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바 마사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바 마사노부는 요도 번의 7대 번주이자 에도 막부의 주요 요직을 역임한 인물이다. 그는 1773년 형 이나바 마사히로의 사망으로 양자로서 가문을 계승했으며, 소샤반, 지샤부교, 오사카 죠다이, 교토 쇼시다이 등을 역임하며 막부 정치에 참여했다. 특히 교토 쇼시다이로서 교토의 치안 유지와 조정을 담당했고, 간세이 개혁에도 참여했다. 1806년 사망했으며, 차남 이나바 마사나리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도번주 - 이나바 마사쓰네
이나바 마사쓰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 이나바 마사요리의 아들이자 이나바 마사토의 뒤를 이어 요도 번주가 되었으나, 짧은 재임 기간 후 사망하여 이나바 마사치카가 가독을 이었다. - 요도번주 - 이나바 마사쿠니
이나바 마사쿠니는 에도 시대 말 다이묘이자 메이지 시대 신토 신관 및 관료로서, 니와 나가토미의 아들로 태어나 이나바 마사요시의 양자가 되었고, 요도 번주 재임 시절 교토 쇼시다이와 노중 등의 요직을 맡아 막부 정치에 관여했으며, 메이지 유신 후에는 신토 사무국 초대 관장을 지내며 신토 발전에 기여하고 자작 작위를 받았다. - 1749년 출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49년 출생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1749년 독일에서 태어난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과학자, 정치가로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연과학 연구와 정무 활동을 하였으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확립에 기여하였다. - 1806년 사망 - 호레이쇼 게이츠
호레이쇼 게이츠는 영국 출신으로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장군으로 활동했으며, 새러토가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캠던 전투에서 패배하여 지휘 능력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1806년 사망 - 로버트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는 영국 태생의 미국 독립 전쟁 시기 상인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선언서, 연합 규약, 미국 헌법 모두에 서명하고, 대륙군 재정 지원, 북미 은행 설립, 미국 재무 감독관 역임 등 미국 재정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토지 투기 실패로 불운을 겪었다.
이나바 마사노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이나바 씨 |
가명 (통칭) | 사치노스케, 도쇼, 헤이부 |
생애 | |
시대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출생 | 간엔 2년 9월 29일 (1749년11월 8일) |
사망 | 분카 3년 8월 24일 (1806년10월 5일) |
묘소 | 교토시묘신사 린쇼인 |
관직 | |
관위 | 종5위하・단고노카미, 종4위하・시종 |
막부 | 에도 막부 소샤반 겸 지샤부교, 오사카 조다이, 교토 쇼시다이 |
주군 | 도쿠가와 이에하루, 이에나리 |
번 | 야마시로요도 번 번주 |
가족 관계 | |
부모 | 이나바 마사요시, 이나바 마사히로 |
형제 | 마사히로, 마사노부, 마사타다, 센고쿠 히사노리, 오에쓰, 이나바 마사미네의 정실 |
배우자 |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 이호 |
자녀 | 마사나리, 마사요시, 마사모리, 히로하타 사키히데의 정실, 나이토 요리모치의 정실, 오오카 타다카타의 정실 등 |
2. 생애
요도 번 5대 번주 이나바 마사요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정실은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이고, 여러 명의 측실을 두었다.
안에이 2년 (1773년) 11월 6일, 선대 번주이자 형인 이나바 마사히로가 후사 없이 요절하였기 때문에, 양자로서 뒤를 이었다. 안에이 3년(1774년) 3월 1일,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에게 오메미에했다. 같은 해 9월 21일, 요도성의 대파 및 흉작의 연속으로 막부로부터 5000냥을 차용했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탄고노카미에 서임되었다.
덴메이 원년 (1781년) 4월 21일, 소샤반에 취임한다. 덴메이 7년(1787년) 4월 19일, 지샤부교에도 취임한다. 덴메이 8년(1788년) 6월 26일, 지샤부교에서 해임된다. 간세이 4년 (1793년) 12월 16일, 종4위하로 승진한다. 교와 2년 (1801년) 10월 19일, 오사카 죠다이에 취임한다. 분카 원년 (1804년) 1월 23일,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여, 시종에 임관한다. 간세이 개혁에도 참가했다.
분카 3년 (1806년) 8월 24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뒤는 차남 마사나리가 이었다.
2. 1. 가계 및 출생
요도 번 5대 번주 이나바 마사요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정실은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이다.안에이 2년 (1773년) 11월 6일, 선대 번주이자 형인 이나바 마사히로가 후사 없이 요절하여 양자가 되어 가독을 이었다.
