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둘베르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츠의 이타는 7세기 인물로, 아키텐 지역 로마 원로원 가문 출신으로 추정되며, 궁재 피핀 1세와 결혼했다. 남편 사망 후 딸 게르트루다와 함께 니벨 수도원을 설립하고 딸을 초대 수녀원장으로 임명했다. 이타는 652년 사망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녀는 그리모알트 1세, 베가, 성 바보 등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특히 베가는 카롤링거 왕조의 여성 선조가 되었다. 이타는 이테빌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52년 사망 - 다토파 티사 1세
-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다미앵 신부
벨기에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 소속 선교사인 다미앵 신부는 하와이 몰로카이섬에서 한센인들을 16년간 헌신적으로 돌보며 사목 활동을 펼치다 자신도 한센병에 감염되었으나 봉사를 이어갔고, 사후 시성되어 소외된 이들을 위한 봉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요한 베르크만스
요한 베르크만스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예수회 수련생으로 활동하며 철학을 공부했고, 1621년 사망 후 복자,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전 세계에 그를 기념하는 학교, 성당, 기관 등이 세워졌다.
이둘베르가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592년 |
출생지 | 메츠, 아우스트라시아 왕국 |
사망 | 652년 5월 8일 |
사망지 | 니벨 수도원, 아우스트라시아 왕국 |
공경 받는 곳 | 가톨릭 교회 (리에주 교구 & 성 콜롬바누스 수도회) |
주요 성지 | 성녀 게르트루데 참사회 교회, 니벨, 왈롱 브라방 주, 벨기에 |
축일 | 5월 8일 |
수호 | 이트빌, 일드프랑스, 프랑스 |
2. 생애
이둘베르가는 아키텐 지역의 유력한 로마 원로원 가문 출신으로 추정되며,[1] 프랑크 왕국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였던 피핀 1세와 결혼하였다.[2] 이 결혼을 통해 그녀는 프랑크 왕국의 권력 핵심부에 진입하게 되었다.
640년 남편 피핀 1세가 사망한 후, 이둘베르가는 딸 게르트루다와 함께 종교적인 삶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1] 마스트리흐트 주교 아만두스의 조언에 따라 647년경 니벨 수도원을 설립하였으며, 딸 게르트루다를 초대 수녀원장으로 임명했다. 이둘베르가 자신은 평범한 수녀로서 수도원에 머물며 딸을 도왔던 것으로 보인다.[3] 그녀는 652년 5월 8일 니벨 수도원에서 사망했다.[3]
2. 1. 가문 배경
이둘베르가의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없지만, 그녀가 아키텐 지역의 로마 원로원 가문 출신일 것으로 추정된다.[1] 메츠 주교였던 아르노알드의 딸이자, 안스베르투스의 손녀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녀의 오빠는 트리어 주교 성 모도알드였으며, 여동생은 수녀원장 성 세베라였다. 이러한 배경은 이둘베르가가 당시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가졌음을 시사한다.2. 2. 피핀 1세와의 결혼
이둘베르가는 아키텐 지역의 유력한 로마 원로원 가문 출신으로 추정되며,[1] 프랑크 왕국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였던 피핀 1세와 결혼했다.[2] 당시 궁재는 메로베우스 왕조의 왕을 대신하여 실질적인 국정을 운영하던 최고위직이었으므로, 이 결혼은 이둘베르가가 프랑크 왕국의 권력 핵심부에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그녀의 가문과 프랑크 왕실 간의 긴밀한 정치적 결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2. 3. 종교적 헌신
640년 궁재 피핀 1세가 사망한 후, 이타는 딸 게르트루다와 함께 수도를 떠나 종교적 성찰의 삶을 살았다.[1] 이후 647년경, 마스트리흐트 주교 아만두스의 조언에 따라 그녀는 니벨 수도원을 설립했다. 이 수도원은 처음에는 수녀들만 있는 공동체였으나, 나중에 수녀들을 돕기 위해 아일랜드 출신 수도사들이 합류하면서 남녀 수도자가 함께 생활하는 이중 수도원이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딸 게르트루다를 초대 수녀원장으로 임명했으며, 자신은 평범한 수녀로서 수도원에 머물며 젊은 수녀원장인 딸에게 조언하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3]이타는 652년 5월 8일 니벨 수도원에서 사망했다.[3]
3. 자녀
이타는 남편 피핀 1세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프랑크 왕국과 가톨릭 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들로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가 된 그리모알트와[3] 은둔자 생활 끝에 성인으로 시성된 바보가 있다.[3] 그리모알트는 양자 힐데베르트 왕의 아버지이기도 하다.[3] 딸 베가는 안세기젤과 결혼하여[1] 카롤링거 왕가의 중요한 여성 조상이 되었으며, 베가를 포함한 두 딸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3]
3. 1. 베가
이타의 딸인 베가는 안세기젤과 결혼하였다.[1] 안세기젤은 메츠의 아르눌프의 아들이었다.[1] 베가는 에르스탈의 피핀의 어머니로, 카롤링거 왕가의 중요한 여성 선조 중 한 명이다.[1]3. 2. 성 바보 (알로윈)
이타의 둘째 아들인 바보 (또는 알로윈)는 은둔자가 되었고 나중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3]4. 수호 성인
이타는 자신이 설립한 농장 부지에 세워진 프랑스 마을 이테빌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5. 가계도
메츠의 이타(592년–652년)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였던 피핀 1세(580년경–640년)와 혼인하였다. 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들이 있었다.
- 그리모알드 원로(616년–657년):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 니벨의 게르트루드(628년경–659년): 니벨 수도원의 원장, 성녀
- 베가(613년–693년): 앙제기젤과 혼인하여 카롤링거 왕조의 조상이 되었다.
베가와 앙제기젤의 후손은 다음과 같다.
- 피핀 2세(635년–714년): 베가의 아들, 프랑크 왕국의 실질적인 통치자
- 카를 마르텔(690년경–741년): 피핀 2세의 아들, 투르 푸아티에 전투에서 승리
- 단신왕 피핀(714년–768년):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롤링거 왕조를 개창
- 카롤루스 대제(747년–814년): 피핀 3세의 아들,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이타에게는 다음과 같은 형제자매가 있었다.
- 성 모도알드(585년경–645/648년): 트리어의 주교
- 세베라(600년경–640년경)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형제자매
성 모도알드에게는 딸 성 모데스타(† 660년경)가 있었다.
이 가계는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 후기부터 카롤링거 왕조로 이어지는 권력 이동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nt' Ida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2005-02-04
[2]
웹사이트
Sant' Ida (Ita) Monaca a Nivelles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2022-09-09
[3]
간행물
St. Gertrude of Nivelle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Company
2015-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