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병무 (191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무는 1914년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출신으로, 장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도 농업통계관을 거쳐 1960년 양주군 진접면장에 당선되었다. 진접면장 재임 중에는 농가 구호 운동을 추진했으며, 1972년에는 진접면 새마을운동 추진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금곡교 건립에 참여했다. 1978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에 당선되어 1980년까지 재임했다.

2. 생애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835번지 출신으로, 증조부는 윤선(胤善)이고 할아버지는 교관 원영(源永)이며 아버지는 한근(漢根)이고 어머니는 연안김씨(延安金氏)로 김사구(金思九)의 딸이다. 고려 강계원수 이의(李山+疑 또는 李草+疑)의 차남 원길(原吉)의 20대손이다.

1960년 당시에는 진업면 금곡리 835번지에 거주 중이었다.[1] 후에 남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779번지에 거주하였다. 1978년 당시에는 남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779번지에 거주했다.[2]

종조부 이원범(李源範)은 1935년 부군면협의회 의원 선거에 진접면 면협의회 의원 후보로 출마, 그해 5월 30일 진접면협의회 의원에 당선되고[3], 1939년 5월 21일 재선되었다.[4]

남양주 장현보통학교(현, 장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5] 장현보통학교 재학 시 비 오면 책과 옷을 머리에 이고 급류를 건넜는데, 후일 자신의 사재를 기탁해 금곡교 건립에 기탁했다.[5]

이병무는 경기도 양주군(현, 남양주시) 진접면 금곡리 출신으로, 장현보통학교(현, 장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5] 장현보통학교 재학 시절, 비가 오면 책과 옷을 머리에 이고 급류를 건너야 했는데, 훗날 사재를 기탁해 금곡교 건립에 기여했다.[5]

1948년 경기도 농업통계관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6]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장에 출마, 1449표를 얻어 당선되어[8] 1960년 12월 26일부터 1961년 6월까지 재임했다. 재임 기간 중 1961년 4월 25일 국토건설단 요원 탁영진(卓英鎭)과 협력하여 면내 농가구호운동을 추진, 구호대상자 91세대 39명을 지원했다.[9] 이들은 자신의 봉급을 털어 쌀을 구매하고, 면내 이장과 유지들에게 구호 운동을 독려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9] 그러나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인해 민선 읍면장이 해임되면서 면장직을 잃게 되었다.

1972년 진접면 새마을운동 추진위원장으로 활동했다.[5] 같은 해 4월 1일, 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쇠푼이골 마을 왕숙천변에 금곡교를 건립하는데 직접 참여하고 사재를 기탁했다.[5] 이후 지역 출신 인사들의 성금과 마을 기금을 통해 자재비를 조성했다.[5]

1972년 12월 4일1978년 5월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양주군 진접면 후보자로 출마했다.[10][11][15] 1972년 선거에서는 낙선했지만,[13] 1978년 5월 18일 선거에서는 3,158표를 얻어 당선되어[16][17][18][19] 1978년 5월 18일부터 1980년 10월 27일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제2대 대의원을 역임했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62-7번지 부곡(釜谷) 마을 오좌(午坐)에 있다.

2. 1. 공무원, 정치 활동

1948년 2월 22일 경기도 농업통계관(京畿道農業統計官)이 되었다.[6]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1960년에 발행한 "단기 4293년 12월 시행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회의원선거 당선자 명부"에 의하면 그의 전직은 부면장이었다 한다.[7] 그러나 언제, 어느 면의 부면장을 역임했는지는 등재되지 않았다.

1960년 12월 26일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시,읍,면장 선거에 민주당 후보자로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장에 출마, 1449표를 받고 당선되었다.[8] 1960년 12월 26일부터 1961년 6월까지 양주군 진접면장으로 재임했다. 1961년 4월 25일 국토건설단 요원으로 양주군 진접면에 파견된 탁영진(卓英鎭)과 협력, 면내 농가구호운동을 추진했다.[9] 구호대상자 91세대 39명을 돕고자 서로 자신의 봉급에서 털어 쌀을 사고, 면내 이장과 유지들에게 구호 운동을 독려하였다.[9]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민선 읍면장을 해임할 때 해임되었다.