2. 2. 번주 취임과 막부 활동
안에이 2년(1773년) 11월 6일, 선대 번주이자 형인 마사히로가 후사 없이 요절하여 양자로서 요도 번 7대 번주가 되었다. 안에이 3년(1774년) 3월 1일,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를 알현했다. 같은 해 9월 21일, 요도 성 파괴 및 흉작으로 인해 막부로부터 5천 냥을 지원받았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단고노카미에 취임했다.덴메이 원년(1781년) 4월 21일, 소샤반에 취임하였고, 덴메이 7년(1787년) 4월 19일에는 지샤부교를 겸임했다. 간세이 4년 (1793년) 12월 16일, 종4위하로 승진했다. 교와 2년 (1801년) 10월 19일, 오사카 죠다이에 취임하였고, 분카 원년(1804년) 1월 23일,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고 시종(侍従)에 임관했다. 간세이 개혁에 참여했다.
분카 3년 (1806년) 8월 24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차남 마사나리가 뒤를 이었다.
2. 3. 가족 관계
- 아버지 : 이나바 마사요시 (1718년 ~ 1771년)
- 어머니 : 불명
- 양아버지 : 이나바 마사히로 (1747년 ~ 1773년)
- 정실 : 이호 (五百) -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
- 차남 : 이나바 마사나리 (1775년 ~ 1815년)
- 생모불명의 자녀
- * 3남 : 이나바 마사요 (1804년 ~ 1878년?)
- * 7남 : 이나바 마사모리
- * 딸 : 히로하타 사키히데의 정실
- * 딸 : 나이토 요리모치의 정실 - 후의 이나바 마사요시의 정실
- * 딸 : 오오카 타다카타의 정실
2. 3. 1. 부모
- 이나바 마사요시 (친아버지)
- 이나바 마사히로 (양아버지)
- 員姫 (양어머니) - 마쓰다이라 요리사다의 딸
2. 3. 2. 정실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 이호(五百)와 혼인하여, 이나바 마사노부를 정실로 맞이하였다.2. 3. 3. 자녀
- 차남 : 이나바 마사나리 (1775년 ~ 1815년)
- 3남 : 이나바 마사요 (1804년 ~ 1878년?)
- 7남 : 이나바 마사모리
- 딸 : 히로하타 사키히데의 정실
- 딸 : 나이토 요리모치의 정실 - 후의 이나바 마사요시의 정실
- 딸 : 오오카 타다카타의 정실
3. 이나바 가문 계보
이나바 가문은 미노 국에서 기원한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다.[4] 간무 천황 (736–805)의 후손이라고 한다.[5]
마사노부는 1588년에 창설된 이나바 가문의 방계 일족에 속했다.[4] 이 분가는 이나바 마사나리 (1628년 사망)를 시조로,[2] 노부나가와 히데요시의 군대에서 활약했다.[2]
마사나리의 후손들은 에치고 국 이토이가와 번 (25,000 곡)을 하사받았고,[2] 1627년에는 시모쓰케 국 모오카 번 (65,000 곡)으로 영지가 이전되었다.[2] 이후 사가미 국 오다와라 번 (105,000 곡, 1632년-1685년), 에치고 국 다카타 번 (1685년-1701년), 시모사 국 사쿠라 번 (1701년-1723년)을 거쳐,[2] 1723년부터 1868년까지 야마시로 국 요도 번 (115,000 곡)에 정착했다.[4]
메이지 시대에 이나바 가문의 당주는 자작 작위를 받았다.[2]
4. 평가
이나바 마사노부는 에도 막부의 주요 요직을 역임하며 막부 정치에 기여한 인물이다.[1] 특히 교토 ''쇼시다이''로서 교토의 치안 유지와 조정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간세이 개혁에 참여하여 막부의 개혁 정치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나바 마사노부의 간세이 개혁 참여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신분제 유지를 옹호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추진한 점은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ouverneure von Kyôto in der Edo-Zeit
https://uni-tuebinge[...]
Universität Tübingen
2008-04-11
[2]
서적
Nobiliare du Japon – Inaba, p. 15
http://www.unterstei[...]
2003
[3]
서적
Japan Extolled and Decried: Carl Peter Thunberg and the Shogun's Realm, 1775–1796
https://books.google[...]
2005
[4]
서적
Ancien Japon
https://books.google[...]
1888
[5]
웹사이트
Inaba
http://www.ancestry.[...]
Ancestry.com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