알려질까 걱정하여 이웃에게도 딸을 보여주지 못합니다. 딸을 숨긴 사실이 발각되면 마을 전체가 해를 입게 되고, 친족을 묶어 조사하며 굴욕을 줍니다. 처녀를 뽑는 과정에서 뇌물이 오가는데, 돈이 있는 자는 빠져나가고, 돈이 없는 자는 끌려갑니다"라고 원나라 황제에게 상소했다.[1][2]

2. 2. 공녀 폐지 노력

이곡은 고려가 원나라에 공녀를 바치는 것에 대해, '고려 풍속은 아들이 커서 따로 살림을 차려도 딸은 내보내지 않으니, 이는 옛 진나라의 사위 양자와 비슷합니다. 딸이 부모를 봉양하기에 딸에게 애정을 쏟고 잘 보살펴, 성장하여 자신들을 부양해주기를 밤낮으로 바랍니다'라며 원나라에 공녀 폐지를 요청했다.[5]。 또한, 공녀 후보가 되면 얼굴에 약을 발라 상처를 내기도 했다며, '딸이 태어나면 비밀로 한 채 숨기고, 이웃에게도 딸을 보여주지 못합니다. 딸을 숨긴 사실이 발각되면 온 마을이 해를 입고, 친족을 묶어 조사하며 굴욕을 줍니다. 처녀를 뽑는 과정에서 뇌물이 오가는데, 돈이 있는 자는 빠져나가고, 돈이 없는 자는 끌려갑니다'라고 원나라 황제에게 상소했다.[1][2]

3. 저서



이곡은 편년강목, 삼조실록, 가정집 편찬에 참여했으며, 개성 연복사에 있는 몽고종 명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곡의 작품 죽부인전은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부인의 절개와 존엄함을 보여준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증조부이효진(李孝進)
조부이창세(李昌世)
아버지이자성(李自誠)
어머니울산 이씨(蔚山李氏)
이배(李培)
이축(李畜)
부인함창 김씨(咸昌金氏), 김택(金澤)의 딸
아들이색(李穡)
박보생(朴寶生)에게 출가
박상충(朴尙衷)에게 출가
나계종(羅繼從)에게 출가
정인량(鄭仁良)에게 출가


참조

[1] 뉴스 高麗・朝鮮王朝時代の「貢女」の実態とは(上) http://www.chosunonl[...] 2011-04-24
[2] 뉴스 高麗・朝鮮王朝時代の「貢女」の実態とは(下) http://www.chosunonl[...] 2011-04-24
[3] 웹사이트 李穡 https://kotobank.jp/[...]
[4] 뉴스 이정선 칼럼 '노예 시장' http://www.asiatime.[...] 2016-09-19
[5] 뉴스 [オピニオン]高麗文化の再発見 http://japanese.dong[...] 2014-08-23
[6] 서적 가정선생연보
[7] 서적 고려사 1351-01-01
[8]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이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