1972년 진접면 새마을운동 추진위원장이었다.[5] 1972년 4월 1일 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쇠푼이골 마을 왕숙천변에 금곡교를 건립했다.[5] 직접 공사에 참여했고[5], 사재를 기탁했다. 그후 이 곳 출신 인사들의 성금과 마을의 산나물 기금으로 자재비를 조성했다.[5]

1972년 12월 4일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統一主體國民會議 代議員) 선거에, 양주군 진접면 후보자로 출마하였다.[10][11] 12월 4일 최종 후보자로 확정되었다.[12] 소속은 무소속이고 직업은 농업이었다.[13] 같은 날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양주군 진접면 후보자로 최종 확정되었다.[14] 12월 1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였다.[13]

1978년 5월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양주군 진접면 후보자로 출마하였다. 소속은 무소속이고 신분은 전 면장(前 面長)이었다.[15] 5월 18일의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당선되었다.[16][17] 득표 수는 3,158표였다.[18][19] 1978년 5월 18일부터 1980년 10월 27일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제2대 대의원이었다.

2. 2. 지역 사회 활동

이병무는 경기도 양주군(현, 남양주시) 진접면 금곡리 출신으로, 장현보통학교(현, 장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5] 장현보통학교 재학 시절, 비가 오면 책과 옷을 머리에 이고 급류를 건너야 했는데, 훗날 사재를 기탁해 금곡교 건립에 기여했다.[5]

1948년 경기도 농업통계관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6]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장에 출마, 1449표를 얻어 당선되어[8] 1960년 12월 26일부터 1961년 6월까지 재임했다. 재임 기간 중 1961년 4월 25일 국토건설단 요원 탁영진(卓英鎭)과 협력하여 면내 농가구호운동을 추진, 구호대상자 91세대 39명을 지원했다.[9] 이들은 자신의 봉급을 털어 쌀을 구매하고, 면내 이장과 유지들에게 구호 운동을 독려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9] 그러나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인해 민선 읍면장이 해임되면서 면장직을 잃게 되었다.

1972년 진접면 새마을운동 추진위원장으로 활동했다.[5] 같은 해 4월 1일, 양주군 진접면 금곡리 쇠푼이골 마을 왕숙천변에 금곡교를 건립하는데 직접 참여하고 사재를 기탁했다.[5] 이후 지역 출신 인사들의 성금과 마을 기금을 통해 자재비를 조성했다.[5]

1972년 12월 4일1978년 5월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양주군 진접면 후보자로 출마했다.[10][11][15] 1972년 선거에서는 낙선했지만,[13] 1978년 5월 18일 선거에서는 3,158표를 얻어 당선되어[16][17][18][19] 1978년 5월 18일부터 1980년 10월 27일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제2대 대의원을 역임했다.

3. 가족 관계


  • 조부 : 이원영(李源永)
  • 아버지 : 이한근(李漢根)
  • 어머니 : 연안 김씨(延安金氏), 김사구(金思九)의 딸
  • 부인 : 박순련/朴順連한국어(1921년 ~ ), 반남인(潘南人) 박제련(朴齊連)의 딸
  • 종조부 : 이원범(李源範)

참조

[1] 간행물 단기 4293년 12월 시행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회의원선거 당선자 명부
[2] 서적 楊州郡誌 上 양주문화원 1992
[3] 뉴스 當選된 面協議員 동아일보 1935-05-30
[4] 뉴스 各面協議會員當選者 精選  精選으로 面面이 모다 씩씩 매일신보 1939-05-23
[5] 뉴스 새마을 깃 발아래.... 새 生活을 연다 조선일보 1972-04-01
[6] 뉴스 인사왕래(人事徃來)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8-02-22
[7] 간행물 단기 4293년 12월 시행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회의원선거 당선자 명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0
[8] 간행물 단기 4293년 12월 시행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회의원선거 당선자 명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0
[9] 뉴스 絶糧救護 운동 조선일보 1961-04-25
[10] 뉴스 代議員 立候補者 명단 동아일보 1972-12-04
[11] 서적 양주군지 양주군지편찬위원회 1978
[12] 뉴스 統一主體 국민회의 代議員立候補者 최종確定 경향신문 1972-12-04
[13] 뉴스 國民會議 대의원 當選者 ○표가 確定者 <下午 2시 現在> 경향신문 1972-12-16
[14] 뉴스 統一主體국민회의 代議員 立候補者 최종 確定 경향신문 1972-12-04
[15] 뉴스 統一主體國民會議 代議員 당선자 동아일보 1978-05-19
[16] 뉴스 統一主體國民會議 代議員 당선자 동아일보 1978-05-19
[17] 뉴스 제2대「統代」當選者 새벽3시 현재 조선일보 1978-05-19
[18] 서적 楊州郡誌 上 양주문화원 1992
[19] 서적 양주군지 양주군지편찬위원회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